[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코네티컷주에 첫 깃발을 꽂는다. 파리바게뜨의 첫번째 코네티컷주 매장은 코네티컷주 남서부 해안가의 스탬포드(Stamford)가 유력하다. 현재는 매장 부지를 확보하는 단계로 이르면 1년 안에 오픈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미국 코네티컷주 지역 사업가와 가맹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가맹 계약에 따라 파리바게뜨 코네티컷주 1호점이 조성될 예정이다. 예비 가맹점주는 "적당한 가맹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었다"면서 "우수한 제품 라인업과 매장 디자인을 갖추고 있는 데다 미국 전역에 호응을 얻고 있는 파리바게뜨는 이상적이라고 생각했다"면서 가맹 계약을 맺은 배경을 설명했다. 오는 2030년 미국 내 1000개 매장 달성이라는 목표를 내건 파리바게뜨는 올해 160건의 가맹 계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1월 미국 뉴저지주 몬머스카운티에 가맹 100호점 레드뱅크점을 연 파리바게뜨는 현지 매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월 미국 뉴저지주 벨 미드(Belle Mead), 2월 뉴저지주 몬트베일(Montvale), 3월에는 텍사스주 그랜드 프레리(Grand Prairie) 등에 연달아 매장
[더구루=김형수 기자] 버거킹이 미국에서 구조조정 카드를 꺼내 들었다. 지난해 수익성 제고 계획에 따라 몸집을 줄이고 있다. 올해 매장 최대 400곳의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핵심 자산을 정리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버거킹 모회사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내셔널(Restaurant Brands International)에 따르면 지난 1분기에만 미국 내 점포 124개를 닫았다. 올해 목표의 31%가량을 3개월 만에 달성했다. 미국 내 버거킹 매장 숫자는 7000개 아래로 떨어졌다. 버거킹 가맹사업에 나선 업체의 파산이 잇따르자 자구 노력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일리노이주에서 버거킹 가맹사업을 영위한 탐스킹(Toms King), 미시간주에서 버거킹 가맹사업을 펼친 EYM 킹(EYM King), 유타주를 기반으로 버거킹 가맹사업을 전개한 메리디안 레스토랑 언리미티드(Meridian Restaurants Unlimited) 등이 줄줄이 파산 신청을 했다. 버거킹은 향후 우수한 경영 운영 역량을 지닌 업체에 한해서만 매장을 인수하거나 신규 점포를 여는 것을 허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를 통해 매출 증대 및 가맹사업 수익성 제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일본 입맛 잡기에 나섰다. 히트 상품으로 자리잡은 올리브 치킨 핑거 동일가격 증량 캠페인 펼치며 현지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BBQ는 일본에서 올리브 치킨 핑거 20% 증량 캠페인을 오는 31일까지 진행한다. BBQ는 캠페인 기간 동안 올리브 치킨 핑거 12개를 10개 가격(1090엔·약 1만700원)에 판매한다. 소스 2종도 함께 제공한다. BBQ는 일본 올리브 치킨 핑거 누적 판매갯수 1000만개(지난 3월말 기준) 돌파를 기념해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 올리브 치킨 핑거는 닭가슴살을 튀겨낸 뼈가 없는 치킨 메뉴다. 뼈를 발라내지 않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는 점이 일본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맵지 않아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성인은 물론 아이들도 마음 편히 먹을 수 있는 점도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BBQ가 일본 시장 마케팅 활동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21일과 26일에는 고객 선착순 100명에게 올리브 치킨 핑거 3개와 허니머스타드 소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펼쳤다. 이어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7일까지 이어진 일본 골든위크 기간에는 연휴 특수를 겨냥해 △올리브 치킨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미국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지난달 미국 오하이오주와 캘리포니아주에 신규점을 출점한 데 이어 버니지아주에 신규 매장을 열 예정이다. 'K치킨'을 알리며 활발한 영토 확장에 나서는 모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BBQ는 이달 말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버니지아스퀘어(Virginia Square)에 매장을 오픈한다. 현재 매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지하철 버니지아 스퀘어-GMU역 인근에 위치한 BBQ 버지니아스퀘어점은 고객 접근성이 좋고 다양한 편의시설과 함께 있어 현지인들에게 다양한 K치킨을 알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메뉴 구성은 아직 확정 전이지만 다양한 치킨 메뉴와 주류 등을 판매하며 BBQ 브랜드를 널리 알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미국 곳곳에서 △황금올리브치킨 △허니갈릭 △소이갈릭 △치즐링 등 치킨은 물론 △떡볶이 △로제떡볶이 △마라떡볶이 △김치볶음밥 등 다양한 한식 메뉴도 선보이고 있다. BBQ는 미국 사업에 공을 들이며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미네소타주와 델라웨어주에서 매장을 연 데 이어 3월에는 플로리다주 1호점을 소프트 오픈했다. 지난달에는 미국 오하이오주와 캘리포니아주에 신규
[더구루=김형수 기자] 사모펀드 VIG파트너스에 인수된 본촌치킨이 미국에서 K-푸드를 넘어 K-문화 전도사로 나선다. 한국 전통 문화를 나타내는 티셔츠를 선보이는 한편 아시아·태평양계 주민을 향한 혐오에 반대하는 활동에도 힘을 보탠다는 계획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본촌치킨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허민(Heo Min) 일러스트레이터와 손잡고 기획한 티셔츠를 오는 8일부터 31일까지 본촌 웹사이트를 통해 선보일 예정이다. 본촌치킨은 5월 아시아·태평양계 주민 유산의 달(AAPI Heritage Month)을 맞아 한정판 티셔츠를 마련했다. 한국 국화 무궁화와 한국을 상징하는 동물 호랑이가 티셔츠 디자인에 활용됐다. 허민 일러스트레이터는 "호랑이는 한국 문화와 민속에서 힘과 강력함을 상징하는 중요한 부분이며 아시아·태평양계 주민을 향한 혐오에 맞서 싸우는 데도 종종 사용된다"면서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푸른색 호랑이와 붉은색 무궁화를 활용해 태극기와 같은 색깔을 나타내려 했다"고 전했다. 본촌치킨은 티셔츠 판매를 통해 거둬들인 수익금은 아시아·태평양계 주민을 향한 인종차별 및 혐오 등에 대한 반대 활동을 펼치는 미국 인권 단체 '
[더구루=김형수 기자]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미국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가 자금 조달에 나섰다. 경기 악화로 인해 자칫 차질을 빚을 수 있는 매각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서브웨이는 매각을 둘러싸고 사모펀드에 50억달러(약 6조6950억원) 규모의 인수자금 조달 계획을 제시했다. 대출과 채권 등을 활용해 자금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월 서브웨이와 손잡고 서브웨이 매각 작업에 착수한 미국 투자사 JP모건(J.P. Morgan)은 이번 인수자금 조달 계획이 매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브웨이 기업가치가 100억달러(약 13조3880억원)에 달하지만 매력적인 조건으로 거래를 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대출 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금리 상승, 경기 둔화에 대한 예측이 쏟아지면서 기업 인수에 나선 사모펀드들의 자금 조달 여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자 대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달 말 이뤄진 서브웨이 매각 2차 입찰에는 △베인 캐피탈(Bain Capital) △TPG Inc △어드벤트 인터내셔날(Advent International
[더구루=김형수 기자] KFC와 피자헛 등의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는 미국 외식업체 얌!브랜드(Yum! Brands)가 집단소송 에 휘말렸다. 지난 1월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으며 개인 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얌!브랜드에서 일한 크리스티 스틴슨(Christie Stinson)은 미국 켄터키 서부 연방지방법원(US District Court for the Western District of Kentucky)에 얌!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집단소송을 냈다. 크리스티 스틴슨은 얌!브랜드가 지난 1월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으로부터 취업 지원자 및 직원들의 개인 식별 정보를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함에 따라 신원 도용 위험에 직면했다는 주장했다. 얌!브랜드는 지난 1월18일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으며 당시 시스템 오프라인 전환, 모니터링 등을 포함하는 대응 프로토콜을 시행하며 대응했다고 발표했다. 얌!브랜드 정부 당국에 랜섬웨어 공격 사실을 알리는 한편 사이버보안, 포렌식 전문가들과 손잡고 조사에 나섰다고 전했다. 크리스티 스틴슨은 얌!브랜드 취업 지원자 및 직원들의 개인정보가 신용카드 신청, 대출
[더구루=김형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미국 어머니의 날(Mother’s Day) 특수 공략에 나섰다. 어머니의 날을 기념해 다양한 디저트를 출시하고 현지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미국에서 오는 4일부터 14일까지 ‘해미 마더스데이 컬렉션(Happy Mother’s Day Collection)’을 론칭했다. 해피 마더스 데이 컬렉션은 △크림치즈를 활용한 딸기 케이크 핑크레이디 △피스타치오 스폰지 케이크에 딸기 버터크림과 딸기 콤포트를 얹은 베리피스타치오 △초콜릿 스폰지 케이크와 모카 버터크림이 어우러진 초콜릿에스프레소 △딸기 티라미수 케이크와 마스카포네 치즈 무스크림이 조화를 이루는 딸기티라미수 △클라우드 케이크와 베리를 활용한 베리클라우드부케 △요거트 크림과 베리가 블루베리 스폰지 케이크와 어우러진 블루베리요거트포맘 등 다양한 케이크로 구성됐다. 뚜레쥬르는 여기에 더해 딸기 모양의 핑크색 도넛과 꽃 모양을 지닌 블루라벤더 마카롱, 레드벨벳 마카롱 등의 디저트도 준비했다. 해피 마더스 데이 컬렉션 메뉴들은 해당 기간 동안 미국 내에 있는 90여개 뚜레쥬르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다. 뚜레쥬르가 미국 내 매장 확
[더구루=김형수 기자]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와 말레이시아 배달시장을 놓고 한판 승부를 벌인다. 딜리버리히어로가 말레이시아에서 무슬림 소비자를 겨냥한 배달 서비스 배칼 바이 푸드판다(Bekal by Foodfanda·이하 배칼)를 론칭하면서 배민 운영업체 우아한형제들은 모기업과의 경쟁이 불가피해 보인다. 배민은 현지 배달앱 업체 팝밀스(Pop Meals·옛 다마칸)와의 경쟁이 불가피해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딜리버리히어로는 말레이시아에서 배송 과정 전반에 걸친 할랄 배송을 보장하는 배달 서비스 배칼 바이 푸드판다 운영을 시작했다. 할랄은 '허용된 것'이라는 의미로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 또는 서비스는 무슬림가 소비·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딜리버리히어로그룹 내에 할랄 인증을 받은 브랜드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배칼 배달 라이더들은 말레이시아의 자킴(JAKIM·이슬람개발부)으로부터 할랄 인증을 받은 오토바이를 이용해 배송 업무를 수행한다. 배칼은 할랄 인증을 보유한 업체의 음식만 배달한다. 딜리버리히어로는 푸드판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이 접수된 순간부터 할랄 인증 특수 오토바이를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미국 버지니아주 라우던 카운티 스털링(Sterling, Loudoun)에 깃발을 꽂는다. 현지 한인마트 '롯데플라자 마켓'에 신규 매장을 연다. 한인 시장을 우선 공략한 다음, 시장을 확대하겠단 의도로 풀이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가 내달 1일부터 미국 버지니아주 스털링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매장은 컨트리사이드 마켓플레이스 쇼핑 센터(Countryside Marketplace shopping center)에 있는 한인 마트 롯데플라자 마켓(Lotte Plaza Market)에 자리한다. 뚜레쥬르는 롯데플라자 마켓 내부에 별도 공간을 마련해 신규 매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뚜레쥬르 신규 매장이 현지에 빠르게 안착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다. 롯데플라자 마켓은 현지를 대표하는 한인 마트다. 스털링도 버지니아 한인 타운 센터빌과 자차 15분 거리로 가깝다. 쇼핑 센터 인근에 편의점과 약국, 체육관, 주유소 등이 있어 집객 효과도 크다. 신규 매장엔 K-베이커리의 강점을 극대화한 제품으로 구성된다. △크루아상 △바게트 △케이크 △마카롱 등 현지인에 친숙한 제품뿐 아니라 △김치 크로켓 △소보로빵 △팥빵 등 K-베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유명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가 현지에서 가장 우수한 피클을 제공하는 패스트푸드 업체로 선정됐다. 올해 상반기 국내에 파이브가이즈를 론칭하는 한화갤러리아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화갤러리아 파이브가이즈 사업은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이 주도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식음료 전문매체 데일리밀(The Daily Meal)는 현지 패스트푸드업체 가운데 최고의 피클을 내는 곳으로 파이브가이즈를 선정했다. 데일리밀은 파이브가이즈의 피클이 지닌 맛과 질감이 모두 우수하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 버거, 감자튀김, 그릴드 치즈 샌드위치 등 파이브가이즈가 선보이고 있는 다른 메뉴와도 놀라울 정도로 궁합이 훌륭하다고 호평했다. 반면 버거킹은 최악의 피클을 제공하는 패스트푸드 업체로 꼽혔다. 버거킹 피클은 질척거리는 상태로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버거 식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 데일리밀은 "파이브가이즈 피클의 맛은 정말로 우수하며 중독되기 쉽다"면서 "다른 메뉴와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고려하면, 파이브가이즈 피클은 패스트푸드 업체의 피클에 대한 예상을 뛰어넘는다"고 전했다. 반면 "많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맥도날드가 맛 개선, 일자리 창출, 지역 사회와의 상생이라는 세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다음달 1일 취임 1주년을 맞는 김기원 대표가 이뤄 낸 경영 성과다. 김 대표는 최근 몇년 새 적자 행진을 이어가자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원자재, 물류비 등 비우호적인 경영 환경이지만 김 대표는 장기적 안목을 갖고 반전을 꾀하고 있다. 그는 이미지 쇄신과 수익성 확대라는 당면한 과제 해결에 힘을 쏟고 있다. 장기적으로 현재 전국에 400여개 있는 매장을 오는 2030년까지 500개로 몸집을 키워나가 흑자 전환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1988년 서울 압구정에 1호점을 연 이후 35년째 사업을 영위하는 한국맥도날드는 매출 1조원 이상의 패스트푸드 업계 1위로 자리매김했다. 1988년 3000명에 그쳤던 하루평균 방문객은 40만명 가량으로 대폭 늘어났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전세계 네번째이자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추진하는 베스트 버거 이니셔티브에 힘을 싣고 있다. 베스트 버거 이니셔티브는 '고객에게 최고의 버거를 제공한다'는 슬로건 아래 조리법, 조리도구 등 조리 전 과정에 걸친 개선을 통한 맛 향상을 추구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국맥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