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창업자 샘 알트만이 설립한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이 자체 가상자산 지갑을 출시했다. 연말 출시를 앞둔 월드코인의 생태계 구축에 속도가 붙고 있다. 월드코인은 지난 8일(현지시간) 가상자산 지갑 서비스 '월드앱(World App)'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월드앱은 월드코인은 물론 WETH, WBTC, DAI, USDC 등을 지원한다. 월드코인은 가상자산 스타트업으로 망막 스캔으로 신원 증명을 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월드코인은 망막 스캔을 위한 '오브(Orb)'라는 구형의 장비를 개발하기도 했다. 월드코인에 접근할 수 있는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은 망막 스캔하는 것으로 월드ID를 발행할 수 있다. 월드ID는 사용자 개인 스마트폰에 저장되며 각 ID는 유저의 개성을 반영한 고유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월드코인은 월드앱이 타 지갑과 다르게 모든 토큰과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월드코인, 이더리움의 주요 기능에 초점에 맞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월드앱을 개설한 유저는 매달 월드코인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토큰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더구루=홍성일 기자] 종합 NFT(대체불가토큰) 플랫폼 바이브 랩스(Vibe.xyz, 이하 바이브)가 글로벌 스타 싸이가 설립한 피네이션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바이브는 수 주내 유명인과의 콜라보레이션 등을 공개한다. 바이브는 4일(현지시간) 알케미 벤처스, 아글레 벤처스, 피네이션 등이 참여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400만 달러(약 53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바이브는 스시스왑, 바이낸스, 깃허브, 코인베이스 출신 등이 포진해 있는 종합 NFT 플랫폼 스타트업이다. 바이브는 현재 대부분의 NFT가 희소성 외에는 활용도나 가치가 제한적인 이미지에 불과하기 때문에 진정한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바이브는 크리에이터가 NFT 스마트 컨트랙트와 메타데이터를 통해 NFT를 완전한 애플리케이션과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최초의 노코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를통해 정적인 NFT를 디지털 유틸리티를 갖춘 진화된 자산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웹3의 도래 속 합법적이고 강력한 인프라와 도구의 부재는 이를 완전히 실현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판단. 프로토콜 수준 혁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바이브는 NFT 기술의 혁신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보안업체 클라우드버스트 테크놀로지스(Cloudburst Technologies, 이하 클라우드버스트)에 투자했다.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보안 솔루션에 투자, 암호화폐 생태계 성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클라우드버스트는 8일(현지시간) 코인베이스 벤처스와 SCV(Strategic Cyber Ventures)가 공동으로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만 달러(약 4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버스트는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툴 등을 개발해 공공, 금융 분야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클라우드버스트는 자사의 API를 포함한 솔루션을 사용하면 시장 조작을 예측하고 방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클라우드버스트의 툴은 익명의 지갑 주소에 의존하지 않고도 암호화폐 사기 범죄자를 식별, 추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클라우드버스트 관계자는 "우리는 디지털 통화를 위한 사이버 인텔리전스 솔루션을 계속 개발하는데 있어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게 돼 기쁘다"며 "이번 투자는 우리 팀의 노력과 헌신에 대한 증거이며, 우리는 사이버 인텔리전스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4월 글로벌 웹3 투자 규모가 3월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의 자금 조달 규모가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2023년 4월 글로벌 웹3 부문 투자액은 8억300만 달러(약 1조600억원)로 추산되며 전월대비 8.22% 증가했다. 펀딩건수는 총 90건으로 3월보다 18.89% 늘어났다. 부문별로는 블록체인 인프라 분야의 투자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블록체인 인프라 부문은 2월 3억3000만 달러, 3월 3억5400만 달러, 4월에는 4억900만 달러를 조달하며 꾸준하게 증가했다. CeFi, DeFi 부문 등을 1억 달러 이상을 조달하며 안정적인 투자 상황을 유지했으나 메타버스 부문은 2월 2억3500만 달러를 조달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며 3월 1억3900만 달러, 4월 1억2700만 달러로 하락세를 보였다. 4월 웹3 투자는 초기단계 스타트업에 집중됐다. 4월 완료된 펀딩 중 37.78%가 시드투자 라운드였으며 15.56%가 시리즈A 투자 라운드로, 전체 투자의 절반 이상이 시드, 시리즈A 단계 스타트업에 이뤄졌다. 주요 투자자로는 최근 가장 적극적인 투자 행보를 벌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씨소프트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국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미스틴랩(Mysten Labs)이 메인넷 출시와 함께 게임 생태계 확장에도 나선다. 에반 쳉 미스틴랩 CEO는 4일(현지시간) 미국의 게임전문매체 게임비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11개 게임파트너와 함께 이르면 5월 15일부터 수이 네트워크 기반 게임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미스틴랩은 2022년 내내 게임 개발자, 퍼블리셔, 생태계와 긴밀히 협력해 수이의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게임을 구축해왔다. 에반 쳉 CEO는 "우리 팀은 세계에서 유명한 혁신적인 게임 브랜드, 크리에이터와 함께 유저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게임을 개발하기 끊임없이 노력해왔다"며 "우리와 파트너들은 수이의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며 사용하기 쉬운 인프라에서 게임을 구축하는 것을 즐겼다"고 덧붙였다. 게임비트에 따르면 5월 15일부터 매주 다양한 게임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15일부터 21일까지는 △오랜지 코맷:파이널 스타더스트 △얼라이번트:프로젝트 엘루운, 타로파:런 레전드 등이 공개된다. 22일부터 28일까지는 △월즈 비욘즈 △럭키 캣:코스모카디아 등이 출시되며 11일까지 매주 최대 4개의 게임이 순차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NFT(대체불가토큰) 마켓플레이스 에일리언스왑(AlienSwap)이 전략적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에일리언스왑은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본격적인 사업확대에 나선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폴리곤과 솔라나가 배틀로얄 체스 게임 개발업체 '슈퍼듀퍼시크릿(SuperDuperSecret Co.)'에 투자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슈퍼듀퍼시크릿은 초과 청약된 사전 프리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00만 달러(약 13억4000만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폴리곤 벤처스, 솔라나 파운데이션, 13디지털 애셋 펀드, 메리트 써클, LD 캐피탈, 오버울프, 빅 브레인 홀딩스와 다수의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슈퍼듀퍼시크릿은 10인 배틀로얄 체스게임인 '로얄 체스'를 개발했다. 로얄 체스는 10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체스를 두며 AI어시스트를 도입, 체스를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로얄 체스는 2023년 말 PC와 Mac에서 먼저 출시되며 모바일과 콘솔로도 출시될 예정이다. 슈퍼듀퍼시크릿은 로얄 체스 출시 후 캐주얼, 미드코어 장르 게임 타이틀을 추가로 개발해 출시한다. 또한 체스와 같이 친숙하면서도 전통적인 게임에도 소셜 게임플레이 방식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슈퍼듀퍼시크릿 관계자는 "초기 단계부터 강력한 투자자 그룹을 확보하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곧 로얄 체스를 대중에게 선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벤처캐피털 CMCC글로벌이 블록체인 부문에 중점을 둔 새로운 크립토 펀드를 조성했다. CMCC글로벌은 이번 펀드 조성을 통해 홍콩을 블록체인 허브로 만들어간다는 목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CMCC글로벌은 1억달러(약 134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 펀드를 출시했다. CMCC글로벌의 블록체인 투자 펀드는 인프라, 핀테크, 소비자를 카테고리로 디지털 자산 분야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한다. CMCC글로벌은 해당 펀드를 통해 홍콩은 물론 해외의 스타트업 중 시드, 시리즈A 자금을 유치하는 회사들에 주로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CMCC글로벌은 이번 펀드 출시를 통해 홍콩을 블록체인 허브로 성장시켜나가는데 일조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홍콩은 정부 차원에서 가상자산 거래 허브로 거듭나기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런 정책적 결정에 따라 지난 2월에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가 아시아 본사를 싱가포르에서 홍콩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정부는 여기에 5000만 홍콩달러를 배정해 웹3 생태계 확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홍콩 증권선물위원회도 라이선스 제도를 정비해 가상자산 거래 산업을 육성할 뜻을 내비쳤다. 이런
◇메타비트 K 팝 음악 콘텐츠 NFT 플랫폼 메타비트(MetaBeat)는 미국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 크립토닷컴(crypto.com)에 거버넌스 토큰 '비트(Beat)'를 상장했다고 2일 밝혔다. 크립토닷컴은 세계 8000만 명 이상의 유저와 250개 이상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며, 코인마켓캡 (CoinMarketcap) 기준 세계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TOP 20 안에 꼽히는 글로벌 대형 거래소다. 메타비트가 거버넌스 토큰 '비트'를 대형 거래소에 상장한 건 지난해 11월 쿠코인(Kucoin)에 이어 두 번째다. 메타비트는 이번 크립토닷컴 상장에 성공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행보에 보다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비트 토큰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K팝 아티스트와 함께 음악 팬커뮤니티의 성장 및 혜택을 도모하는 유틸리티 토큰이며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 가능하다. 메타비트 플랫폼에서 NFT를 거래하거나 서비스 이용 시 활용할 수 있다. ◇블로핀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블로핀(Blofin)이 1일 가상자산 시세 차트 전문 플랫폼 코인마켓캡(Coinmakretcap) 내 정식 거래소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블로핀은 최근 챗지피티(ChatGPT)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경매업체 소더비가 2차 판매가 가능한 NFT(대체불가토큰) 예술품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했다. 소더비는 NFT 마켓플레이스 출시로 1차 판매를 넘어 2차 판매 시장에도 진출하게 됐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소더비는 최근 2차 판매가 가능한 NFT 마켓플레이스를 오픈했다. 해당 NFT 마켓플레이스는 2021년 10월 출시된 소더비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소더비는 2021년 4월 디지털 크리에이터 'Pak'과 협업해 NFT 판매를 시작했다. 해당 NFT는 3일간 1680만 달러를 벌어드렸다. 이후에는 뱅크시의 '러브 이즈 인 더 빈(Love is in the Bin), 지루한 유인원 요트클럽(Bored Ape Yacht Club, BAYC), 크립토펑크(Crypto Punk) 등 NFT 컬렉션 판매를 진행해 2021년 연말에는 총 판매액 1억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소더비는 NFT 판매가 예술계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판단, 2021년 10월에는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출시했다. 소더비는 메타버스를 통해 예술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결합된 NFT 판매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에 소더비가 출시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버스 플랫폼 트랜스미라(Transmira)가 웹3 전문 기업 엔체인(nChain)으로부터 지분 투자를 유치했다. 엔체인은 트랜스미라의 판매, 마케팅 부문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시장 확대를 지원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엔체인은 트랜스미라에 400만 달러(약 54억원)를 투자, 지분 20%를 확보했다. 엔체인의 투자는 지난 2월 트랜스미라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이은 것이다. 엔체인이 지분 투자를 단행한 트랜스미라는 자체 특허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혼합현실(MR) 개발했다. 특히 트랜스미라의 MR 기술은 상업, 유틸리티 분야에 중점을 뒀으며 가상 상품 수익화 등도 지원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해 브랜드와 소비자가 안전한 방식으로 가치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트랜스미라는 도시 규모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수 있어 전례없는 몰입형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엔체인은 자체 웹3, 블록체인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트랜스미라의 가치를 높여, 향후 투자 라운드를 준비한다. 또한 판매, 마케팅 역량을 지원해 트랜스미라의 시장진출을 돕고 플랫폼 채택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엔체인 관계자는 "트랜스미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웹3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멕시코의 암호화폐 전문기업 '갤럭틱 홀딩스(Galactic Holdings)에 베팅했다. 라틴아메리카(LATAM) 지역의 암호화폐 생태계 확대를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인공지능(AI)·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이하 팔란티어)가 미국 텍사스에 데이터센터 설립을 검토한다. 미국 에너지 개발기업인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 FRMI)가 최대 규모의 민간 전력망(HyperGridTM)과 AI·데이터센터 복합단지를 조성하는데 함께할 전망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폭스바겐 그룹이 전기차(EV) 시장의 새로운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전기차 가치 사슬의 핵심인 스페인 배터리 셀 제조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폭스바겐은 독일 잘츠기터(Salzgitter) 공장을 시작으로 스페인 발렌시아(Valencia),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 등에 기가팩토리를 구축, 표준화된 프로세스·장비·워크플로우를 적용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