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이끄는 벤처캐피털(VC) 1789캐피털이 로켓 기업 파이어호크 에어로스페이스(Firehawk Aerospace)에 투자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의 경제 정책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인니 정부가 '돈풀기'에 나서면서 현지 주식시장이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래에셋증권의 인니 법인 미래에셋세쿠리타스의 아르야 위스누브로토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 신임 재무장관으로 푸르바야 유디 사데와를 임명하면서 시장이 재정 정책의 방향을 주시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부여한 가장 중요한 임무는 8% 경제성장 가속화"라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미래에셋 미디어 데이에서 말했다. 앞서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은 국회의원 특권 논란으로 촉발된 지난달 반(反)정부 시위 이후 스리 물랴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을 경질하고 새로 재무장관을 임명했다. 위스누브로토 이코노미스트는 "새 장관 선임으로 앞으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성장의 주축이 되는 보다 광범위한 재정 정책을 보게 될 것"이라며 "재정 규율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친성장 기조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 지출 확대가 핵심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니 정부는 이미 200조 루피아(약 17조원) 자금을 국영은행에 투입해 대출 등 신용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기 부양과 성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산업은행이 홍콩지하철공사(MTR)에 약 14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MTR은 "산업은행과 7억8000만 홍콩달러(1400억원) 규모 7년 만기 회전거래신용(Revolving Credit Facility) 약정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RCF는 기업이 이용하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한도 내에서 계속 돈을 빌릴 수 있다. MTR은 국내외 금융기관과 300억 홍콩달러(약 5조4000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집단대출) 계약도 체결했다. 총 57개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MTR는 조달한 자금으로 인프라 개발과 노후 자산 교체를 실시할 계획이다. 제이콥 캄 MTR 대표는 "철도는 홍콩 친환경 교통 인프라의 핵심이자 도시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라며 "MTR은 노던링크(북부선)를 비롯한 여러 대형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새로운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노런링크는 홍콩 북부 지역에 동부선과 툰마선을 연결하는 새로운 철도 노선이다. 총길이는 약 10㎞으로 3개 역이 추가로 지어진다. 오는 2034년 완공이 목표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가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 중 하나로 꼽히는 베트남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업비트는 단순 제휴 수준인데 반해 빗썸은 아예 거래소 진출을 준비 중이다. 가상자산거래소의 해외 진출을 막는 관련 규제가 촘촘한 상황에서 빗썸이 어떻게 베트남에 진출하겠다는 건지 의문이 제기된다. 25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빗썸은 베트남 현지의 외국 자본 지분 보유 한도(49%) 규정을 이용해 현지 금융기관·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 지분투자 형태로 거래소 운영에 참여할 계획이다. 베트남은 가상자산 이용자 2000만명, 보유액 약 1000억 달러(약 140조원)로 추정된다. 연간 거래액은 8000억 달러, 무려 1120조원 이라는 통계도 있다. 그런데 국내 규정에 따라 빗썸과 업비트 등의 해외 진출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내 거래소들은 은행의 해외 송금 제한, 외국인 대상 서비스 제한 등 여러 제도적 장벽에 가로막혀 해외 진출을 못하고 있다. 또 해외 법인에 자본금을 보내려면 금융당국의 승인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업비트는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직접 진출하지 못했다. 대신 현지 거래소와 브랜드 및 단순 기술 제휴 협약을 맺었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전기차 기업 아바타 테크놀로지(AVATR Technology·아웨이타)가 홍콩 증시 상장을 본격화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신차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 중국 IT 전문매체 테크노드는 25일 "아바타가 올해 4분기 홍콩 거래소 기업공개(IPO) 신청을 준비 중이며 내년 2분기 상장을 목표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아바타가 현재 홍콩 IPO 절차의 마지막 준비 단계에 있으며 빠르면 10월 상장을 신청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아바타는 중국 국영 완성차 기업 창안자동차를 중심으로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CATL과 스마트폰 제조사 화웨이가 2021년 11월 설립한 전기차 기업이다. 고급형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다. 아바타는 작년 12월 110억 위안(약 2조17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당시 자금 조달에서 기업 가치를 300억 위안(약 5조91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아바타는 지난해 매출 153억5000만 위안(약 3조2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0% 증가한 수치다. 다만 순손실은 40억2000만 위안(약 7900억원)으로 확대되며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아바타의 올해 1~8월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비댁스가 베트남 디지털 자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베트남 투자사 IDGX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미 베트남 시장 선점에 나선 두나무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게 됐다. 24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비댁스와 베트남 디지털 자산 전문 투자사 IDGX가 지난 23일(현지시간)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베트남 최초의 국제 표준 디지털 자산 보관·거래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합작 투자의 시작으로, 규제 샌드박스 프로그램을 통해 연내 사업 착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비댁스와 IDGX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수탁 서비스, 결제 시스템 등 핵심 기능을 연결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베트남 가상자산 시장에는 이미 업비트 두나무가 선제적으로 발을 내디뎠다. 두나무는 지난 8월 베트남 MB(군사)은행과 디지털 자산 거래소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업비트의 기술·인프라 공유와 법규 준수, 투자자 보호,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비댁스는 최근 우리은행과 제휴해 원화와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KRW1을 발행하기도 했다. 송금·결제·투자·예치 등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아프리카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신한은행은 아프리카 친환경 에너지 펀드 'Hardest-to-Reach Initiative(H2R)'에 선순위로 참여해 해당 펀드의 조성 성공에 기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글로벌 임팩트 투자기관 아큐먼(Acumen)이 총 2억4650만 달러(약 3300억원)규모로 조성한 펀드다. H2R 펀드는 민간·공공·자선 자본을 결합해 기존 금융이 도달하지 못했던 에너지 사각지대 및 에너지 빈곤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한은행은 한국 금융권 최초의 글로벌 임팩트 펀드 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 달성과 아프리카 시장 커버리지 확대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그룹의 탄소중립 전략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국제 무대에 확장한다. 런던을 중심으로 한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허브 전략과 연계해 미래 성장 진출 기반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은행을 비롯해 녹색기후기금(GCF), 국제금융공사(IFC), 영국국제투자공사(BII), 노르딕개발기금(NDF), 소로스경제개발펀드(SEDF) 등 글로벌 개발금융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금융그룹이 국내 금융사 브랜드 가치 1위를 차지했다. 견실한 재무 성과와 브랜드 파워 강화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영국 브랜드 전문 평가기관인 브랜드 파이낸스는 23일(현지시간) '한국 150대 기업(South Korea 150)' 보고서를 공개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매년 전 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재무 실적, 시장 점유율, 성장 전망, 브랜드 충성도, 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브랜드 가치를 평가한다. 보고서를 보면 KB금융은 전체 국내 기업 중 7위, 금융사 중에서는 1위에 올랐다. 올해 브랜드 가치는 73억 달러(약 10조1700억원)로 지난해 54억 달러(약 7조5300억원) 대비 35% 상승했다. 보고서는 "KB금융은 지난해 대비 두 계단 상승해 올해 7위를 기록했다"며 "견실한 재무 성과와 브랜드 파워 강화에 힘입어 브랜드 가치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전체 8위, 금융사 2위를 기록했다. 전체 순위는 지난해 11위에서 세 계단 상승했다. 신한금융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 44억 달러(약 6조1300억원)에서 올해 63억 달러(약 8조7800억원)로 44% 증가했다. 보고서는 "탄탄한 매출 기반
								[더구루=홍성환 기자]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호득폭 베트남 부총리를 만나 현지 법인 설립 지원을 요청했다. 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24일 베트남 부총리실에 따르면 김성태 행장과 호득폭 부총리는 23일(현지시간) 하노이 정부청사에서 간담회를 진행했다. 김 행장은 이 자리에서 현지 법인 설립 계획을 공유하며 "베트남 법인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 개발 지원,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금융 투자 등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호득폭 부총리는 "기업은행이 베트남에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 "베트남 중앙은행은 규정에 따라 기업은행의 인가 절차를 진행 중이며, 기업은행이 베트남 경제에 더 많이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이어 "현재 베트남 94만여개 기업 중 98% 이상이 중소기업"이라며 "정부는 중소기업 부문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해결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지난 5월 기업은행 베트남법인 설립 인가 신청서 접수증을 발급했다. 사실상 법인 전환을 허가받은 것으로, 2017년 7월 인가를 처음 신청한 이후 약 8년 만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투자은행(IB) 파이퍼샌들러가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자율주행과 로봇 분야에서 경쟁사를 크게 앞서고 있다고 분석했다. 파이퍼샌들러는 23일 테슬라 목표주가를 400달러에서 500달러로 높였다. 파이퍼샌들러는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와의 미팅을 통해 일론 머스크가 왜 이렇게 패스트 팔로워를 존경하는 지 알 수 있었다"면서 "실제로 수직 통합된 중국 주문자 상표 부착생산(OEM) 업체가 테슬라의 최대 경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현실 세계의 자율주행차 시장에서는 이들 기업은 테슬라를 통해 방향을 모색한다"면서 "한 회사 관계자의 말을 빌리면 '테슬라가 0에서 1로 성장하지 않으면 우리도 1에서 100으로 성장할 수 없다'고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결론적으로 테슬라는 자율주행차와 로봇 기술에 투자할 최고의 선택지"라고 강조했다. 파이퍼샌들러는 또 "2026년 매출 추정치보다 기술 개발 경로가 회사 가치 평가에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FSD) v14는 언제든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더 높은 주가 상승률이 형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22일(현지시간
								[더구루=김나윤 기자] 신한은행이 한국 스타트업의 동남아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해 베트남에서 대규모 기술·혁신 교류 행사를 열었다. 신한은행은 호치민시에서 지난 16일(현지시간)부터 19일까지 '글로벌 엑스체인지 2025'를 열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신한퓨처스랩이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글로벌 행사로 한국 스타트업이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베트남을 '동남아 진출 관문'으로 삼아 현지 기업·투자자·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했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 스타트업 10곳이 참여했다. 아네스(헬스케어 스타트업), 피투에이스 AI(에듀테크 스타트업), 예퓨처(AI 기반 콘텐츠 제작 스타트업), 핀즐(예술 구독 플랫폼 스타트업), 스타짚(AI 기반 컨텐츠 유통 스타트업), 스텝페이(간편 결제 스타트업) 등이다. 이들은 현지 스타트업과 비즈니스 매칭, 심포지엄, 데모 데이, MOU 체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투자와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고서헌 신한금융그룹 최고전략책임자는 "신한 글로벌 엑스체인지 2025는 한국과 베트남 스타트업이 연결되고 협력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기회를 여는 관문"이라며 "핀
								[더구루=홍성환 기자] NH투자증권이 세계 최대 탄소크레딧 거래소 운영사인 엑스팬시브(Xpansiv)와 손잡고 탄소배출권 서비스를 확대한다. 국제 탄소 규제 등으로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엑스팬시브는 "NH투자증권과 탄소크레딧 및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사업에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엑스팬시브의 탄소크레딧 현물 거래소에 참여하고, 이 회사의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전 세계 환경상품 시장에서 고객 거래 활동을 지원한다. 탄소크레딧 거래소는 탄소 감축 실적(크레딧)을 거래하는 시장으로, 자발적 탄소 시장(VCM)이라고도 불린다. 엑스팬시브는 세계 최대 탄소크레딧 거래 플랫폼인 CBL을 운영 중이다. CBL시장의 거래 종목을 기초로,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에서 탄소크레딧 선물이 상장돼 거래되고 있다. 블랙스톤, 뱅크오브아메리카, 골드만삭스, 아람코, 맥쿼리, S&P 등이 이 회사에 투자했다. 박건후 NH투자증권 클라이언트솔루션본부장은 "엑스팬시브와 협력해 고객이 탄소 및 재생에너지 인증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자문 서비스와 첨단 기술 솔루션을 제공할 것"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