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로보틱스가 국내 로봇 바리스타 기업 '플레토로보틱스'와 바리스타 로봇 모듈 '카페 진호'를 출시했다. 한화의 협동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에 기반해 고품질 커피를 만드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미주와 유럽 등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푸드테크를 그룹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김동선 부사장의 비전에 한화로보틱스가 핵심 축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는 모양새다. 30일 미국 케니어리 엔지니어링 앤 매뉴팩처링(Kenyeri Engineering & Manufacturing, LLC)에 따르면 한화로보틱스와 플레토로보틱스는 최근 해외에서 '카페 진호'를 론칭해 판매에 나섰다. 카페 진호는 로봇과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하나의 패키지 솔루션이다. 한화의 협동로봇 HCR-3A와 플레토로보틱스의 라테아트 3차원(3D) 프린트 기술을 결합해 개발됐다. 미국위생협회(NSF)의 인증을 받은 협동로봇으로 식음료 제조 시 위생적인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온·습도를 계산해 커피 맛을 조절하는 AI 커피 캘리브레이션 기술로 세계 최초로 특허도 획득했다. 카페 진호는 언제 어디서나 전문 바리스타가 만든 것과 같은 풍미있는 커피를 제공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투자한 스위스 로봇기업 RIVR이 미국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시장에 진출했다. RIVR은 시범 운영을 거쳐 서비스 범위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RIVR은 27일(현지시간) 미국 물류기업 베호(Veho)와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 로봇을 이용한 라스트마일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RIVR은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택배차량에서 현관문까지 100야드(약 90m) 이내 물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RIVR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는 배송기사와 로봇이 택배차량에서 고객 집 앞까지의 배송을 나눠서 처리하는 형태다. 로봇은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제품을 배송한 이후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전송하는 업무까지 수행한다. 배송 서비스에는 4개의 바퀴가 달린 바퀴형 다리 로봇(wheeled-legged robot)이 투입된다. 해당 로봇은 기본적으로 로봇 개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발 부분에는 바퀴가 장착됐다. 이에 평지에서는 바퀴를 굴려 기동할 수 있으며, 계단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바퀴를 고정한 후 걸어올라갈 수도 있다. 이외에도 몸통 부분에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상자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가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절차를 밟기위한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 폴란드 국방부에서 직접 2차 계약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밝혀 협상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유료기사코드] 28일 폴란드 군사전문지 '포탈 오브러니(Portal Obronny)'에 따르면 파베우 베이다(Paweł Bejda) 폴란드 국방차관은 21일(현지시간) 폴란드 의회 사이트를 통해 8824호 질의서에 답변하며 2차 계약 이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질의서는 폴란드의 대규모 한국산 방산 물자 도입을 진두 지휘했던 마리우시 브와슈차크(Mariusz Blaszczak) 전 국방부 장관이 작성했다. 그는 지난 3월 유럽집행위원회가 발간한 '유럽 방위의 미래에 관한 백서'를 통해 의회에 질의서를 제출했다.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전 장관은 현 국방장관인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Władysław Kosiniak-Kamysz)에 △K2 전차 추가 계약과 폴란드 생산 △미국에서 도입한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 하이마스) 발사대 추가 계약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질의 답변 권한을 가진 파베우 베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슬로바키아의 전차 도입이 빨라질 전망이다. 폴란드가 슬로바키아에서 K2 전차 배치로 중부유럽 군사 강국으로서의 역할을 과시하면서 한번 더 필요성을 느낀 모양새다.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슬로바키아는 K2 전차로 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방위 태세를 갖춘다. [유료기사코드] 28일 군사전문사이트 아미레코그니션컴(armyrecognition.com)에 따르면 폴란드는 최근 슬로바키아에서 개최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기갑여단 훈련 '슬로바키아 쉴드(Slovak Shield) 25'에서 폴란드형 K2 전차(K2PL)를 배치했다. 훈련에 투입된 전차들은 폴란드 브라니에보에 있는 제9기갑기병여단 제1전차대대에 배속됐다. 브라니에보 제9기갑기병여단은 새로운 함대를 운용하는 주력 부대로, 16기계화사단 예하에 있다. K2전차 배치 후 불과 6개월 만에 훈련에 동원됐다. 브라니에보는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높은 곳으로 평가 받아 K2 전차가 배치됐다. 이번 훈련은 동유럽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진화하는 지역 위협에 대응해 방위태세를 조정하려는 폴란드의 노력을 반영한다. 또 폴란드군의 병참 효율성도
[더구루=정등용 기자]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의 일부 구간이 올해 안에 입찰을 시작한다. 이 프로젝트는 현대로템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사업이다. 27일 체코 철도청에 따르면 고속철 프로젝트 5개 노선(RS1~RS5) 중 RS1의 모라비아 고속철 프로젝트 3개 구간(모라비안 게이트·남모라비아·중앙 모라비아)이 올해 안에 입찰 계획을 발표한다. 모라비아 고속철 프로젝트는 브르노-오스트라바를 연결한다. 이번에 입찰이 예정된 3개 구간은 PPP(민관협력) 방식으로 재원을 조달한다. 이를 위해 체코 철도청은 지난 3월 세계은행 산하 국제금융공사(IFC)와 PPP 자문 계약도 맺었다. 3개 구간 중 모라비안 게이트 구간과 남모라비아 구간은 최대 320km/h 속도의 신규 고속철을 건설한다. 중앙 모라비아 구간은 기존 철도 현대화와 신규 철도 건설을 병행해 최대 200km/h 속도를 갖추도록 계획 중이다. 3구간 모두 TEN-T(유럽횡단) 네트워크 프로젝트와 연계해 지능형 교통시스템, 최신 신호, 통신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는 현대로템이 관심을 갖는 사업이다. 지난해 12월에는 체코 정부 인사들로 구성된 대표단이 현대로템 창원공장을 방문해 고속철 제
[더구루=오소영 기자] 브라질 철도협회와 현지 노조가 중국과의 철도 인프라 구축 협력에 강력히 항의했다. 브라질 진출 기업들을 무시하고 중국에 기회를 줬다는 지적이다. 브라질 철도 산업 보호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며 중국의 배제를 촉구했다. 27일 브라질 철도산업협회(ABIFER)에 따르면 이 협회와 현지 도로·철로장비산업노조(SIMEFRE)는 지난 12일(현지시간) 공식 성명에서 "브라질과 중국의 철도 협력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현지에서는 양국이 페루 찬카이 항만에서 브라질 바이아까지 잇는 철도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중국국가철도그룹이 이끄는 대표단은 지난달 브라질을 방문하고 본격적으로 협상에 나섰다. 양국의 철도 협력이 가시화되며 브라질 산업계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서 현지 진출 기업들을 제외하고 중국에 넘겼다는 지적이다. 이번에 성명을 낸 ABIFER는 현대로템 브라질법인과 알스톰, CAF 등 글로벌 철도 기업 57개가 소속된 현지 대표 철도 협회다. SIMEFRE도 90년 이상 역사를 지니며 브라질 전역의 철도와 도로 운송 장비, 이륜차 산업 분야 노조로 활동하고 있다. 브라질 철도 산업에서 강력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가 미 공군과 해군이 운용하는 보잉의 소형 공대지 유도폭탄에 이어 한국산 위성항법시스템(GPS) 유도폭탄 'KGGB' 구매를 추진한다. 폴란드는 유도폭탄을 확보하며 정밀 타격 능력을 강화해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폴란드에 위성 유도폭탄 GBU-39/B SDB 1400발을 최대 1억8000만 달러(약 2462억원)에 제공하는 대외군사판매(FMS) 계약을 승인했다. 폴란드는 GBU-39/B SDB를 도입해 폴란드 공군이 운용중인 48대의 F-16C/D 블록 52+ 전투기에 무장할 예정이다. F-16 블록52+ 전투기의 신뢰성을 높여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GBU-39/B SDB는 항공기에 더 많은 수의 정확한 폭탄을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250파운드(110kg)의 정밀 유도 활공 폭탄이다. 보잉이 2006년부터 생산한 위성항법과 관성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공대지 유도폭탄이다. 길이 1.8m, 직경 19㎝, 무게 129㎏, 탄두 중량 93㎏이다. 전투기에서 투하할 경우 110㎞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의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폴란드에서 나왔다. 오래 기다린 양국 협상이 결실을 맺는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폴란드 주간지 더블유프로스트(Wprost)와 군사 전문지 ZBiAM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수출 계약을 수주 안에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 물량은 약 180대, 60억 달러대(약 9조원) 규모로 알려졌다. 일부는 폴란드 글리비체시에 위치한 현지 국영 방산 기업 '부마르-와벤디(Bumar-Łabędy)'의 공장에서 생산될 전망이다. 부라므 와벤디는 폴란드 국영 방산 기업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지분 85.69%를 소유한 회사다. 독일 전차인 레오파드2의 폴란드향 '레오파드2PL' 생산을 맡고 있다. 앞서 K2 전차 2차 구매가 지연돼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며 빠른 계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8월 60억 달러 규모의 K2 전차(180대) 공급 계약을 체결한 후 폴란드와 추가 수출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PGZ와 K2PL 생산·납품을 위한 컨소시엄 계약을 연장했다. 당초
[더구루=길소연 기자] 방글라데시가 해군력 강화를 위해 장보고급 잠수함 6척 도입을 추진한다. 방글라데시는 한국산 어뢰와 미사일이 탑재된 잠수함으로 전략적 억지력과 해저 감시 능력을 증강해 해상 분쟁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방글라데시 군사전문매체 방글라데시 밀리터리(Bangladesh Military)에 따르면 방글라데시는 한국과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 규모의 해군 프로그램에 따라 개량형 장보고급 잠수함 6척을 구매하기 위해 협상 중이다. 방글라데시가 도입하려는 개량형 장보고급 잠수함은 독일 209/1400형 SSK를 개량한 것으로, 한국산 하부 시스템을 통합해 연안 작전 강화와 제한적인 원양 작전에 최적화됐다. 한화오션이 성능 개량해 작전 효율성과 경제성을 갖췄다. 수중전 역량을 확장하려는 국가에 적합하다. 잠수함의 제원은 길이 61.2m에 넓이 6.2m에 속도는 수면 시 11노트, 수중 시 21.5노트이다. 작전 지속 기간은 최대 50일이며, 승무원은 33~40명 탑승한다. 잠수함에는 벵골만처럼 수심이 얕고 음향적으로 까다로운 연안 해역에 적합한 소음 저감 기술이 적용된다. 잠항 시간을 늘려주는 공기불요추진시스템(AI
[더구루=오소영 기자] LIG넥스원이 인수한 고스트로보틱스가 말레이시아 방산 회사와 군용 로봇 도입에 협력한다.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기술을 토대로 현지에 최적화된 로봇을 개발하고 고위험 작전에 투입한다. 말레이시아 항공우주 회사 NADI(Nairod Techno Power Sdn Bhd)와 NST 등 외신에 따르면 고스트로보틱스는 지난 20일부터 오는 24일(현지시간)까지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열리는 '랑카위 국제 해양·항공전시회(LIMA) 2025'에서 에어로드 테크노 파워(Airod Techno Power Sdn Bhd, 이하 ATP)와 군용 로봇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무인지상차량(Q-UGV) 기술을 토대로 한 로봇 개발을 추진한다. 로봇은 감시와 정찰, 수색·구조 등 다양한 업무에 투입된다. 현지 경찰과 소방청의 특수전술구조대(STORM) 등을 지원하며 고위험 작전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고스트로보틱스의 Q-UGV 모델인 '비전 60'은 360도 열화상 카메라를 비롯해 5대의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센서를 탑재해 주변 상황을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한다. 험한 지형과 수중에서 이동 가능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의 러시아 유통 파트너 'HD일렉트릭 루소'가 중저압차단기 할인 프로모션을 또 실시한다. 주요 수요층인 현지 중소기업들을 겨냥해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를 보고 종전 후 시장 진입에 대비한다. 21일 HD일렉트릭 루소에 따르면 이 회사는 내달 30일까지 중저압차단기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동일 품목을 36개 이상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이번 특별 프로모션은 모스크바 창고에 보유 중인 재고품에 한정된다. 정상 제품에 대한 교환이나 환불은 불가능하다. HD일렉트릭 루소는 지난 3월에도 할인 행사를 진행했었다. 배선용 차단기(MCCB)와 기중차단기(ACB), 모터보호용 배선차단기(MMS), 누전차단기(RCBO) 등 특정 제품에 대해 10~15% 상당 할인 혜택을 제공했다. 이처럼 연이어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배경에는 가격 경쟁력 확보가 있다. 중저압차단기의 주요 타깃이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므로 가격은 구매 결정 시 중요한 요소다. HD일렉트릭 루소는 경쟁사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의 부담을 낮춰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종전 이후 러시아 사업을 본격 재개할 것으로 보이며 홍보 활동도 활발하다. HD현대일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중공업이 바레인에서 변압기 19대 공급 사업을 두고 스위스 업체와 경쟁하고 있다. 전력기기 호황을 타고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달성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중동에서 도전장을 냈다. 21일 바레인 수전력청(EWA)에 따르면 효성중공업은 66kV 변압기 공급 사업 입찰에 참여했다. 변압기 19대의 설계부터 제작, 설치, 시운전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가로 2174만9456 바레인디나르(BHD·약 800억원)를 제시했다. 이는 경쟁사인 스위스 히타치 에너지(947만6373BHD·약 350억원), 오만 볼탬프 트랜스포머(731만2507BHD·약 260억원)보다 높다. 이번 입찰은 바레인의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고자 현지 정부가 66kV 변전소 설치에 나서며 시작됐다. EWA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입찰을 개시해 효성을 비롯해 세 곳으로부터 제안을 받았다. 가장 낮은 가격을 제안한 볼탬프 트랜스포머는 입찰 보류로 처리되며 효성과 히타치 에너지 간 '2파전'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EWA는 가격과 기술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공급사를 결정할 예정이다. 효성중공업은 중동에서 활발히 사업을 발굴하고 수주 행진을 이어간다. 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