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삼양식품의 '불닭' 시리즈가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이어가며, 누적 판매량 1억 개를 돌파했다. 지난 2019년 1월 삼양식품 일본법인 '삼양재팬'을 설립한 지 6년 만에 이룬 쾌거로 글로벌 히트 상품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18일 삼양재팬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불닭 시리즈의 일본 내 누적 판매량이 1억개를 넘어섰다. 불닭 제품은 지난 2012년 한국에서 매운 볶음면 브랜드로 처음 출시됐다. 이후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라면, 소스, 스낵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장되며 글로벌 매운맛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삼양재팬의 성적도 좋다. 지난해 매출은 약 30억엔(약 286억원)으로 전년보다 15.3%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3% 늘어난 약 8억엔(약 75억원)을 기록했다. 삼양식품은 지난 2019년 일본 현지 법인인 삼양재팬을 설립하고, 불닭볶음면을 중심으로 유통·영업·마케팅을 직접 운영하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일본 내 대리점을 통해 수출하는 방식이었지만 현지 법인을 세우면서 본격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섰다. 특히 지난 2월에는 불닭 시리즈의 인기에 힘입어 '맵(MEP)'
[더구루=이연춘 기자] 글로벌 패션 ODM 기업 한세실업이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를 위해 ‘DX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올해 국내외 전 팀장급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실습형 교육을 확대해 전 임직원의 디지털 역량을 체계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18일 한세실업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임직원의 업무 혁신과 실행력 강화를 위해 DX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24년 국내 및 해외법인 임원과 부서장을 대상으로 ▲워크스마트 실천법 ▲생성형 AI 기본 이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질문 최적화 기법) ▲ChatGPT 활용법 등 이론 중심의 교육을 진행, 총 59명의 임원진이 교육을 이수했다. 해당 교육 이수자들은 “리서치와 번역 등 업무에서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엑셀 해석 요약 기능 등 업무에 바로 활용 가능한 기능을 새롭게 알게 됐다”며 소감을 밝혔다. 올해는 이론 중심에서 한 단계 진화해, 실습 위주로 커리큘럼을 고도화했다. 특히 ▲고급 프롬프트 작성법 ▲생성형 AI 도구 실습 ▲AI 기반 실무 적용 ▲실전 AI 활용 케이스 스터디 등 생성형 AI의 실전 활용 능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
[더구루=이연춘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기 미국 안과 전문 제약회사인 해로우(Harrow)와 안질환치료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하고 있는 안과질환 치료제 2종의 북미 판매는 해로우가 맡는다. 앞서 바이오젠과의 체결 종료 이후 신규 파트너십이다. 해로우는 17일(현지시간)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안진환치료제 '바이우비즈'(BYOOVIZ)'와 '오퓨비즈'(OPUVIZ)의 북미 라이센스, 개발 및 상업화 계약(DCA)을 체결했다. 다만 계약 기간과 금액 등 구체적인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올해 말까지 바이오젠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로 상업화 권한이 완전히 이전되는 시점부터 바이우비즈와 오퓨비즈에 대한 모든 상업적 책임을 맡게 된다. 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미국 시장 점유율 및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바이우비즈는 2021년 9월 미국 FDA 승인을 받은 미국 최초의 안과 바이오시밀러다. 2022년 6월부터 상업화됐다.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 망막 정맥 폐색에 따른 황반 부종(RVO), 근시 맥락막 혈관신생혈관형성(mCNV) 치료에 사용된다. 오퓨비즈는
[더구루=김명은 기자] 쿠팡이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확실한 승자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로켓와우 멤버십과 로켓배송으로 상징되는 무료 배송 정책과 빠른 배송 서비스가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하며 쿠팡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월가 리서치 전문기관인 번스타인(Bernstein)은 17일 쿠팡을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장기적인 잠재력을 가진 최고의 주식 종목 중 하나로 꼽았다. 쿠팡이 향후 2년 내 5% 성장이 예상되는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번스타인은 특히 한국의 전체 유통 시장(소매 시장)에서 이커머스가 차지하는 비율(이커머스 침투율)이 오는 2027년 42%에서 4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통 시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구조적 변화를 고려할 때 쿠팡의 성장 잠재력이 그만큼 크다고 판단했다. 이 기간 동안 온라인 쇼핑 이용자 비율도 83%에서 86%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온라인 쇼핑 이용자 비율은 오프라인 대비 온라인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이커머스 침투율과는 다른 개념으로, 전체 인구 중 온라인 쇼핑을 한 번이라도 이용한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Innisfree)'가 인도의 수제 젤라토 브랜드 '프로즌 펀(Frozen Fun)'과 손잡고 현지에서 이색 마케팅을 선보였다. '스킨케어와 디저트의 만남'이라는 독특한 콘셉트로, 신제품 론칭 행사를 열었다. 감각적인 경험의 확장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다. 17일 아모레퍼시픽 인도법인(Amorepacific India)에 따르면 이니스프리는 인도 현지에서 '슈퍼 화산송이 모공 마스크' 라인의 신제품을 선보이는 특별한 체험형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에 소개된 제품은 '스월 포어 마스크(Swirl Pore Mask)'와 한정판 '민트 초콜릿 포어 클레이 마스크(Mint Chocolate Pore Clay Mask)'다. 스월 포어 마스크는 피부에 순하고 부드럽게 발리면서도 여러 가지 신기한 질감이 한데 어우러져 피부를 깨끗하게 청소해주면서 동시에 촉촉하게 가꿔주는 역할을 한다. 민트 초콜릿 포어 클레이 마스크는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며 모공까지 깨끗하게 클렌징해준다. 이날 행사는 프로즌 펀과의 특별 콜라보를 통해 마스크의 질감과 향을 젤라토의 부드러움과 달콤·상큼한 맛과 잇는 독특한 콘셉트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 글로벌 뷰티 브랜드 '라네즈(LANEIGE)'가 '슬리핑 마스크' 리뉴얼 신제품을 일본 시장에 선보인다. 글로벌 누적 판매 5830만개를 기록한 글로벌 베스트셀러에 수면 과학 기반 기술을 더해 일본 홈케어 시장을 정조준한다. 17일 아모레퍼시픽 재팬에 따르면 오는 8월 30일 라네즈 대표 제품인 슬리핑 마스크 시리즈의 리뉴얼 신제품 2종을 일본 시장에 출시한다. 대상 제품은 '워터 슬리핑 마스크 N'과 '시카 슬리핑 마스크 N' 등으로, 기존 제품 대비 보습 지속력과 진정 효과를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리뉴얼의 핵심은 라네즈가 자체 개발한 '신 슬리핑 테크놀로지'다. 수면 중 피부 수분 변화와 피로 누적 상태, 블루라이트 노출 등을 고려한 처방 기술로, 피부에 4시간 수면을 더한 듯한 수분·탄력 효과를 구현한다는 것이 브랜드 설명이다. 워터 슬리핑 마스크 N은 3중 히알루론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 말라카이트 추출물 등을 배합해 24시간 보습 지속력과 피부 톤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젤 크림 타입으로 빠른 흡수와 산뜻한 마무리감을 동시에 구현했다. 시카 슬리핑 마스크 N은 마데카소사이드와 아시아티코사이드 등 보습 성
[더구루=이연춘 기자] 귀뚜라미가 200kW급 마이크로 CHP(열병합 발전 시스템)를 북미 안전 규격 UL 인증을 획득하고, 미국 시장에 첫 수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미국 내 상업용 건물, 다가구 주택, 공공시설 등 다양한 수요처에 맞춘 제품 공급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17일 귀뚜라미에 따르면 ‘귀뚜라미 마이크로 CHP(Combined Heat and Power, 열병합 발전 시스템)’는 현대자동차의 천연가스(CNG) 버스 엔진을 기반으로 한 고효율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총에너지 효율은 85%에 달한다. 천연가스(Natural Gas)를 연료로 사용하며, 발전 시 발생하는 배열(폐열)을 난방, 온수, 냉방 등에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한다. 특히, 해당 시스템은 건물 내에서 직접 전기와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외부 전력공급이 중단됐을 때도 핵심 설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 전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체 발전을 통해 피크타임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제공한다. 최근 미국은 기후 변화로 인한 고온 현상, 노후 전력망, 전기차 및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폭증으로 인해 전력 공급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중심의
[더구루=진유진 기자] 에코마케팅의 애슬레저 브랜드 '안다르'가 일본 오사카에 팝업 스토어를 연다. 여름 기능성 제품부터 한국에서 인기 높은 시그니처 브라까지 전면에 내세워 일본 시장 내 브랜드 존재감 확대에 나선다. 안다르는 향후 K-애슬레저 대표 브랜드로 현지 고객과의 만나는 접점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17일 안다르에 따르면 오는 23일부터 29일까지 오사카 한큐 우메다 본점에서 팝업 스토어를 운영한다. 지난 2월 도쿄 이세탄 신주쿠점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일본 팝업으로, 현지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이번 팝업에서는 여름 시즌에 최적화된 기능성 제품을 전면 배치했다. 안다르 특유의 가볍고 통기성 뛰어난 소재로 제작된 '에어엑스퍼트 시그니처 레깅스'와 '에어스트 와이드 팬츠' 등이 대표 제품이다. 특히 기존 대비 무게를 약 24% 줄인 시그니처 레깅스는 Y라인 봉제선 제거 디자인으로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호평을 얻고 있다. 한국에서 빠르게 입소문을 탄 '올데이핏 시그니처 브라'도 일본 팝업 현장에서 처음 공개된다. 패드 일체형·후크형 디자인으로 편안한 착용감과 체형 보정 효과를 동시에 갖춘 점이 특징이다. 온라인 품절 색깔을
[더구루=김명은 기자] GC녹십자가 국제혈전지혈학회(ISTH)에서 10% 농도의 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IVIG) 제품의 새로운 점도(viscosity)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온도에 따른 제품 간 점도 차이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17일 GC녹십자 미국법인(GC Biopharma USA)에 따르면 지난달 21~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ISTH에서 자사의 10% 농도의 IVIG 제품들의 점도에 대한 새로운 연구 데이터를 소개했다. IVIG는 건강한 사람의 혈장에서 추출한 항체를 모아 만든 의약품으로, 정맥 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번 연구는 IVIG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혈전 색전증(TEEs) 위험과 관련된 점도 변화에 주목했다. 점도가 높은 IVIG는 고위험 환자의 혈전 색전증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알리글로(ALYGLO), 옥타파마(OCTAGAM), 가뮤넥스-C(GAMUNEX-C), 프리비젠(PRIVIGEN), 감마가드 액상주(GAMMAGARD LIQUID) 등 시판 중인 5종의 IVIG 제품을 대상으로 4°C에서 25°C까지 다양한 온도에서 점도를 측정했다. 모든
[더구루=김명은 기자] 올리브영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적인 뷰티 박람회 '코스모프로프 북미 2025(Cosmoprof North America 2025)'에 참가해 자체 브랜드(PB)를 글로벌 시장에 소개했다. 한국의 최신 뷰티 트렌드와 기술력을 자랑하며 글로벌 K-뷰티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올리브영은 지난 15일(현지시간)부터 1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코스모프로프 북미 2025'에서 PB 제품들을 해외 바이어와 업계 관계자들에게 선보이며 K-뷰티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올리브영은 △피부 리프팅 케어에 특화된 더마(피부 개선) 코스메틱 브랜드 '바이오힐보(BIOHEAL BOH)' △민감성 피부를 위한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브링그린(BRINGGREEN)'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 출생)를 겨냥한 감각적인 색조 브랜드 '컬러그램(COLORGRAM)'을 대표 PB 3종으로 소개했다. '바이오힐보'는 피부과학에 기반한 고기능성 스킨케어로, 국내 넘버원 리프팅 크림을 포함하고 있다. 다양한 피부 타입에 맞는 효과적인 안티에이징 솔루션을 제시한다. '브링그린'은 비건
[더구루=김명은 기자] 코웨이가 얼음정수기 혁신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여름 정수기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코웨이는 16일 '아이콘 얼음정수기 스탠다드', '얼음정수기 RO'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얼음정수기 라인업을 대폭 강화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선보인 '얼음정수기 RO'는 물속에 녹아 있는 미세 플라스틱, 중금속, 바이러스 등 일상 속 유해 물질을 깐깐하게 거르는 RO필터 테크놀로지가 적용됐다. 코웨이만의 특허 기술인 '크리스털 제빙 시스템'을 탑재한 이 제품은 얼음을 생성할 때 물속 기포를 제거해 단단하고 깨끗한 얼음을 생성한다. 또한 얼음과 냉수를 따로 만들어주는 '듀얼 냉각 시스템'을 적용해 하루 최대 4.9kg의 풍부한 얼음을 만들어낸다. '아이콘 얼음정수기 스탠다드'는 글로벌 정수기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다시 한 번 만들어 나가겠다는 의지를 제품명에 담았다. 이 제품은 코웨이 가정용 얼음정수기 중 최대 용량인 1.1kg의 얼음 저장고를 탑재했다. 이는 기존 아이콘 얼음정수기 대비 약 49% 커진 용량으로, 제품 크기 변화는 최소화하면서 공간 효율성과 얼음 저장량은 극대화했다. 더 커진 얼음 용량에 맞춰 제빙 성능 역시 효율적으로
[더구루=김명은 기자] 헤어케어 브랜드 '모레모(MOREMO)'가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팝업 이벤트를 연다. 주요 제품 판매와 함께 다양한 체험 행사를 통해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16일 일본 내 총판을 맡고 있는 원더 라인에 따르면 오는 24일까지 시부야 로프트(LOFT)에서 브랜드 체험형 팝업 행사가 진행된다. 이번 팝업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것으로, 모레모의 대표 제품을 전시·판매하고, 구매 고객을 위한 선물과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가 마련된다. 행사 기간 동안에는 '실키 리치(Silky Rich)'와 '모이스트 리치(Moist Rich)' 두 가지 세트 제품이 판매된다. 이는 각각 샴푸와 트리트먼트, 프로틴 밤, 브랜드 리플렛으로 구성됐다. 또한 소셜미디어(SNS) 팔로우 이벤트를 통해 한정 스티커와 파우치를 증정하며, 구매 수량에 따라 다양한 증정품이 제공된다. 모든 구매자에게는 오리지널 쇼퍼백이 증정되며, 그 외 구매 수량에 따라 미니 보틀, 오리지널 열쇠 장식, 스티커, 손거울이 선물로 주어진다. 오리지널 스티커는 하루 선착순 100명에게만 랜덤으로 배포된다. 모레모는 한국의 뷰티 기업 '세화피앤(Sewha P&a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디웨이브 퀀텀(D-Wave Quantum)이 차세대 극저온 패키징(후공정)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유료기사코드] 디웨이브는 31일 차세대 극저온 패키징에 중점을 둔 새로운 전략 개발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미국 항공우주국(나사·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과 손잡고 이를 추진할 예정이다. 디웨이브는 JPL의 반도체 범프 본딩(Bump bonding)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간 엔드 투 엔드(End-to-End·일괄 처리) 초전도 상호 연결을 시연했다. 범프 본딩은 반도체 패키징의 하나로, 웨이퍼 내 칩 전극에 돌기 형태 범프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범프는 기판과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극저온 패키징은 반도체 칩을 극저온 환경에서 처리하는 후공정 기술을 말한다. 특히 양자칩 후공정은 초저온 작동 호환성, 매우 낮은 자기장, 완전한 초전도 상호 연결 등을 포함해 다양한 요구사항이 수반된다. 양자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인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는 외부 환경의 미세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철저한 노이즈 차단과 안정된 작동 환경이 필요하다. 초전도 큐비트나 스핀 큐비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부동산을 추가로 확보했다. 애플은 2개월간 실리콘밸리 내 부동산 매입에만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캘리포니아 지역매체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따르면 애플은 상업용 부동산 개발기업 '킬로이 리얼티(Kilroy Realty Corporation)'로부터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마틸다 캠퍼스(Mathilda Campus)를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작업은 3분기 중 완료될 예정이다. 마틸다 캠퍼스는 노스 마틸다 애비뉴(North Mathilda Avenue) 505~599번지와 웨스트 모드 애비뉴(West Maude Avenue) 605번지에 위치한 4동짜리 오피스 건물 단지로, 건물면적은 총 6만1594제곱미터(㎡)에 달한다. 애플은 이미 이전부터 마틸다 캠퍼스의 88%인 5만3884㎡를 임대해 사용해왔다. 애플은 일찌감치 해당 건물 매입에 나서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킬로이 리얼티는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실리콘밸리에 있는 캠퍼스 건물을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킬로이 리얼티는 매각 계약 사실만 발표했으며, 당시 매수자와 구체적인 건물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