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에서 2040년 배터리 탑재량이 최대 1300GWh에 달하며 재활용 수요도 급증할 전망이다. 재활용 시설에만 8조원이 넘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 프라운호퍼 시스템 및 혁신연구소(Fraunhofer Institute for Systems and Innovation Research, 이하 프라운호퍼 ISI)는 유럽에 2030년까지 400~900GWh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쓰일 것으로 예상했다. 2040년에는 연간 800~1300GWh로 확대될 전망이다. 자연스레 재활용 수요도 증가한다. 프라운호퍼 ISI는 2030년 10~20만t, 2040년 30~150만t이 재활용 될 것으로 추측했다. 현재 유럽의 폐배터리 재활용 용량은 연간 3만3000t에 그친다. 폐배터리 전량을 재활용하려면 용량이 연평균 30% 이상 증가하고 2040년까지 재활용 시설에 약 66억 유로(약 8조7870억원)가 투입돼야 한다고 프라운호퍼 ISI는 설명했다. 프라운호퍼 ISI는 재활용 관련 서비스 시장이 2040년 연간 약 10억 유로(약 1조3310억원)로 커지고 3800개 추가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재활용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 최대 전기차 급속 충전 인프라기업 '아이오니티'(Ionity)가 9000억원이 넘는 투자를 유치했다. 오는 2025년까지 충전소를 1000곳 이상 구축하고 충전 네트워크 확대에 가속페달을 밟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오니티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을 비롯해 투자자들로부터 7억 유로(약 9340억원)를 받았다. 전기차 충전망 확대에 자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아이오니티는 현재 충전소 385곳에 1500기가 넘는 초고속 충전기를 깔았다. 당초 작년 말까지 충전소 400곳, 충전기 24000기를 설치한다는 목표였지만 지연되고 있다. 아이오니티는 확장에 속도를 내 2025까지 충전소 1000곳, 충전기를 7000기 이상 구축한다는 목표다. 각 충전소에 6~12개의 충전기가 설치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아울러 교통량이 많고 충전 수요가 높은 지역에는 기존 충전소 부지에 충전기를 추가할 예정이다. 유럽 자동차 산업 분석기관 자토 다이내믹스(Jato Dynamics)에 따르면 유럽 순수전기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올해 8월 15만1737대로 디젤(14만1635대)을 제쳤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유럽 전기차 판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정치권에서 엔비디아의 ARM 인수 확률이 희박하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으로 ARM의 기업공개(IPO)가 거론된다. 27일 데일리메일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영국 장관들 상당수는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전망에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의 어두운 전망에는 현지 규제기관의 시선이 반영됐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지난 7월 엔비디아의 ARM 인수에 대한 1단계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공정 경쟁 저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었다. CMA는 2단계 심층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심층 조사는 최대 24주간 진행된다. 2개월 연장이 가능한 점을 고려하면 내년 5월 말에야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영국뿐 아니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도 양사의 인수·합병(M&A)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8월 말 "90일간 심층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었다. 업계의 반발도 극심하다. 테슬라와 퀄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삼성전자 등 ARM 고객사들은 엔비디아가 ARM을 품은 후 설계 기술 제공을 중단하거나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며 반발심을 표출했다. 규제 기관들의 승인이 지연되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올해 4월 발생한 베이징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의 원인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있다는 중국 규제 당국의 발표가 나왔다. 리튬이온보다 화재 위험이 적어 주목을 받던 LFP마저 사고에 휩싸이며 안전성 강화가 업계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시 응급관리국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베이징시 펑타이구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고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화재는 지난 4월 16일 오전 11시 50분께 발생했다. 푸웨이스오일가스회사(福威斯油气技术有限公司, 이하 푸웨이스)가 운영하던 태양광 발전소 연계 ESS에서 불이 나 소방차 47대, 소방관 235명이 투입됐다. 약 12시간 만인 오후 11시40분경 화염이 사그라들었다. 이틀이 지난 18일 오후 4시경 진압이 모두 완료됐다. 이 사고로 발전소 전기기사 1명과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 2명이 사망했고 소방관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재산 피해액은 1660만8100위안(약 31억원)에 달한다. 응급관리국은 ESS에 탑재된 LFP 배터리의 내부 합산으로 인한 열폭주라고 결론을 내렸다. 해당 배터리는 중국 배터리 회사 궈시안 하이테크(이하 궈시안) 산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제약사 알게르논 파마슈티칼즈(Algernon Pharmaceuticals Inc, 이하 알게르논)가 미국에서 소세포폐암 치료 후보물질 'NP-120'(이펜프로딜)의 임상에 시동을 건다. 알게르논은 지난 24일(현지시간) "NP-120의 임상을 위한 미국 식품의약국(FDA)과의 사전 임상시험계획(Pre-IND) 미팅 결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고 밝혔다. Pre-IND는 해당 회사가 임상을 신청해도 되는지 평가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FDA에서 알려주는 절차다.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회사는 바로 임상에 돌입할 수 있다. 알게르논은 신속히 임상시험계획서(IND) 신청서를 제출하고 임상 1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희귀의약품 지정도 추진한다. 이는 희귀·난치성 질병의 치료제 개발과 허가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 세금 감면, 허가신청 비용 면제, 7년간의 시장 독점권 부여 등 여러 혜택이 제공된다. 크리스토퍼 모로(Christopher J. Moreau) 알게르논 최고경영자(CEO)는 "FDA로부터 받은 피드백에 매우 만족한다"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뿐 아니라 소세포폐암으로 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폭스바겐의 중국 파트너사 궈쉬안 하이테크(이하 궈쉬안)가 전기차 로드맵을 공유했다. 반고체 배터리를 현지 회사에 납품해 주행거리 1000㎞ 이상 달성에 한 발짝 다가서고 2025년까지 생산능력을 현재의 4배 수준으로 키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리전 궈시안 회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열린 '2021 세계 제조 회의 신에너지자동차 산업 발전 포럼'에서 "반고체 배터리를 중국 고급 순수전기차(EV)에 공급했다"며 "주행거리 1000㎞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반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과 전고체 배터리의 중간 형태로 수명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제조 비용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리전 회장은 "2025년까지 배터리 생산능력을 300GWh로 키우겠다"며 증설 의지도 내비쳤다. 궈시안은 중국에 10곳, 독일과 인도에 1곳씩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자동차용 전지와 축전지를 합쳐 28GWh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이를 감안하면 4년 안에 10배 이상 규모가 커지는 셈이다. 에너지 절약도 모색한다. 궈시안은 1GW 배터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50%가량 줄였다. 음극재 생산에 전기가 많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리비안이 투입 자본 대비 생산 효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루시드모터스와 테슬라도 하위권으로 전통적인 완성차 회사보다 생산 효율성이 떨어졌다. 24일(현지시간) 스페인 경제일간지 엘이코노미스타(Eleconomista)에 따르면 자본계수는 리비안은 약 340만 유로(약 45억원)로 추정된다. 이어 루시드모터스(225만 유로·약 30억원), 테슬라(123만 유로·약 16억원), 다임러(2만8000유로·약 3730만원), 토요타(2만4000유로·약 3200만원), 폭스바겐(1만 유로·약 1330만원) 순이었다. 자본계수는 한 단위의 생산물을 만드는 데 자본이 얼마나 필요한지 보여준다. 자본계수가 높을수록 자본의 생산 효과가 낮다는 뜻이다. 즉 대량 양산이 경험이 풍부한 전통적인 완성차 업체와 비교해 신생 전기차 회사들은 투입 비용 대비 생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엘이코노미스타는 이러한 수치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스타트업의 기업가치가 주식 시장에서 고평가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테슬라는 주당 1000달러(약 110만원)를 넘으며 지난달 자동차 회사 최초로 시가총액 1조 달러(약 1190조원)를 돌파했다. 리비안은 이달 10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내년 2월 종료를 앞둔 태양광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ITC 권고를 수용해 연장이 확정되면 미국 공장을 가동 중인 한화큐셀과 LG전자가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ITC는 24일(현지시간) 수입산 태양광 셀·모듈에 대한 세이프가드 연장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제이슨 컨즈 위원장과 랜돌프 스테인 부위원장 등 위원회 5명 전원이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졌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이 과도하게 수입돼 자국 산업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 우려가 있을 시 관세 인상이나 수입량 제한 등으로 규제할 수 있는 조치다. 태양광 세이프가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지난 2018년 2월 7일 발효됐다. 2.5GW를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 1년 차에 30%, 2년 차 25%, 3년 차 20%, 4년 차 15%의 관세가 매겨졌다. 내년 2월 종료를 앞두고 지난 8월 수니바와 옥신 솔라가 ITC에 세이프가드를 4년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한화큐셀 미국법인과 LG전자 미국법인, OCI의 미국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인 미션 솔라에너지(Mission Solar Energ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1S' 배송을 4개월 이상 늦췄다. 전기 픽업트럭 R1T에 이어 R1S도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R1S 런치 에디션을 사전 주문한 고객들에게 배송 지연을 알리는 메일을 보냈다. 당초 내달 생산에 들어가 내년 1월 인도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첫 번째 배송은 내년 5~6월로 미뤄졌다. 이는 그나마 가장 빠른 일정이다. 올해 3월 예약한 고객은 내년 6~7월에야 차량을 받게 됐다. 내년 7~9월 배송된다고 통보받은 고객도 있었다. 배송 일정이 줄줄이 지연되며 일부 고객들은 주문을 취소했다. 리비안 차주 커뮤니티인 '리비안 오너스 포럼'(RivianOwnersForum)에는 기다리는 데 지쳤다며 불만을 표출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리비안은 R1S의 생산 일정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배송 연기를 고려할 때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 해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R1S와 R1T는 5만대 넘게 사전 예약이 이뤄졌다. 높은 호응을 얻고 있지만 생산 속도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리비안은 지난 9월 R1T를 출시한 후 하루 2대꼴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3㎚(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에서 AMD나 퀄컴의 주문을 획득할 것으로 보이며 선두 지위를 노리는 가운데 '파운드리 1위' TSMC의 변함없는 자신감이 현지에서 주목받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대만 IT매체 마이드라이버스(MyDrivers) 등에 따르면 웨이저자(魏哲家) TSMC 총재는 지난달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3나노 제품군은 (TSMC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장기적으로 쓰이는 공정이 될 것"이라며 "고성능 컴퓨팅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완벽한 플랫폼도 개발했다"고 밝혔다. 웨이저자 총재의 발언은 삼성전자가 3나노에서 퀄컴 또는 AMD를 첫 고객사로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나온 후 현지 언론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3나노 공정에서도 파운드리 업계 선두 지위를 지킬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해석된다. TSMC는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양산 타이틀'을 삼성에 빼앗겼다. TSMC는 7월부터 양산 예정인 인텔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에 3나노 공정을 최초로 적용하기로 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내년 상반기 3나노 반도체를 양산한다. 고객사들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TSMC의 파트너였던
[더구루=오소영 기자] 청호나이스가 23일 사회복지기관인 '글라라의 집'에 업사이클링 커피비누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커피비누는 청호나이스 MZ세대 직원들이 사내에서 자사 '커피머신얼음정수기'를 쓰며 나온 커피캡슐을 수거해 제작했다. 복선영 청호나이스 대리는 "저희가 직접 제작해 만든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사회복지기관에 마음을 전달할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청호나이스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기업이 되는데 일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청호나이스는 MZ세대 직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회사 발전 방안과 전략을 도출하고자 젊은 직원들 모임을 올해 초 결성해 운영하고 있다. 한편, 글라라의 집은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노인요양보호시설로 청호나이스가 지속적으로 후원해오고 있는 기관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구마모토현이 대만 TSMC의 신공장 건설을 지원할 전담 조직을 꾸렸다. 반도체 인재 육성과 교통망 구축을 약속하고 전방위적인 지원 의지를 내비치며 TSMC의 투자에 탄력이 붙게 됐다. 아사히신문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TSMC의 투자를 지원하는 구마모토현 내 추진 본부가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가졌다. 가바시마 이쿠오 구마모토현 지사가 해당 본부를 이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재 부족과 교통 인프라가 핵심 의제로 올랐다. 구마모토현은 작년 3월 현내에 고등학교 졸업생 가운데 다른 지역 기업에 취직한 비중이 38%로 전체 광역자치단체에서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 본부는 현내 기업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구마모토현 현립 기술단기대학교의 학과 재편과 새 커리큘럼 도입을 통해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고 TSMC의 수요에 대응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통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고가도로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남북 간선도로가 적어 통근 시간에 혼잡이 잦은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가바시마 지사는 "모든 청이 하나가 돼 국가적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하자고"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TSMC의 구마모토현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파운드리 업체 TSMC가 1021억 원 규모 자회사 유휴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산하는 한편 생산 거점을 다변화, 아세안 내 차세대 반도체 '허브'를 본격 구축한다는 각오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최근 이사회에서 약 22억1000만 대만달러(약 1021억 원) 상당 유휴 반도체 제조 장비를 싱가포르 합작사 ‘비전파워 반도체 제조(VSMC)’에 매각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VSMC는 TSMC 대만 계열사인 뱅가드 인터내셔널 세미컨덕터(VIS)가 네덜란드 NXP와 손잡고 설립한 파운드리 법인이다. VSMC는 이번 장비 매입을 통해 130~40나노미터(㎚) 범용 공정 기술 기반 생산라인을 본격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7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2029년까지 월 5만5000장의 웨이퍼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황후이란 VSMC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에 도입되는 장비는 자동차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혼합 신호, 전력 관리, 아날로그 반도체 생산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VSMC는 총 78억 달러(10조 8451억 원) 규모 투자로 설립되는 신규 합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기전자 기업 샤오미(Xiaomi)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칩을 출시한다. 샤오미는 애플의 시스템온칩(SoC) 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해 모바일 생태계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레이쥔(Lei Jun) 샤오미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샤오미가 독자 개발한 모바일 SoC인 엑스링O1(XringO1)이 5월 말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샤오미가 자체 개발한 엑스링O1은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생산은 대만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을 이용한다.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엑스링O1은 3.2기가헤르츠(GHz) 프라임 코어 1개와 2.5GHz 퍼포먼스 코어 3개, 2.0GHz 효율성 코어 4개로 구성됐다. 성능은 2022년 출시된 퀄컴 스냅드래곤 8 젠2 모델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가 자체 모바일 칩 개발에 나선 배경에는 애플 벤치마킹 전략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지난 2010년 1세대 아이패드와 아이폰 4를 출시하면서 맞춤형 칩인 A4를 탑재하기 시작했다. 이후 A시리즈 칩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강력한 성능을 상징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