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중국에서 초심을 잃지 않고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의 사업 확장이 회사 성장과 밀접하기 때문이다. 작년까지 누적 투자액은 12조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국 해외망(海外网)에 따르면 황영신 LG화학 중국BS그룹장(상무)은 지난 11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LG화학의 기업 발전과 사업 포트폴리오는 중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라고 전했다. 황 상무는 "LG화학은 국내 화학 기업 최초로 중국에 투자하며 30년 넘게 중국 시장에 깊게 관여했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1995년 톈진에 폴리염화비닐(PVC) 생산법인인 다구 공장을 설립하며 중국에 첫발을 디뎠다. 3년 후 닝보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ABS) 생산시설을 건설했다.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을 넘어 미래 먹거리인 배터리 소재 투자도 단행했다. 2020년 중국 화유코발트와 취저우에 전구체, 우시에 양극재 합작공장을 지었다. 현재 중국에 2개 연구법인과 14개 공장, 2개 판매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작년까지 중국 누적 투자액은 약 91억 달러(약 12조6000억원), 총 직원 수는 3600명 이상이다. 황 상무는 "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 당국이 2022년 채택이 불발된 암호화폐 채굴 규제 법안을 재상정할 준비를 하고 있다. 러시아 당국은 미국의 제재로 국경 간 거래에 강점이 있는 암호화폐에 주목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 재무부, 러시아 연방재정감시국 등이 암호화폐 규제안을 상정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중앙은행 등은 차주 안으로 해당 법안을 러시아 국가회의(연방 하원, State Duma)에 제출할 예정이다. 법안 내용은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는 없지만 암호화폐 산업 전반을 법적 테두리 안에 넣고 규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암호화폐 채굴 산업 등이 합법화된다. 러시아 당국이 암호화폐 관련 패키지 법안을 처리하려던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암호화폐 관련 법안은 지난 2022년 11월 연방 하원에 상정됐으나 처리가 불발됐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러시아에 대한 12차 제재 패키지가 도입되면서 국경 간 결제가 더욱 어려워졌고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다시금 암호화폐를 합법화 하기 위한 작업이 시작됐다. 러시아 암호화폐 산업계에서도 규제안 재상정 소식에 긍정적 반응이 나오고 있다. 러시아 암호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세계 3대 항공기 제작사인 브라질 '엠브레어' 자회사 '이브 에어 모빌리티(Eve Air Mobility, 이하 EAM)'로부터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핵심 부품 수주를 따냈다. 기체 개발부터 부품 공급에 이르기까지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전 생태계를 아우르며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EAM은 14일(현지시간) KAI를 자사 eVTOL 파일론 공급업체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파일론은 항공기의 날개, 동체와 엔진 등을 연결하는 구조물이다. 구체적인 공급 규모와 납품 일정 등은 알리지 않았다. KAI는 EAM과의 공급 계약을 계기로 AAM 부품 시장 진출 신호탄을 쐈다. 특히 대외적으로 공개된 첫 파일론 수주 사례다. KAI가 취급하는 다양한 항공기 부품 중 파일론 설계·제작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뛰어든지 6년 만이다. 미래 모빌리티 분야 신사업으로 낙점한 2개 분야에서 접점을 가진 공급 계약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수주는 KAI와 EAM 모회사인 엠브레어와의 오랜 파트너십이 기반이 됐다. KAI와 엠브레어는 지난 2009년 소형 제트기 동체부분 제작 계약을 체결하며 인연을 맺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DB손해보험 베트남 자회사 PTI(우정통신보험)가 올해 실적 부진을 전망했다. 그동안 지켜왔던 손해보험 시장점유율 3위 자리도 한 계단 낮은 4위로 내려 앉을 것으로 예상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PTI는 최근 이사회 회의를 열고 올해 보험 사업 활동 수익 목표를 5조3530억 동(약 3000억원)으로 설정했다. 금융 투자 활동 수익 목표는 2792억 동(약 150억원)으로 잡았다. 세전이익과 세후이익의 경우 작년보다 30.8% 감소한 2200억 동(약 120억원), 1750억 동(약 100억원)으로 각각 예측했다. 최근 수년 간 지켜왔던 손해보험 시장점유율 3위도 4위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PTI는 지난해 예금과 채권 등 유동성 높은 자산을 중심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인상적인 성과를 거뒀다. 총 투자 자본은 감소했지만 금융 수익은 460조2940억 동(약 25조4500억원)에 달해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 중 최고치다. 총 보험 보상 비용은 2조1880억 동(약 1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감소했으며, 사업 관리 비용도 2080억 동(약 1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5% 줄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싱가포르 해안 지속가능성을 위해 결성한 '코스탈 서스테인빌리티 얼라리언스(COASTAL SUSTAINABILITY ALLIANCE, CSA)'에 합류했다. 해운연합의 회원사로써 차세대 해안 생태계 구축에 함께 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쿠옥마리타임그룹(Kuok Maritime Group)이 주도하는 CSA에 가입했다. 한화에어로를 포함한 9개 회원사가 신규 회원으로 합류해 결성 초기 7개 회원사이던 CSA 회원사는 현재 27개로 확장됐다. 신규 회원사는 금융, 녹색 에너지, 기업·환경 컨설팅, 해양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다. △한화에어로 △중국 에너지저장업체 CIMC Energy Storage △싱가포르 DBS은행 △미국 경영컨설팅업체 그랜트 손튼(Grant Thornton) △싱가포르 예인서비스업체 KST 마리타임(Maritime) △싱가포르 운송업체 마리나 오프쇼어(Marina Offshore) △싱가포르 경영컨설팅 파이아 컨설팅(Paia Consulting) △독일 지멘스 에너지(Siemens Energy) △싱가포르 운송업체 트랜스포트 캐피탈(Transport Cap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카콜라가 글로벌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과 협력해 멕시코에서 코카콜라 제로 한류(K-Wave)를 내세운 이벤트를 펼친다. K-팝 팬들을 겨냥한 마케팅을 꾸준히 전개하며 코카콜라 제로 한류 마케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코카콜라는 세븐일레븐과 멕시코 K-팝 팬들을 대상으로 한 댄스 챌린지 이벤트 '한류 콘테스트'를 진행한다. 세븐일레븐은 멕시코에서 18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4명이 팀을 이뤄 코카콜라 제로 한류 4캔을 구입하고 독창적인 K-팝 스타일의 안무 영상을 촬영해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Tiktok)에 게시하면 이번 콘테스트에 참가할 수 있다. 해당 콘텐츠에는 출연자가 코카콜라 제로 한류를 들고 있거나 마시는 모습이 담겨 있어야 한다. SNS에서 가장 높은 호응을 받은 상위 5개 팀은 향후 멕시코 북동부에 있는 도시 몬터레이(Monterrey)에서 열리는 '7랜드'(7 Land) 이벤트 무대에서 댄스 경연을 펼치게 된다. 코카콜라는 우승팀에게 서울 여행권을 선물할 예정이다. 코카콜라 제로한류는 지난 2월 한국, 멕시코, 미국, 프랑스, 스페인 등 전세계 36개국에 론칭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가 1분기 글로벌 순수 전기차(BEV) 시장에서 부진했다. 지난해 9월부터 판매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15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올해 1분기(1~3월) 글로벌 BEV 시장에서 총 274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53% 두 자릿수 감소한 수치이다. 브랜드 전기차 모델 G80 전동화 모델과 GV70EV, GV60 3종 판매량이 전체적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지난달 월간 판매량의 경우 전년 대비 62% 두 자릿수 줄어든 1044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제네시스는 지난해 9월부터 7개월째 글로벌 BEV 판매 그래프가 우하향하고 있다. 지난해 전년 대비 성장을 일구는 데 아쉽게 실패한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앞서 제네시스는 지난해 글로벌 BEV 시장에서 전년 대비 0.5% 감소한 1만8759대를 판매한 바 있다. 제네시스는 올해 미국 BEV 시장을 중심으로 BEV 판매량을 늘려가겠다는 계획이다. 미국 BEV 시장에서 제네시스 브랜드 존재감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만큼 기대감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 제네시스는 지난해 미국 프리미엄 BEV 시장에
[더구루=이연춘 기자]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대형플랫폼의 한국 진출 본격화로 해외직구 규모가 역대 최대치로 성장함에 따라 ㈜한진이 시장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 인천공항 GDC의 자체 통관장에 대한 과감한 시설 투자를 통해 초국경 택배(CBE · Cross Border E-commerce) 시장 선점에 나선다. ㈜한진은 지난 3일 인천공항본부세관으로부터 인천공항GDC의 자가통관장 확장 관련 수행계획서를 최종 승인받고 지난 5일부터 증설 공사에 돌입했다. 올 하반기 중 준비를 마치고 연말 이전에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한진은 자체 통관장 운영 캐파를 기존 월 110만 박스에서 220만 박스로 2배 늘려 국내 항공특송 전체 물량 월 840만건 가운데 26% 이상을 소화하며 국내 특송 업계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위한 시설 투자비는 약 100억원 가량이며, 통관 물량이 확대됨에 따라 상품을 더 빨리 받아볼 수 있는 소비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해외직구 배송의 경우 정부 및 업계에서 보유하고 있는 통관시설 대비 해외물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 해외직구는 2022년 9600여만건에 6조2000억원으로 역대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과 블록체인 플랫폼 헤데라(Hedera)가 스테이블코인 시범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헤데라재단은 지난 11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신한은행, 스탠다드은행 등과 헤데라 네트워크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범 사업 세부 정보를 공개했다. 헤데라재단은 "신한은행과 스탠다드은행이 헤데라 네트워크를 활용한 스테이블코인 파일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면서 "파일럿 프로젝트는 헤데라 토큰 서비스와 스마트 계약 서비스를 사용해 독점적인 스테이블코인을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 원화와 태국 바트화, 대만달러 등 전반에 걸쳐 실시간 결제 및 환율 통합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앞서 신한은행은 작년 8월 태국 SCB테크X, 대만의 한 금융기관은 스테이블코인 송금 개념증명 시범 사업을 완료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7월 18일자 참고 : 신한은행, 헤데라 기반 '스테이블코인' 송금 개념증명 완료> 이 개념증명은 고효율·친환경적인 헤데라의 오픈소스 공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했다. 신한은행 등은 우리나라 원화와 태국 바트, 대만달러의 실시간 결제·외국환 거래 환율 통합 등을 달성했다. 이번 작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폴란드에 '호마르-K(HOMAR-K, K-239 천무 폴란드명)' 18대를 납품했다. 한화에어로는 적기 납품 능력을 인정받아 1조6000억원 규모의 2차 실행 계약도 앞당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는 최근 폴란드에 다연장로켓(MLRS) K239 천무의 폴란드향 발사대 18대를 인도했다. 올해 말까지 36대의 시스템을 추가로 납품해 총 54대를 전달한다. 전달된 발사대는 폴란드 옐츠(Jelcz) 8X8 차량과 통합된다. 또 폴란드 WB그룹이 개발한 토파즈(TOPAZ) 시스템과도 연동된다. 토파즈 시스템은 토파즈 통합 전투 관리 시스템, 포넷(FONET) 디지털 통신 플랫폼, 무선 통신 세트가 포함된다. 로버트 셀렌바움(Robert Szelenbaum)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럽법인 수석관리자는 "폴란드군이 18대의 K239 천무 발사대를 받았다"며 "올해 말까지 36대의 시스템이 추가로 인도되고, 오는 2026년까지 폴란드군은 총 144대의 발사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폴란드 국방부는 한화에어로의 K239 천무 288대를 구매했다. 천무 공급 규모는 미사일 약 2만여발을 포함해
[더구루=정등용 기자] KB증권 베트남(KBSV)이 올해 총영업이익 목표를 14% 상향했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B증권 베트남은 올해 총영업이익 목표치를 6830억 동(약 380억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총영업이익 5968억 동(약 330억원)보다 14% 높은 수치다. 올해 세전이익은 2970억 동(약 160억원)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세전이익 2987억 동(약 16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KB증권은 "자본금 추가 확보 계획은 없으며, 현지법령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이후 임의적립금 중 일부를 자본금으로 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KB증권 베트남은 전문철 법인장을 법률대리인이자 사장으로 선임했으며, 노종갑 KB증권 글로벌사업본부장과 최윤선 KB증권 베트남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신임 이사회 후보로 포함 시켰다. KB증권은 지난 2017년 현지 증권사 마리타임증권을 인수하며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베트남 하노이증권거래소(HNX) 시장 점유율 톱10에 진입했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셀트리온은 ‘2024 세계골다공증학회(WCO-IOF-ESCEO, World Congress on Osteoporosis, Osteo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이하 WCO)’에서 골다공증치료제 프롤리아(PROLIA, 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CT-P41’의 3.1 임상 78주 동안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24번째로 개최되는 WCO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골다공증 관련 국제학술대회로, 현지시간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진행됐다. 셀트리온은 학회에서 구두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50세 이상 80세 이하 폐경 후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 환자 47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T-P41 글로벌 3.1 임상의 상세 데이터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해당 임상에서는 CT-P41과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52주차의 요추 골밀도 변화량[1]을 1차 평가 변수로 분석한 결과, 두 투여군간 차이가 사전에 정의된 동등성 범위 내에 들어와 치료적 동등성을 입증했다. 또한 약력학적 1차 평가 변수인 골대사 주요 지표 ‘s-CTX’의 첫 6개월 간 효과 곡선하 면적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