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고로 개보수 자금 조달 압박 위기…글로벌 시민단체들, 금융 지원 중단 공동 서한

은행권에 포스코 노후 고로 개수 자금 지원 중단 촉구
고로 개보수가 탄소 감축 지연·금융 리스크 확대 우려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가 노후 고로 개보수 계획으로 인해 자금 조달 압박 위기에 직면했다. 글로벌 시민단체들이 석탄 기반 제철 생산 연장을 저지하기 위해 조직적인 반대 움직임에 나서면서다.

 

14일 국제 비정부기구(NGO) 뱅크트랙(BankTrack)에 따르면 뱅크트랙과 기후솔루션(SFOC)을 포함한 21개 단체는 17개 글로벌 주요 은행에 포스코 고로 개수에 대한 금융 지원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 서한을 보냈다. 단체들은 고로 개수가 15년 이상 탄소 감축 시기를 지연시켜 금융권의 넷제로 목표와 글로벌 기후 약속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서한은 포스코가 포항과 광양의 노후 고로 두 곳을 교체하는 개수가 15~20년 수명 연장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약 1억3700만 톤(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고착화한다는 설명이다. 

 

포스코 고로가 매년 수백 건의 조기 사망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공중보건 비용을 유발한다는 점도 언급됐다.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규제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 하락과 주가 급락 등 금융 불확실성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이번 공개서한은 지난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로, 철강 부문 탈석탄·탈탄소 전환을 촉구하는 지속적인 압박의 일환이다. 특히 이번에는 금융권에 직접 전달돼 자금 조달 차단을 목표로 해 실제 사업 추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포스코는 철강 생산량 유지를 위해 당분간 고로 개수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하이렉스(HyREX)' 기술을 개발한 뒤 2030년 이후 개수 시점에 도래하는 고로부터 단계적 전환을 추진해 2050년까지 전 고로 설비를 대체할 계획이다. 전환 과정에서는 전기로를 신설·활용할 예정이며, 약 6000억원을 투자해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설치하고 내년부터 가동을 시작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고로 개수는 현장 안전을 지키는데 반드시 필요하고 대한민국 경제 안보 차원에서도 필요한 조치로 이해 돼야 한다"며 "당사는 저탄소 공정 전환 과정에서 고로 보수도 필요한 범위 내 에서만 진행하고 있으며 대내외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고로 개수와 함께 다양한 탄소저감 기술개발도 병행해 나가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줄리아 호베니어 뱅크트랙 캠페인 리드는 "포스코는 기후 변화 대응에 진지하지 않다는 것을 이미 보여줬고, 무조건 자금을 대는 은행들도 마찬가지"라며 "포스코 고로 개수에 ‘레드라인’을 긋는 것이 은행들이 기후 대응에 진지함을 보여주는 최소한의 조치"라고 말했다.

 

권영민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포스코의 고로 수명 연장은 수십 년간 추가 탄소 배출을 유발해 국제 기후 목표 달성을 더욱 어렵게 한다"며 "금융기관은 투자를 기후 약속에 맞게 조정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공개서한은 ANZ, 뱅크오브아메리카, BNP파리바, 골드만삭스, HSBC, JP모간체이스, KB금융, 미래에셋금융, NH농협금융, 미쓰비시 UFJ, 미즈호, 스탠다드차타드, 스미토모 미쓰이 등 17개 한국·미국·유럽·일본·호주 주요 금융사 최고경영자(CEO)에 발송됐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