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펫코노미, 신시장으로 급부상

불경기 속에서도 고성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반려동물 시장(펫코노미)가 불경기 속에서도 고성장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 특히 1선과 2선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세를 보이고 있어 중국 진출을 원하는 기업들의 타깃팅 전략이 요구된다. 

 

코트라 청두무역관은 지난 16일 '중국, 새로운 시장으로 뜨고 있는 반려동물 산업은?'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펫코노미 성장 현황을 소개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싱글족, 독거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통한 '정신적인 동반'이라는 개념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개념이 확산되면서 펫코노미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 리서치(iiMedia Research, 艾媒咨詢)에서 발표한 '2023~2024년 중국 반려동물산업 현황 및 모니터링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반려동물 산업 규모는 5928억 위안(약 112조원)에 달했으며 향후 연평균 20%를 상회하는 성장률을 보이며 2025년에는 8114억 위안(약 154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 내 반려동물 애호가들은 젊은 소비층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시 별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1선 도시들과 청두, 충칭, 항저우, 우한, 쑤저우, 시안, 난징 등 신1선 도시들이 주도하고 있다. 

 

신1선 도시 중 청두의 펫코노미의 발전 속도도 가파르다. 2017년 청두의 반려동물 수는 150만 마리로 집계됐으나 2023년에는 500만 마리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청두의 펫코노미는 식품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반려동물 동반 장소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테마파크, 의료, 위탁양육, 오락, 장례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트라 청두무역관은 "동물 복지를 위한 소비력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다양한 반려동물 산업 수요도 다양화되고 있다"며 "중국 시장 진출을 고려할 시에는 주요 1~2선 도시를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 및 서비스 위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