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솔브레인홀딩스의 자회사 이스라엘 픽셀메디컬 테크놀로지스(PixCell Medical Technologies, 이하 픽셀메디컬)의 자동혈구분석기가 미국 규제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했다. [유료기사코드] 픽셀메디컬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직접 모세혈 샘플링용 헤모스크린(HemoScreen™)에 대한 510(k)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510(k)는 의료기기를 미국에 유통·판매하기 전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절차다. 헤모스크린은 혈액 내 백혈구와 적혈구 등 혈구 세포 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기다. 혈액 샘플을 채취해 이를 카트리지에 담고 카트리지를 기기에 삽입하면 끝난다. 사용 방법이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으며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 픽셀메디컬은 2018년 대량 장비가 있는 검사실이 아니라 현장에서 빠르게 검진할 수 있는 현장진단(Point of Care)용으로 FDA로부터 허가를 받았었다. 헤모스크린은 현재까지 PoC용으로 승인된 유일한 5-파트 분석기다. 5-파트 분석기는 단핵구, 호중구, 림프구, 호염기구와 호산구 등의 모든 분류의 백혈구를 감지 가능한 기기를 뜻한다. FDA는 이번 허가로 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재전문기업 솔브레인이 미국에 배터리용 고순도 전해액 생산공장을 짓는다. 여기서 생산된 전해액은 삼성SDI·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공장에 공급된다. 현지에서 원료는 공급 받는 만큼 삼성SDI·스텔란티스 배터리 합작공장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 역량도 강화될 전망이다. 솔브레인 미국법인 솔브레인MI는 13일(현지시간)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 7500만 달러(약 970억원)를 투입해 리튬이온 배터리용 고순도 전해액 생산기지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이 들어설 곳은 그레이터 코코모 경제개발연합 산업단지로 8만9030㎡ 규모 부지 위에 건설된다. 2023년 3월 착공하며 2024년 초에는 엔지니어, 기술자를 포함한 채용을 진행한다. 솔브레인MI의 신규 생산기지는 코코모시에 건설되고 있는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합작 배터리 공장에 배터리용 고순도 전해액을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SDI와 스텔란티스는 지난 5월 24일 코코모시에 합작법인(JV)를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합작법인의 첫 공장은 올해 말 착공해 2025년 1분기부터 본격 가동된다. 초기 생산 규모는 연간 23기아와트시(GWh)이며 향후 33GWh까지 확장한다는 목표다. 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의 주요 집적회로(IC) 설계 업체들이 하반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을 크게 줄이고 있다. 관세로 인한 수요 증가 효과가 종료되고, 스마트폰과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등의 수요가 예상보다 미미한 회복을 보이는데다 신대만 달러(NDT) 강세에 따른 지속적인 압박이 이어지자 주문 물량을 대폭 축소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3분기 성숙 노드용 웨이퍼 파운드리 주문량이 2분기 대비 20~30% 감소했다. 이로 인해 성숙 노드 파운드리 시설의 가동률은 상반기 약 70%에서 하반기 60%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 미국이 8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상호 관세를 시행함에 따라 웨이퍼 파운드리의 초기 주문 증가 모멘텀은 종료되고, 글로벌 소비재 시장의 지속적인 약세로 인해 성숙 노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약화됐다. 신대만 달러(NTD)의 급격한 강세도 대만 반도체 산업, 특히 파운드리 업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기관 분석과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NTD가 1% 상승할 때마다 파운드리 매출 총이익률은 일반적으로 0.3%에서 0.5% 감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 기업 엔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에 불만을 표출했다. EU가 공급망 내 인권 보호와 환경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의무화한 CSDDD에 따라 유럽으로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카타르의 유럽 가스 공급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이같은 공식 경고 조치에 유럽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는 벨기에 정부를 포함해 유럽 국가에 CSDDD가 완화되지 않을 경우 LNG 수출을 유럽 외부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통보했다. 사드 셰리다 알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 겸 카타르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카타르가 EU의 새로운 규제 체계가 상업 거래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며 "유럽 말고 아시아가 안정적이고, 우호적인 사업 환경으로 여겨져 가스 수출을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타르는 유럽에서 활동하는 대기업의 환경·사회적 영향을 규제하기 위해 채택된 CSDDD가 EU와 무역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CSDDD가 파리협정의 1.5도 상승 제한 목표를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