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 필리조선소를 방문한 미국 고위 군·정부 인사가 조선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에 하나의 목소리를 냈다. 타국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조선업 역량을 키우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정부와 해군이 손발을 맞추며 한화와의 전략적 협력도 현실화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미 해군연구소 뉴스(USNI News)에 따르면 존 펠런 미국 해군성 장관은 지난달 30일 한화 필리조선소 방문 당시 인터뷰에서 "제 목표는 분명하다"며 "하루 빨리 배를 바다에 띄우는 것"이라고 전했다. 펠런 장관은 조선 인프라 육성을 강조했다. 그는 "양질의 군함 건조를 위해선 우수한 상선 건조 역량이 필수적"이라며 "단순히 해외에 아웃소싱해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며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중 용도 상선(Dual-use commercial·군사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선)이 해군의 중요한 전략 자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펠런 장관은 미국 정부가 '조선업 재건'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높이 샀으나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진행 중인 59개 프로그램 중 58개가 일정 지연과 예산 문
[더구루=김예지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전사적 인공지능(AI) 전환(AI Transformation, 이하 AX)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개발부터 생산, 사무까지 전 영역에 자체 개발 AI를 적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시간과 비용은 대폭 줄였다. LG디스플레이는 5일 'AX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사 차원의 AI 기반 업무 혁신 전략을 소개했다. △개발 △제조 △사무 등 주요 부문에 AI를 어떻게 적용했는지 구체적인 사례도 공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를 'AX 혁신 원년'으로 선언했다. 향후 3년 내 전사 생산성 30% 향상을 목표로 한다. 개발 부문에서는 설계 자동화가 대표적이다. 이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의 엣지 설계에 AI 알고리즘을 도입한 결과, 기존 한달이 걸리던 작업을 8시간 만에 끝낼 수 있게 됐다.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보상 패턴 설계가 자동화되면서 오류도 크게 줄었다. 광학 설계도 AI가 시뮬레이션부터 설계안 제안까지 전 과정을 처리한다. 생산 영역에도 AI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OLED 제조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하고 문제 원인을 파악해 해결 방안을 제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중국에서 높은 성장률을 기록, 반등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특히 지난달 비수기에도 불구, 전년 동기 대비 40%에 달하는 성장폭을 기록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지난달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1만776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1만2548대) 대비 41.5% 급증한 수치다. 올 들어 1~7월 누적 판매량도 11만7777대에 달한다. 현대차는 지난 5월 이후 3개월 연속 반등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1만4964대를 기록하며 다소 주춤했던 판매량은 △5월 1만8833대 △6월 2만1713대로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6월의 경우 올해 들어 처음으로 월간 판매 2만대를 돌파하며 전월 대비 66% 수직 상승했다. <본보 2025년 7월 3일 기사 참고 현대차, 中 반등세 '뚜렷'…상반기 10만대 돌파> 중국 판매 반등 배경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개선과 다각적인 마케팅 활동이 꼽힌다. 베이징현대는 2025년을 ‘신에너지 브랜드 원년’으로 선언하고, 현지 전략형 전기 SUV ‘일렉시오(ELEXIO)’ 출시에 박차를 가하는 등 전동화 전환과 브랜드 체질 개선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모잠비크와 프랑스 에너지 기업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 SE, 이하 토탈)가 200억 달러(약 27조6800억원) 규모로 추진하는 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재개 협상이 타결 초읽기에 돌입하면서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의 LNG 운반선 수주가 가시화되고 있다. 현지 정세 악화로 무기한 연기됐던 프로젝트가 재개되면서 5년째 기다리던 LNG 운반선 수주 낭보가 기대된다. 5일 탄자니아 석유·가스 전문 매체 탄자니아 페트롤리엄(tanzania petroleum)에 따르면 다니엘 프란시스코 챠포(Daniel Francisco Chapo) 모잠비크 대통령은 최근 토탈과 만나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 활동으로 4년 전 중단된 200억 달러 규모의 LNG 프로젝트 재개를 위한 협상을 조만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프리카 역사상 최대 외국인 투자 사업인 모잠비크 LNG 프로젝트는 토탈이 운영을 맡고 있다. 챠포 대통령은 "7월 초에 패트릭 푸얀네 토탈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모잠비크 프로젝트 재개에 대해 논의했다"며 "모든 것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프로젝트 재개 시점에 대해서는 "이달에 협상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덧붙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중국에서 처음 개최되는 글로벌 무선 센싱 경진대회 'SSC(SDP Sensing Challenge) 2025'의 공동 주최사로 이름을 올렸다. 국제 기술 협력을 통해 센서리스 감지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앞당기고 미래 디지털 생태계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5일 SSC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LG전자는 △중국통신기업협회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통신감지통합기술위원회 △화웨이 △인텔 △중흥통신 △토요타 등 글로벌 기관·기업과 함께 'SSC 2025'의 공동 주최사로 참여했다. 이 대회는 인공지능(AI) 기반 무선 감지 기술의 글로벌 기술 발전과 상용화를 목표로, 국제 학술대회 'ACM 모비컴(MobiCom) 2025'와 연계해 열린다. LG전자는 CTO부문 내 C&M 표준연구소가 심사 역할을 수행하는 주최사로 이번 대회에 참여한다. C&M 표준연구소는 △프라이빗 5G, 6G 통신 △미디어 △커넥티드 모빌리티 △사물인터넷(IoT) 커넥티비티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참가팀은 와이파이(Wi-Fi) 신호와 같은 무선 채널 상태 정보(CSI)를 기반으로 존재 감지, 행동
[더구루=김명은 기자] 대한화장품협회가 국내 화장품 기업의 수출판로 확장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일본에서 매년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럭스토어쇼'에 3년 연속 참가하며 K-뷰티 측면 지원에 나섰다. 5일 일본 드럭스토어쇼에 따르면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8일부터 10일까지 3일간 도쿄 최대 전시장 빅사이트에서 열리는 박람회에 참가한다. 국내 화장품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을 돕고, K-뷰티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하는 가교 역할을 할 계획이다. 일본 드럭스토어쇼는 일본 체인 드럭스토어 협회(JACDS)가 주최하며, 드럭스토어 관련 제품, 정보, 시스템 등이 총망라된다. 화장품을 비롯해 최신 의약품, 건강식품, 생활용품 등 일본 드럭스토어에 있는 모든 제품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거대 박람회다. 이번 행사에서는 오하다, 메디브릿지 등 대한화장품협회 소속 9개 기업, 20개 이상의 브랜드가 소개될 예정이다. 스킨케어, 이너뷰티 제품부터 미용기기까지 더욱 다양한 K-뷰티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 대한화장품협회는 행사 기간 동안 홍보 부스를 운영하며 국내 화장품 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한다. 현지 유통사와 우호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국내 화장품 기업의 일본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의 관세와 칠레 최대 광산의 지진으로 인한 가동 중단이 맞물리며 구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지 업계 관심이 커지고 있다.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구리 현물 가격은 지난 4일(현지시간) 톤당 9707.50달러(약 1345만원)로 0.8% 상승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금속 품목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구리값은 지난주 소폭 반등했다. 다만 백악관은 최종 발표에서 정제 구리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하며 시장 혼란을 일정 부분 진정시켰다. 이 결정 이전 미국의 구리 가격은 사상 최고치에서 단숨에 22% 급락해 LME 글로벌 벤치마크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후 관세 제외 방침이 알려지면서 거래 분위기가 안정됐다. 업계 관심은 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으로 선적됐던 대규모 구리 물량이 어떻게 처리될지에 쏠리고 있다. 지난 4일(현지시간) CME 그룹에서 거래된 뉴욕상품거래소(COMEX) 선물 가격이 여전히 LME 현물 가격보다 톤당 약 1.5% 높게 유지되면서 당분간 수출 물량 이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투자은행 뱅크 오브 아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 공군(IAF)이 한국이 독자 개발한 4.5세대 초음속 전투기 'KF-21' 도입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인도 정부가 구형 전투기 전력의 지속적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형 전투기를 도입하는데 KF-21 도입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5일 인도 방산매체 IDRW(idrw.org)에 따르면 인도 공군은 KF-21 도입에 관심이 높다는 미국 방산매체 디펜스 블로그의 보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구체적인 출처나 공식 성명을 인용하지 않고 인도군이 신형 전투기 잠재적 후보로 검토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인도 공군 관계자는 "인도의 다목적 전투기(MRFA) 프로그램 평가가 진행중이나 KF-21은 인도에 제안된 적도 없고, 인도 공군도 해당 기종 도입에 관심을 표명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도입 검토 보도는 추측에 불과하며 조달 우선순위와 동떨어진 주장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디펜스 블로그는 지난 1일(현지시간) 인도 공군이 4.5세대 및 5세대 전투기 도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KF-21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산 전투기 KF-21가 가격 경쟁력과 미래 성장 잠재력, 그리고 인도의 국내 산업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모레퍼시픽의 글로벌 뷰티 브랜드 '라네즈(LANEIGE)'가 대표 제품인 '립 슬리핑 마스크'의 신제품 '쇼트케이크'를 내달 일본 시장에 선보인다. 립 슬리핑 마스크는 전 세계에서 2초에 1개꼴로 판매되는 스테디셀러인 만큼, 제품 경쟁력과 함께 체험형 마케팅으로 일본 내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5일 아모레퍼시픽 재팬에 따르면 라네즈는 오는 9월 1일 일본 로프트(LOFT)와 큐텐(Qoo10) 공식 온라인몰을 통해 '립 슬리핑 마스크 쇼트케이크'를 처음으로 출시한다. 같은 달 19일부터는 일본 전역 드러그스토어와 버라이어티숍 등으로 유통망이 확대된다. 가격은 20g 기준 2750엔(세금 포함)이다. 이번 신제품은 제품명처럼 쇼트케이크에서 영감을 받은 3단 플레이버 구조가 특징이다. 부드러운 바닐라 케이크, 달콤한 딸기 크림, 상큼한 생딸기 향이 단계적으로 구현돼 향의 조화와 감각적 사용 경험을 강조한다. 베리 후르츠 콤플렉스와 코코넛 오일 등 보습 성분도 그대로 담겼다. 사용자가 입술 컨디션과 기분에 따라 자유롭게 레이어링할 수 있는 점이 차별화 요소다. 라네즈는 이번 출시를 기념해 오프라인 체험형 마케팅도 마련했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건설의 미국 원전 시장 진출을 두고 외신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현대건설에게 새로운 전략적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프랑스 IT 전문매체 EDS는 3일(현지시간) 현대건설의 미국 원전 시장 진출과 관련해 “원자력에 대한 관심이 재점화되는 시점에 미국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확대하는 전략적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현대건설은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에너지·AI 복합단지 구축에 초기 단계부터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엿보고 있다”며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확보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룩셈부르크 매체 그린웍스(Greenworks)는 “현대건설과 페르미 아메리카의 협력은 에너지 인프라 개발의 전환점을 의미한다”며 “원전 기술을 사설 전력망에 통합함으로써 에너지 생산과 분배 방식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매체는 특히 “이번 파트너십은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기업들에게 새로운 롤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현대건설은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 텍사스 테크 유니버시티 시스템(Te
[더구루=이연춘 기자] 아시아 최고의 음악 IP 투자 및 데이터 매니지먼트 기업 비욘드뮤직이 글로벌 히트곡 작곡가 베카 붐(Bekuh Boom)의 저작권 카탈로그를 인수했다. 5일 비욘드뮤직에 따르면 베카 붐은 18세의 나이에 데뷔한 미국 출신 작곡가 겸 프로듀서로, 2014년 태양의 “눈, 코, 입”으로 K-POP 시장에 등장한 후, 블랙핑크, 위너, 전소미 등과 협업하며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음악적 색채로 수많은 글로벌 히트곡을 탄생시켰다. 작곡한 노래 가운데 10곡 이상이 전 세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현대 K-POP 사운드 정립에 크게 기여하는 등 K-POP의 세계적 위상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비욘드뮤직이 이번에 인수한 저작권 카탈로그는 모두 33곡. 특히 블랙핑크의 곡들, 그 중에서도 ‘킬 디스 러브’, ‘뚜두뚜두’, ‘아이스크림’, ‘붐바야’, ‘프리티 새비지’ 등 스포티파이 누적 스트리밍 5억회 이상의 대표곡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블랙핑크는 9800만명에 달하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를 기네스 세계기록으로 보유할 만큼 확고한 글로벌 팬덤을 구축한 최고의 K-POP 아티스트다. 2년 10개월의 공백기를 깨고 지난 7월 신곡 ‘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자원개발사 'TMC(The Metals Company)'가 망간단괴 프로젝트의 순현재가치(NPV)를 236억 달러(약 33조원)로 추정했다. 망간과, 니켈, 코발트 등 전략 광물 상당량을 얻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TMC의 잠재력을 구체적인 수치로 증명하며 이번 조사 결과가 고려아연의 투자 명분을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TMC는 4일(현지시간) '클라리온-클리퍼톤 해역(Clarion-Clipperton Zone) 해역'에서 진행 중인 'NORI-D 프로젝트'의 예비타당성조사(PFS)를 발표했다. PFS 결과 광산 수명은 18년이다. 망간단괴의 매장량은 2억7400만 톤(t)으로, 약 1억6400만 t이 회수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2031년부터 2043년까지 안정기 생산능력은 연간 1080만 t으로 예상된다. 연간 자원별 생산량 추정치는 망간 238만9000t, 니켈 9만7000t, 구리 7만 t, 코발트 7400t이다. 원료 조달과 에너지, 인건비 등 광산 운영에 필요한 직접적인 비용을 합친 '니켈 운영 비용(C1 Nickel Cost)'은 t당 1065달러(약 150만원)로 예상돼 다른 프로젝트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이하 다르파)이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을 기반으로 기존 로봇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다르파는 현재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탐색하고 연구하는 하이브리드(Hybridizing Biology and Robotics through Integration for Deployable Systems, HyBRIDS) 이니셔티브를 진행하고 있다. 다르파가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를 공식화한 것은 지난해 11월이다. 당시 다르파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의 다양한 개념을 연구하기 위해 고급 연구 개념(Advanced Research Concepts, ARC)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다르파는 올해 4월 7일까지 ARC에 참여하기 원하는 기업들에 참가신청을 받았다. ARC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1년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이브리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조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다르파가 활성화된 상태라고 밝힌 만큼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만의 화학소재 기업 LCY화학(李長榮化工)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반도체용 소재 공장을 착공했다. TSMC의 공급망을 따라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현지 수요 대응과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에 나선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대만 경제지 공상시보에 따르면 LCY화학은 반도체 소재 공장 설립에 총 2억 8000만 달러(약 3조 7000억원)를 투입한다. 오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장이 완공되면 연간 2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초기에는 반도체 세정 공정에 사용되는 전자급 이소프로필알코올(EIPA)을 생산하고, 이후 첨단 패키징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 화학소재로 생산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2021년 말 미국 투자 계획을 처음 공개했지만, 착공까지 다소 시간이 걸렸다. 이번 공사 착수로 LCY화학의 북미 진출이 본격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LCY화학은 이번 투자를 통해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공급망 안정화와 고객사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고객사의 생산 현지화 전략에 발맞춘 결정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반도체 세정용 소재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