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美 비만학회서 차세대 치료제 기술력 과시

AI 기반 설계로 비만 치료 패러다임 전환 예고
근육 손실 없는 감량 비전 제시 글로벌 주목

 

[더구루=이꽃들 기자]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이 2년 연속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에 참가하며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를 동시에 구현하는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로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발표만으로도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에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지난 4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비만학회에서 HM17321과 차세대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 등 2개 파이프라인의 연구 성과 4건을 발표했다.

 

한미약품은 다층적 기전과 차별화된 전략을 토대로 HM17321과 HM15275를 각각 비만치료 영역에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과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을 향해 임상 개발 단계를 진척시키고 있다. 근육 비대와 지방 분해를 동시에 촉진해 '고품질 체중 감량'을 실현하도록 설계된 HM17321의 전임상 연구 결과 3건을 발표했다.

 

자체 개발한 최첨단 인공지능(AI) 및 구조 모델링 플랫폼 'HARP(Hanmi AI-driven Research Platform)'를 활용해 기존 인크레틴(GLP-1 등) 계열과 차별화된 비인크레틴 계열 비만 신약 HM17321을 설계했다.

 

이번 학회에서는 AI 융합을 통한 고유의 신약 설계 역량을 통해 속도감 있게 임상 단계에 진입한 실증 사례를 발표하며 반향을 일으켰다. HM17321은 이달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아 임상 개발 단계에 돌입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HM15275의 양호한 안전성과 내약성은 물론, 장기 지속성을 뒷받침하는 약동학 특성이 확인한 임상 1상 시험의 추가적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기존에 확인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 안전성 프로파일에 더해 지질검사 및 면역원성 분석 결과 등을 공개했다. HM15275는 미국 FDA로부터 임상 2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획득하며, 현재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전무)은 "올해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와 9월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 11월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 등 주요 국제 학회에서 발표한 HM17321과 HM15275의 연구 결과는 한미가 인크레틴 및 대사질환 분야에서 20년 이상 연구를 지속하면서 축적한 과학적 전문성을 토대로 글로벌 무대에서 혁신 기술력을 입증한 성과"라고 밝혔다. 이어 "전세계 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건강한 체중 감량'을 실현하는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전했다.
 










K방산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