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유안타증권이 동양생명 매각 관련 손해배상 소송에서 또다시 졌다. 30일 대만 유안타그룹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은 지난 26일 안방보험(현 다자보험)이 유안타증권과 VIG파트너스(옛 보고펀드) 등 과거 동양생명 매각 주주 4곳을 상대로 낸 홍콩 국제중재재판소(ICC) 판결 승인·집행 소송에서 안방보험 측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유안타증권 등에 1274억원의 배상금과 229억원의 지연 이자를 안방보험 측에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에 대해 유안타그룹은 "손해배상액은 이미 충당금으로 적립한 상태"라며 "이번 판결에 대해 대법원에 상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유안타증권은 앞서 지난 2021년 12월 1심에서 패소하자 항소를 제기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12월 20일자 참고 : [단독] 유안타증권, 동양생명 매각 손해배상 소송서 안방보험에 패소> 안방보험은 2017년 유안타증권과 VIG파트너스를 상대로 동양생명 주식매매계약과 관련해 6890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인수 과정에서 매각 측이 육류담보대출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손해를 입었다는 이유다. 당시 대출금은 3800억원에 달했다. ICC는 2020년 8월 유
[더구루=최영희 기자] 데이터베이스(DB) 전문기업 비트나인은 엔터프라이즈용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제품 'AgensSQL for Postgres(이하 아젠스SQL)'가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부터 GS(굿소프트웨어)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GS인증 획득으로 비트나인의 아젠스SQL은 엔터프라이즈급 DB 관리 기술의 우수성과 품질, 안정성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비트나인은 아젠스SQL에 대한 적극적인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 공공은 물론 금융, 제조 등 다양한 민간 분야로 매출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GS인증은 소프트웨어(SW)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다.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한 표준을 기반으로 SW의 기능적합성, 성능효율성,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등 9가지 항목을 점검해 인증을 부여한다. GS인증을 받은 제품은 공공기관 사업 발주 시 우선구매 대상 제품으로 지정된다. 아젠스SQL은 비트나인의 DB 기술력과 오픈소스 DBMS인 PostgreSQL(포스트그레SQL)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개발된 엔터프라이즈용 관계형 DBMS다. 비트나인이 그간 축적해온 DB 코어 개발 역량을 통해 기존 오픈소스
[더구루=최영희 기자] 갤럭시아머니트리가 신재생에너지 기반 토큰증권 사업 컨소시엄의 운영사 ‘파이브노드’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그동안 쌓은 핀테크, 블록체인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토큰증권(ST, Security Token)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파이브노드는 컨소시엄의 운영을 총괄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신재생에너지 STO(토큰증권발행) 플랫폼 개발을 담당한다. 이번 투자는 국내 발전사와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파이브노드의 기술력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 평가해 이뤄졌다. 갤럭시아머니트리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신재생에너지를 시작으로 탄소배출권 등 다양한 토큰증권 사업을 포함해 발행 플랫폼 고도화와 프라이빗 체인 구성 등 토큰증권 전체 밸류체인 완성을 위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이 목적"이라며 “이번 투자로 신재생에너지 토큰증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갤럭시아머니트리는 토큰증권 사업 확대를 위해 다양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NH농협은행 등이 참여한 은행권 최초의 STO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있으며, 수협은행, 한국해양대학교, 마리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 현지 은 가격을 추종하는 개방형 상품 ‘미래에셋 실버 ETF’를 30일 출시했다. 미래에셋 실버 ETF는 NFO(신규 펀드 오퍼) 기간 중에 있으며 투자자는 최소 5000루피부터 시작해 1루피 배수로 투자할 수 있다. 투자자는 미래에셋 실버 ETF를 통해 실물 금과 은에 투자하는 대신 디지털 형식으로 귀금속에 투자할 수 있다. 잠재적인 경기 침체기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기간에도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는게 미래에셋자산운용 설명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특히 은이 금과 달리 인플레이션과 달러 상승에 대한 헤지 역할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은은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은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소비자 가전제품의 성장과 5G 인프라 투자 확대, 태양광 발전 패널 성장이 주 요인이다. 은 수익률은 지난 5년 동안 니프티 50 지수 대비 13.1%를 기록했다. 원자재 기반 ETF 운용자산(AUM) 규모는 지난 3년 동안 1000억 루피(약 1조6000억 원)에서 2500억 루피(약 4조 원)로 커지며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인도 증권거래
[더구루=최영희 기자] 폴라리스오피스가 생성형 AI(인공지능) 능을 적용한 AI 오피스 '폴라리스 오피스 AI' 오픈베타테스트(OBT)를 30일 오후 2시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 '폴라리스 오피스' 회원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폴라리스 오피스 AI'는 지난 4월 사전등록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클로즈베타테스트(CBT)를 제공했다. 사전등록 홈페이지는 약 한 달여 기간 동안 100만 페이지뷰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클로즈베타는 웹, PC 환경에서만 제공됐지만 이번 오픈베타는 모바일 앱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든 기기에서 생성형 AI 기능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폴라리스 오피스 AI'는 문서 작성에 최적화된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을 제공한다. 이용자들은 여러 생성형 AI를 번갈아가며 이용할 필요 없이 '폴라리스 오피스' 앱 하나만으로 편리한 AI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문서 작성을 도와주는 'AI Write'의 글쓰기 기능은 오픈AI의 '챗GPT'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Text to Image'는 스테빌리티 '스테이블 디퓨전'을 기반으로, 문구를 입력하면 알맞은 템플릿을 자동
[더구루=최영희 기자] 엔케이맥스의 NK세포치료제 슈퍼NK(SNK01)가 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임상에서 질병통제율(Disease Control Rate, DCR) 100%가 확인되며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입증했다. 엔케이맥스는 26일 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임상1/2a상 임상 중간결과 논문 초록(Abstract)을 공개했다.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6월 4일(현지시간) 포스터 발표 예정이다. 본 임상은 머크(Merck KGaA)와 '공동임상 및 약물 공급계약 체결을 통해 얼비툭스를 무상 공급 받아 진행되고 있다. EGFR, ALK 또는 ROS1 유전자 변이에 대한 TKI 치료에 실패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24명을 모집해 진행한다. 얼비툭스를 매개로 NK세포의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기전의 항암치료가 목적이다. 초록에는 젬시타빈/카보플라틴(n=6) 또는 젬시타빈/카보플라틴/세툭시맙(n=6)과 함께 8주 동안 매주 SNK01(40억개 또는 60억개)을 투여한 EGFR 유전자 변이가 있는 총 12명의 환자에 대한 데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공지능(AI) 산업 붐이 일어나면서 관련 펀드에 대한 투자도 늘어나고 있다. 미래에셋 글로벌X도 인공지능 붐에 따른 수혜를 입고 있다. 26일 인사이드 ETF 컨퍼런스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 상장된 14개의 인공지능 ETF는 올해 매달 3억8000만 달러(약 5000억 원)의 자금이 몰렸다. 이 중 19억 달러(약 2조5000억 원)가 ‘글로벌X 로보틱스 & 인공지능 ETF(BOTZ)’에 유입됐다. 이는 인공지능 ETF 중 가장 큰 규모다. BOTZ는 ‘글로벌 로보틱스 & 오토메이션 인덱스 ETF(ROBO)’와 함께 자동화 로봇에 투자하는 ETF 중 양대산맥으로 꼽힌다. BOTZ는 매출 상당 부분을 로봇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얻는 기업들을 자산으로 편입해 종목을 구성하고 있다. 이 밖에 드론, 헬스케어 로봇, 예측 분석 소프트웨어까지 로봇과 관련된 분야를 폭 넓게 아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ETF 분야가 아직 작은 규모이지만 빠른 시간 안에 암호화폐 ETF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매튜 터틀 터틀 캐피털 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는 “암호화폐는 더 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다”며 “암호화폐는 작년의 일이었고
[더구루=최영희 기자] 면역관문억제제 ‘넬마스토바트(hSTC810)’를 개발 중인 에스티큐브가 세계 최대 암 악회 ASCO(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임상 1상 중간 데이터를 발표한다. 26일 에스티큐브는 ASCO에서 포스터 발표 예정인 넬마스토바트 연구초록이 공개됐다고 밝혔다. 공개된 초록은 올해 1월까지의 연구 자료이며, 현장에서는 이후 최근까지 업데이트된 연구결과에 대해서도 발표할 예정이다. ASCO는 올해 6월 2일부터(현지시각) 6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다. 전 세계 제약 바이오 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임상연구 공동 연구개발, 기술이전 등의 파트너십을 활발히 논의하는 자리다. 에스티큐브는 넬마스토바트 임상 1상 중간결과보고서를 작성 중이다. ASCO에서는 중간분석으로 관찰된 안전성, 유효성, 발현율 등의 분석 결과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임상 1상에서 대장암, 폐암, 난소암 등 각각의 암 환자들은 치료를 지속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피로, 두통 등 1~2단계의 이상사례(TRAE) 외 3단계 이상의 이상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평가 가능한 환자들 중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형(MSI-H) 대장암 환자에게서 부분관해(PR)가 관찰됐으며 대장암, 두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글로벌X가 탄소 배출권 전략 ETF(NTRL)를 26일 출시했다. 탄소 배출권 전략 ETF는 유럽과 영국, 미국 캘리포니아,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탄소 배출권이나 탄소 배출권 선물 바스켓에 투자한다. ICE 글로벌 탄소 선물 지수(ICERBN)를 추종하며 수수료율은 0.39%다. 탄소 배출권은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 발급한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의무적으로 할당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사용해야 한다.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페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리서치 디렉터는 “파리 협정 이후 배출량 감축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는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면서 “전 세계 규제 당국이 배출량 상한선을 강화하면서 탄소 배출권의 희소성과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출시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X는 테마 투자에 대한 전문성을 활용해 투자자들에게 이 같은 잠재적 가격 상승에 대한 노출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자산 클래스에 대한 노출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X는 지난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운용사다. 지난 2009년 첫 ETF를 시장에 선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노래방기기 업계 매출 1위 업체인 TJ미디어는 엔데믹 특수를 맞아 국내외 사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며 지난해에 이어 1분기에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거뒀다. TJ미디어에 따르면, 지난 1분기에 매출 230억 원, 영업이익 1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250% 오른 수치다. 주요 부문별로 살펴보면, 노래방 반주기 부문은 9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으며, 전자 목차본(디지털 노래방 책) 부문의 매출은 9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하며 1분기 성장을 견인했다. TJ미디어는 지난해 ‘음향 차별화 전략’ 및 ‘업주와의 상생 정책’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급격히 끌어올리고 경쟁사와의 매출 격차를 3배 가량 벌려 국내 노래 반주기 업계 1위 기업으로서 시장의 우위를 확고히 했다. 또한, 엔데믹 특수를 타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본에 수출하는 전자 목차본 부문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뜨거운 인기를 누리며 무서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TJ미디어 관계자는 “제품 및 콘텐츠 인상에 따른 매출 증가분이 이번 1분기 실적에 거의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기대 이상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미국 텍사스주(州) 소재 스테이트팜보험 중부지역 본사 건물을 매물로 내놨다. 내년 펀드 만기를 앞두고 투자 회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리처드슨 신도시에 있는 오피스 빌딩 매각을 추진 중이다. 2015년 완공된 이 건물은 전체 임대면적 21만㎡ 규모 총 4개 동으로 구성됐다. 세계적인 손해보험사 스테이트팜이 오는 2037년까지 장기 임차해 사용 중이다. 임대율은 98%다. 미래에셋은 앞서 지난 2016년 공모펀드를 조성해 이 빌딩에 투자했다. 인수 가격은 8억5000만 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9500억원)에 달했다. 이 펀드는 내년 3월 말 만기를 앞두고 있다. 설정 이후 투자 수익률은 75%다. 작년 4분기 텍사스 댈러스·포트워스 지역 전체 오피스 순흡수면적은 약 6만5000㎡, 공실률은 24.5%를 기록했다. 이 지역 클래스A 오피스 평균 명목임대료는 34.10달러 수준이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웰바이오텍이 우크라이나 리비우 지역에 소재한 산업단지 관리기업 유로인베스트홀딩스(EURO-Invest-Holding LLC)와 재건사업과 관련한 조인트벤처(JV)를 설립한다. 25일 웰바이오텍은 유로인베스트와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을 위한 JV 설립 합의각서(MOA)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일 체결한 업무협약에 이은 본격적 사업화 계획이다. 유로인베스트는 우크라이나 최대 물류회사 맥스로지스틱스(MAX LOGISTICS)의 스마트시티 사업 계열사다. 맥스로지스틱스 그룹은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및 후원활동, 유럽 및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웰바이오텍은 전일 세르지이 바디야크 맥스로지스틱스 그룹 회장을 만나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양사는 전략적 물류 파트너로서 우크라이나 물류 및 국제 운송 사업을 위해 협력한다. 또한 양사가 자국 내에서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사업,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협력을 진행키로 했다. 양사가 설립 예정인 JV는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에 필요한 물류기지 건설에 참여한다. 또한 유로인베스트 측이 추진하고 있는 리비우 스마트시티 건설 사업, 웰바이오텍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