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부동산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올들어 집값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상업용 부동산 투자수익률도 급감했다. 올해 제주도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전국 최하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제주도 부동산을 들썩였던 ‘한 달 살기’ 열풍이 시들해진 영향이 크다고 분석한다. 일각에서는 이에 따른 지역 경기침체 우려 목소리도 나온다. ◇7월 매매가 0.3% 하락…전·월세 가격 하락폭 확대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3% 하락했다. 충청북도(-0.33%)와 강원도(-0.32%)에 이어 하락폭이 가장 크다. 전세가격도 하락세를 지속 중이다. 1월 0.11%, 3월 0.13% 각각 하락한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지난달 추가로 0.37% 떨어졌다. 올해 1~7월 제주도 전세가격은 총 1.16% 하락, 전년동기(-0.75%)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월세가격도 지난달 0.34% 하락하며 전달(-0.10%)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특히 단독주택이 0.44% 하락하며 전달(-0.03%)과 비교해 낙폭이 가장 높았다. ◇해외로 옮겨간 ‘한 달 살기’ 열풍…제주도 유입 하락 업계에서는 제주도에서 시작된 한 달 살기 열풍이 해외로 옮겨가
대한민국 인구 33%. '소확행', '욜로'로 대변되는 세대. 밀레니얼 세대다.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 출생한 세대를 이르며 현재의 20·30대가 모두 여기 속한다. 이들이 최근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보이며 주도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목적에 따라 확실한 투자 노선을 선택하는 이들이 앞으로 부동산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들이 부동산 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한다. ◇“투자도 소확행” 은행 대신 소액투자 울산에 사는 이 모 씨(30)는 최근 6개월 간 총 10채의 건물에 투자했다. 총 투자액은 380만원. 모두 ‘카카오페이 투자’가 추천하는 P2P상품으로 소액투자를 한 것이다. P2P 투자는 고수익만큼 원금 손실 리스크가 따른다. 이 씨는 이를 인지하고도 과감하게 투자한다. 이 씨는 “투자 위험도를 보고 안전자산에 주로 투자한다. 고수익을 노리고 투자하는 경우도 있는데 거액을 투자한 게 아니라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다”며 “이자가 적은 은행 예·적금보다 이런 소소한 투자가 더 낫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소액 투자를 통해 은행 금리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기대하는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작년 말보다 1억원은 떨어졌어요. 많이 떨어진 곳은 2억원 가까이 떨어진 곳도 있고." 경기도 하남시 미사지구 한 공인중개사의 말이다. 그는 이어 "집값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며 현재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지난해 100대1이 넘는 역대급 청약률 아파트를 다수 내놓으며 덩달아 집값이 폭등했던 미사지구 일대는 최근 6개월 사이 집값이 1억원 가량 떨어졌다. 지난해 급격히 오른 집값에 기뻐했던 주민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가을 호재를 믿고 덜컥 집을 구매한 입주민들은 시름이 더욱 깊다. 서울 강서구에 살다 지난해 9월 미사지구로 이사 온 이모씨(52)는 "무리해서 이사를 왔는데 집값이 너무 많이 빠져 속상하다"며 "답답한데 집값이 떨어질까 어디가서 말도 못한다"고 토로했다. ◇대장주부터 '쭉쭉'…지하철 지연만큼 빠지는 집값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운영하는 부동산 정보 포털 씨:리얼에 따르면 미사지구 대장주로 불리는 '미사강변푸르지오' 전용면적 84.99㎡는 지난달 7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정점을 찍었던 지난해 10월 8억8500만원보다 1억원 넘게 떨어진 가격이다. 다른 단지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9월 7
[더구루=김은비 기자] 재규어랜드로버(JLR)가 영국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알틸리움(Altilium)과 손잡고 폐양극재·음극재를 재활용해 제작한 전기차(EV) 배터리 셀을 공개했다. 영국 최초의 재활용 배터리 셀로, 친환경성과 배터리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JLR은 최근 영국 센엑스 엑스포(Cenex Expo 2025)에서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멀티레이어 파우치셀 'NMC 811'을 선보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알틸리움과 협력했으며, 영국 정부 산하 저탄소 모빌리티 연구 지원 기관인 고등추진센터(APC)의 ‘첨단 시장 진출 시범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배터리 셀은 알틸리움 독자 기술인 ‘에코캐소드(EcoCathode)’ 공정을 통해 제작됐다. 이 기술은 폐전기차 배터리에서 회수한 고순도 양극재(CAM)와 정제된 흑연을 활용하는 것으로, 리튬·니켈·코발트 등 핵심 금속을 95% 이상, 흑연은 99% 이상 회수·정제할 수 있다. NMC 811 셀은 영국 데번 공장에서 생산됐으며 현재 JLR 배터리 테스트 시설에서 성능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시도가 재활용 소재 기반 배터리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총생산(GDP)의 1%라는 벽에 갇혀있던 일본의 방위 산업이 꿈틀대고 있다. 일본이 글로벌 방산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면서, K-방산의 라이벌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코트라 나고야무역관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수십 년간 유지해 온 무기 수출 금지 원칙을 폐기하고 방위 산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호주의 차기 호위함 사업 파트너로 선정되며 1조 엔(약 9조3830억원) 규모 수주를 올렸다. 이런 변화는 일본 정부의 정책 변화와 기술력이 맞물려 나타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은 1967년 '무기 수출 3원칙'을 통해 사실상 모든 무기 수출을 금지하며 '평화 국가'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2014년 아베 신조 내각이 '방위 장비 이전 3원칙'을 제정해 제한적 수출의 길을 연 뒤,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의 지침 개정을 통해 수출 조건을 대폭 완화했다. 특히 2023년 12월에는 일본이 개발, 생산에 참여한 국제 공동 개발 무기를 제3국에 수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방위비 증액과 함께 추진됐다. 일본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