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 프로 슬림.' '글로 하이퍼 X2.' '뷰즈 고 800.' 김은지 BAT로스만스 대표가 잇단 신제품 출시로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던힐 신화'를 썼던 그는 비연소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주력하며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시장 트렌드의 화두로 떠오른 궐련형 전자담배 분야에 제품 혁신과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해 재도약할 것이라는 당찬 포부도 밝혔다. 올해 취임 3년을 맞는 김 대표의 성적은 합격점을 받고 있다. 시장점유율에서 3년 새 괄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취임 직전인 2019년 6%에 머물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1.72%로 두배 가까이 끌어올렸다. 국내 담배시장에서 KT&G와 PMI의 양강 구도의 공식이 깨지는 모양새다. 김 대표가 꺼내 든 비연소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이 그대로 적중한 셈이다. 실제로 그는 2021년 9월 BAT로스만스가 출범하자마자 세계 최초로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 프로 슬림' 론칭을 진두지휘했다. 지난 2월에는 고급 인덕션 히팅 기술이 적용된 '글로 하이퍼 X2'를 선보했다. 출시에 이어 고객 접점 확대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김 대표는 고객들이 신제품을 경험해볼 수 있는 팝업스토어 마케
[더구루=김형수 기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가 야심차게 꺼내 든 헬스케어·웰니스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2021년 인수한 영국 제약업체 벡투라(Vectura) 사업이 차질을 빚으면서 궤도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야첵 올자크(Jacek Olczak) 필립모리스 최고경영자(CEO)는 5일 벡투라가 파트너 제약업체를 구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사업 다각화를 목적으로 하는 '비욘드 니코틴(Beyond Nicotine)' 전략을 계획대로 추진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는 입장이다. 필립모리스는 2021년 미국의 흡입제 전문기업 오티토픽(OtiTopic), 덴마크의 제약·웰빙제품 제조업체 퍼틴 파마(Fertin Pharma)를 인수하며 헬스케어·웰니스 사업 확대에 나섰다. <본보 2022년 6월 27일 참고 필립모리스 '비욘드 니코틴' 추진…3년 내 10억달러 매출 목표> 벡투라의 신제품 개발은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2018년 11월 임상 3상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온 이후 천식 치료기기 VR475 개발은 중단됐다. 2016년 8월 만성폐쇄성질환(COPD) 치료제 임상 3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JT그룹의 자회사 재팬타바코인터내셔널(Japan Tobacco International·이하 JTI)이 영국에서 곤혹을 치르고 있다. JTI가 공격적으로 진행한 니코틴 파우치(무연담배의 일종) 마케팅이 미성년자 흡연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급기야 현지 광고 규제 기관도 행동에 들어갔다. [유료기사코드] 영국 매체 가디언은 3일 니코틴 파우치 브랜드 노르딕 스피릿(Nordic Spirit) 홍보을 두고 JTI를 향한 현지 사회의 비난 여론이 심상치 않다 고 전했다. JTI는 3월 '프린트웍스 런던(Printworks London)', 7월 '온 더 비치 브라이튼(On The Beach Brighton)', '이스트 런던 블록 파티(East London Block Party)' 등의 뮤직 페스티벌에 참여, 제품 알리기에 적극 나섰다. 문제는 연일 영국 사회에서의 비판적인 여론이다. 21세 이하의 사람들에게 니코틴 제품 판매가 금지된 미국과 달리 영국은 관련 규제가 없다보니 청소년의 니코틴 파우치 사용을 막을 뾰족한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를 악용했다는 지적에 이어 엎친데 덮친 격으로 뭇매를 맞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마트가 미국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지 자회사 굿푸드홀딩스의 식품 소매 브랜드 레이지 에이커스(Lazy Acres)가 6번째 새 매장을 열었다. 굿푸드홀딩스의 또 다른 식품 소매 브랜드 브리스톨 팜스(Bristol Farms)와 맞손을 잡고 소비자 접점 확대에 나서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레이지 에이커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인근 로스 펠리즈(Los Feliz)에 신규 점포를 오픈했다. 지난 2021년 5월 매장 부지를 확보한 지 2년여 만이다. 레이지 에이커스 점포는 기존 △산타바바라(Santa Barbara)점 △롱비치(Long Beach)점 △엔시니터스(Encinitas)점 △미션힐스(Mission Hills)점 △허모사비치(Hermosa Beach)점 등을 운영하고 있다. 눈길은 끄는 점은 모기업 굿푸드홀딩스의 레이지 에이커스와 협업이다. 브리스톨 팜스의 유명 초콜릿칩 쿠키를 판매하는 베이커리 코너를 운영한다. 타코·부리또·초밥·포케 등을 선보이는 조리식품 코너, 실내외에 좌석을 갖춘 커피·스무디 코너도 마련했다. 이밖에도 해당 매장에서는 해산물, 육류, 농산물 등의 신선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의 인도 기업 ITC 지분 매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주가가 치솟은 ITC 지분을 팔아 60조원이 넘는 부채를 줄이는 방안에 착수할 것이란 관측이 적지않다. 인도 현지에서도 BAT의 ITC 지분 매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유료기사코드] 인도 매체 텔레그래프 인디아(Telegraph India)는 2일 BAT가 막대한 부채를 갚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ITC 지분 29.12%를 팔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규모 부채 감축 대책이 필요한 BAT에 ITC 주식 매각은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6월30일 기준 BAT가 보유한 순부채(Net Debt)는 372억5900만파운드(약 61조521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6.29% 감소하긴 했으나 여전히 큰 규모다. 최근 ITC 주가 상승은 BAT 지분 매각에 힘이 실린다. 지난해 1월7일 218.40루피(약 3430원)였던 주가는 올해 1월6일 335.05루피(약 5270원), 지난달 31일 499.60루피(약 7850원)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에 따라 BAT가 보유한 ITC 지분 가치는 1조7752억5000만루피(약 27조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펜실베니아주에서 환자의 의료 목적 대마초 재배를 허용하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펜실베니아주 정치권이 의료용 대마초 합법화에 이어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제도를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펜실베니아주에서는 2018년 2월부터 의료용 대마초 구입이 가능해졌다. 의료용 대마초 프로그램에 등록된 불안장애, 암, 난치성 발작, 다발성 경화증 등을 앓는 환자들이 그 대상이다. 1일 미국 펜실베니아주 주의회(Pennsylvania General Assembly)에 따르면 펜실베니아주 상원에는 등록된 환자에게 개인적으로 사용할 대마초 재배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 제출됐다. 해당 법안은 21세 이상의 등록된 환자가 대마초 판매점(Dispensary) 등에서 씨앗을 구매해 최대 6그루의 대마초를 기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법이 통과되면 대중의 시선에서 벗어난 폐쇄된 자신의 소유 또는 주인의 허가를 얻은 공간에서 대마초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구입한 대마초 씨앗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펜실베니아주 상원은 대마초 판매점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비용 부담을 느껴 의료용 대마
[더구루=이연춘 기자] 복합리조트 기업 파라다이스세가사미가 오는 12월 만기가 돌아오는 7250억원의 담보대출 차입금을 5000억원으로 축소하고, 지난 6월 조기에 상환하며 실적 회복에 박차를 가한다. 1일 파라다이스시티(PARADISE CITY)를 운영하고 있는 파라다이스세가사미에 따르면 합작사 세가사미홀딩스와의 협력을 통해 유상증자 1000억원을 실행하고, 캐시 플로우 관리 강화로 운영 자금 1250억원을 확보해 총 7250억에서 5000억원으로 차입금 규모를 축소했다. 또한 리스크 대응 차원에서 운전자금 300억원도 추가로 확보하면서 국내 복합리조트 업계에서 유일하게 리파이낸싱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리파이낸싱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와 국내 PF 대출 연체율 증가 등 시장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자금조달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불확실한 금융 환경 대비 금리 인상을 최소화했고, 전액 1금융권으로 구성된 대주단을 통해 기존 PF 성격의 차환 프로젝트에서 일반 기업 대출 프로젝트로 전환하는 등 시장 신뢰에 부응하는 성과를 거뒀다. 코로나19 입국 규제가 완화된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본 VIP 성장세를 견고하게
[더구루=한아름 기자] 롯데쇼핑의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이하 롯데몰)'가 베트남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롯데쇼핑은 유통부터 관광, 레저, 건설 등 롯데 계열사들의 역량을 집결해 글로벌 유통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1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거둘 것이란 전망된다. 롯데몰은 지난달 28일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롯데몰은 롯데그룹의 브랜드력을 높이는 것을 물론 막대한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쇼핑몰, 마트, 호텔, 아쿠아리움, 영화관, 호텔, 오피스 등이 입점한 초대형 상업 복합단지다. 총사업비로 약 8000억원이 투입됐으며, 단지 연면적은 약 35만4000㎡로 축구장 50개를 합한 크기다. 현지 유통시설 가운데 최대 규모다. 가장 기대되는 부분은 방문객 증가에 따른 매출 성장이다. 현지 매체들은 롯데몰을 찾는 연간 방문객이 최대 1000만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토대로 막대한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롯데몰은 앞서 6월 신동빈 롯데 회장이 베트남 경제사절단 방문 당시에 직접 들러 점검했던 사업장이다. 베트남은 한국과 일본에 이은 롯데의 세 번째 거점 국가로 꼽힌다. 2030년까지 6%대 국내총생산(GDP)
[더구루=한아름 기자] 이마트가 베트남에서 고객 발길 잡기에 본격 나섰다. 호찌민시 무역협동조합연합회가 소비심리 확대를 위해 내달 9일까지 판매 촉진 행사를 열면서 이마트도 동참하면서 현지인 수요 확보에 기대를 걸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호찌민점이 이달 한국 식료품 할인전을 열었다. 이는 지난 6월 호찌민 무역조합 회의에서 소비 촉진을 위해 공동 프로모션을 전개하자는 의견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이마트 호찌민점은 이달 제과와 가공식품 등 다양한 한국 제품을 최대 50% 할인했다. 베트남은 한국 농식품 수출 4위인 만큼 K-푸드에 지대한 관심이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호평받았다는 평가다. 판매 촉진뿐 아니라 브랜드 홍보 효과도 톡톡히 누렸다는 전언이다. 이마트가 베트남 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사업성이다. 이마트는 일찌감치 베트남을 기회의 땅으로 인식하며 시장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베트남은 인구가 1억 명에 육박하고 평균연령이 젊은 데다 소비력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어 유통업 하기 최적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이마트는 현지 파트너사 타코그룹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영향력 제고에 나섰다. 2015년 호찌민에 1호점을 출점하며 사업 확대에 집중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1위 배달 앱 배달의민족 모회사 독일 딜리버리히어로가 사우디아라비아 자회사 헝거스테이션을 품었다. 중동은 배달 시장 성장성이 기대되는 지역인 만큼 영향력 확대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딜리버리히어로에 따르면 헝거스테이션의 남은 지분 전량인 37%를 총 2억9700만달러(약 3789억원)에 매입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매우 매력적인 인수 가격이라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수로 헝거스테이션 경영권을 완전히 확보한 만큼 현지 인지도를 기반으로 중동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중동 배달 시장이 사업성이 뛰어나다는 판단에서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유럽 시장이 포화됐다고 판단하며 중동·북아프리카 등으로 사업추를 옮기고 있다. 앞서 탈라밧(UAE·바레인·카타르), 캐리지(UAE·바레인·카타르), 오트롭(바레인·이집트) 지분을 확보하며 영향력을 확대해온 바 있다. 한편 헝거스테이션은 2012년부터 사우디아라비아와 바레인 등에서 음식 배달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다. 독일 커머스 업체 로켓 인터넷(Rocket Internet)의 푸드판다(Food Panda)가 지난 2016년 헝거스테이션 대주주에 오르면서 업계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유럽 식료품 소비자들 쇼핑 행태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에 따라 식료품을 직접 보고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시장 조사기관 심포니AI(SymphonyAI)은 29일 식료품 쇼핑 총 거래액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었다는 분석을 내놨다. 심포니 AI 조사 결과, 지난 1분기 미국·유럽 식료품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비중이 전년 동기 대비 52% 줄었다. 심포니AI는 미국·유럽 내 5800만 가구를 대상으로 6억7000만 거래를 조사했더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이탈한 소비자 중 60%는 오프라인으로 옮겨갔다. 코로나가 종식에 가까워지면서 오프라인에서 식료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40%는 오프라인 쇼핑 플랫폼도 잘 이용하지 않았다. 심포니AI는 식료품 쇼핑에 인플레이션의 파고가 덮친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압박을 크게 느껴 식료품 쇼핑 지출을 줄였다는 설명이다. 미국·유럽에서 온라인 식료품 거래 건수가 줄어들고 있는 반면 국내 수요는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투자한 미국 대마초 업체 샬롯스웹(Charlotte’s Web)이 스포츠 마케팅에 박차를 가한다. 메이저리그(MLB)에 이어 프리미어라크로스리그(이하 PLL)과 손잡고 대마초 제품 홍보에 나서며 소비자 유치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라크로스는 끝에 그물에 달린 스틱을 이용해 야구공 보다 작은 고무 재질의 공을 상대편 골대에 더 많이 넣으면 이기는 스포츠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샬롯스웹은 PLL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샬롯스웹이 지난 4월 론칭한 대마초 브랜드 리크리에이트(ReCreate)는 PLL 공식 대마초 추출물 제품으로 선정됐다. 샬롯스웹은 리크리에트가 젊고 활동적인 소비자들을 겨냥해 기획한 브랜드라고 전했다. 대마초 추출물과 비트, 타르트 체리 등 각종 기능성을 갖춘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했다. △신체 효율성 제고 및 지구력 증진에 도움을 주는 인듀어런스(Endurance) △운동 이후 빠른 근육 회복을 지원하는 머슬 리커버리(Muscle Recovery) △인지 및 감각 능력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브레인 서포트(Brain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리튬 스타트업 '에너지엑스(EnergyX)'가 내달 호주 판테라 리튬(Pantera Lithium)의 자회사 데이토나 리튬(Daytona Lithium) 인수를 마무리한다. 판테라 리튬 주주들의 높은 지지를 확인했으며 실사도 마쳤다. 빠르게 인수 작업을 끝내고 리튬 자산을 추가해 생산량을 늘린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판테라 리튬에 따르면 최근 주총에서 데이토나 리튬을 에너지엑스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압도적인 찬성표로 안건을 통과시키며 주주들의 강한 신뢰를 확인했다. 재무와 법률, 기술 실사를 모두 마친 상태로 내달 초 거래를 완료할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토나 리튬은 미국 아칸소주 스맥오버 지층(Smackover Formation·텍사스부터 플로리다까지 넓게 퍼진 석회암 지대) 일대에서 리튬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약 3만5000에이커(약 1억4163만9975㎡) 규모의 부지에 광권을 보유했다. 에너지엑스는 '론스타 프로젝트(Project Lonestar)'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고 데이토나 리튬 인수를 추진했다. 지난 7월 판테라 리튬과 4000만 호주달러(약 370억원)에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구속력 있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판 뉴럴링크(Neuralink)로 불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브레인코(BrainCo)'가 차세대 로봇 손을 공개했다. 브레인코는 인간의 손처럼 정교한 작업이 가능한 '덱스터러스 핸드'를 통해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브레인코는 지난 16일 차세대 바이오닉 덱스터러스 핸드 제품인 '레보2 핸드(Revo2 Hand, 이하 레보2)'를 선보였다. 브레인코는 레보2에 대해 의수 개발을 통해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개발됐다며 체화 지능 분야 확장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체화 지능은 실제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인공지능(AI)를 말한다. AI가 단순히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로봇이나 장치에 통합돼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레보2는 성인 여성의 손과 비슷한 16cm 길이에, 무게는 383g으로 업계 평균보다 20% 가량 가볍다. 그러면서도 50N(뉴턴)의 강력한 파지력으로 사무실 생수통에 해당하는 20kg 무게의 물체도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0.1mm의 서브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