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오는 '2035년 내연기관 신차 판매 단계적 금지'에 이어 '2030년까지 무공해 자율주행차 의무화'라는 이례적인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자율주행 분야 관련 기업들의 셈법이 복잡해질 전망이다. 10일 코트라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오는 2030년 1월 1일부터 '자율주행차 무공해법'(SB 500, Autonomous vehicles: zero emissions)을 시행한다. 이 법은 캘리포니아 주의회(State Legislature)의 데이브 민(Dave Min) 상원의원(민주당)이 지난 2월 최초 발의한 법으로 지난 9월 23일 개빈 뉴섬(Gavin Newsom) 캘리포니아주 주지사가 최종 서명하며 발효가 확정됐다. 골자는 무공해 차량(Zero-emission vehicles)이 아닌 신규 자율주행차의 운행을 금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캘리포니아주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차는 모두 전기차 또는 수소연료전지차와 같은 무공해 자동차여야 한다는 뜻이다. 자율주행차 분야까지 무공해 기한을 부여한 것은 캘리포니아주가 최초다. 데이브 민 의원은 "지금까지 캘리포니아주는 우리가 직면한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 세계 혁신의 진원지인 미국 실리콘밸리의 노동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따른 것이다. 9일 코트라 미국 실리콘밸리무역관이 작성한 '전 세계 혁신의 진원지, 실리콘밸리 지역 경제 동향' 보고서를 보면 실리콘밸리 지역의 일자리는 올해 1~7월 11만9300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충격으로 지난해 2~4월 사이 없어진 일자리의 48.2%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샌프란시스코 일자리는 지난해 2~4월 사라진 일자리의 43.1% 수준인 5만4100개가 증가했다. 산호세는 없어진 일자리의 절반 수준인 3만1800개 늘었다. 다만 미국 전체나 캘리포니아주(州)와 비교했을 때 다소 부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리콘밸리 지역의 노동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노동 인구는 코로나19로 인해 큰 변동을 겪었다. 높은 물가와 거주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많은 주민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교외 지역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백신이 보급되고 봉쇄령이 점진적으로 해제되면서 다시 노동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올해 1~7월 11만3300명이 실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충칭시가 수소 분야를 미래 핵심 산업으로 낙점하고 적극 육성한다. 시장 초기 단계에 선점해 수소산업 거점 도시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충칭시는 최근 수소연료전지 관련 대형 프로젝트를 잇따라 착공하고 산업 생태계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 연구개발(R&D)·생산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수소차 인프라 건설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수소산업 지원 정책도 2년 연속 내놨다. 각각 작년 3월와 지난 8월 발표한 '충칭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산업 발전 의견'과 '충칭시 제조업 발전 14-5 계획(2021-2025년)'에는 수소산업 가치사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포함됐다. △연료전지스택(FCS), 차량용 수소공급시스템 등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관련 핵심부품의 R&D·생산 클러스터 구축 △수소연료전지 기업 유치·육성 △수소충전소 15개 설치 △수소연료전지버스·화물차 1500대 운행 등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충칭시는 현재 2개의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설치·육성하고 있다. 지우룽포구에 위치한 '서부 수소밸리'에는 독일 보쉬, 중국 칭링자동차·궈홍수소에너지·홍치창능 등의 기업이 입주해 약 7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마트의 미국 자회사인 뉴시즌스마켓(New Seasons Market)의 직원이 주의회 의원에 출마에 눈길을 끌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오리건주 힐스버러에 위치한 뉴시즌스마켓의 캐셔(수납원)로 일하는 라인언 반 도멜렌이 민주당 후보로 오리건주 주의회 의원에 출마했다. 라이언 반 도멜렌은 오리건주 15구역 민주당 예비경선에 참가한다. 라이언 반 도멜렌은 힐스버러 외곽 노스플레인에 위치한 낙농가에서 자랐으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오리건 주에 위치한 퍼시픽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했다. 그리고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인 2018년 8월부터는 힐스버러에 위치한 뉴시즌스마켓에서 캐셔로 일해왔다. 반 도멜렌이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부실 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부터로 정부가 월스트리트의 대형 은행을 구제하면서도 자신의 친구와 그 가족들이 직장, 농장, 집을 잃는 지켜보며 아메리칸 드림이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리고 출마를 결심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오리건주 정부가 효율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반
[더구루=길소연 기자] '위드(with) 코로나시대'를 맞이해 미국에서 안경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재택근무 연장으로 인한 온라인 회의, 온라인 수업과 과제 등으로 모니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자 시력저하로 인경을 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9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트(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안경(spectacles) 산업 규모는 지난해 91억3000만 달러에서 오는 2025년 139억4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안경테(Eyewear frames)는 2020년 57억1000만 달러에서 2025년 101억6000달러 규모로 비약적으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측됐다.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PC 등 눈의 피로를 야기하고 시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니터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자 시력 저하로 인한 안경을 택하는 것이다. 미국 의학협회 안과학회지(JAMA Ophthalmology)는 올해 1월 여러 연구 결과들을 통해 팬데믹이 초래하는 시력 저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JAMA은 최근 중국에서 팬데믹 기간 집에서 생활하는 어린이 12만 명 이상의 근시 비율을 조사한 결과 6세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들의 근시율 악화가 지난
[더구루=김다정 기자] 한국의 한식 다이닝 ‘밍글스(Mingles)’가 세계 최고 레스토랑 ‘톱100’에 랭크됐다. 세계 미식 문화를 선도하는 프리미엄 미네랄 워터 브랜드 산펠레그리노(S.Pellegrino)와 아쿠아파나(Acqua Panna)가 공식 후원하는 '2021 월드 50 베스트 레스토랑'(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이 공개됐다. 이는 전 세계의 명망 있는 셰프, 푸드 저널리스트, 여행 미식가에 이르기까지 1000여 명 이상의 미식 업계 관계자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 의해 선정됐다. 특히 올해 순위발표는 2019년 이후 2년 만에 재개되어 많은 기대를 받았다. 2021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1위의 영광은 덴마크 코펜하겐(Copenhagen)의 '노마'(Noma)에게 돌아갔다. 노마는 2009년 2위에 이어 올해에는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제라늄'(Geranium)과 스페인 앗손도(Atxondo)의 '아사도르 에체바리'(Asador Etxebarri)가 차지했다. 추가로 공개한 '2021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100위 안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식 다이닝 밍글스가 62위로, 100위 안에 안착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대만의 제1야당인 국민당이 인텔에 반도체 정부를 요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처럼 정부와 반도체 업계가 공동 대응팀도 꾸려 미국의 반도체 정보 제출 요구에 맞설 것을 촉구했다. 8일 대만 연합신문망(UDN)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쩡밍쭝(曾銘宗) 국민당 의원은 "미국이 강경하게 나온다면 우리 정부도 인텔에 제조·재고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이 TSMC에 요청한 정보를 인텔로부터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국민당은 정부가 신속히 팀을 꾸려 TSMC가 미국에 맞대응하도록 지원을 촉구하는 법안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국민당 의원들은 한국을 사례로 들며 적극적인 대응을 재차 주문했다. 린웨이저우(林為洲) 의원은 "한국은 정부와 반도체 협회가 공동으로 대응팀을 꾸렸다"며 "차이 총통도 미국의 무리한 요구에 맞서 하루빨리 대응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페이홍타이(費鴻泰) 의원도 "차이 총통은 미국을 얕잡아보지 말고 한국에서 배워야 한다"며 "(한국은) 군사적으로 미국에 의존하더라도 여전히 삼성과 SK하이닉스를 지키려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은 1980년대부터 독점방지법과 기타 수단을 통해 더 발전된 국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이 오는 206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수소에너지 정책 실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일 코트라 중국 다롄무역관이 작성한 '중국 수소에너지 산업 발전 현황'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지난 7월 "3분의 1 이상 중앙기업이 수소 제조·저장·충전·사용 등 수소산업 사슬에 진입했으며 연구·개발과 시범 활용에서 일정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국석유화공유한회사(SINOPEC),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CNPC), 화창화공 등 주요 석유화학기업은 이미 수소에너지 생산을 시작했다. 중국 에너지 생산 구조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 석탄이 68.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수력·원자력·풍력 18.8% △석유 6.9% △천연가스 5.7% 순이다. 수소에너지는 생산량이 미비해 통계에도 포함되지 못했는데, 오는 2050년까지 비중이 10%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은 작년 말 현재 69개의 수소충전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일본(142개), 독일(100개)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중국은 1391건의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 특허를 보유 중이다. 중국은 수소에너지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2018~2020년 국가중점연구개발계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를 국가 핵심 산업으로 낙점하고 적극 육성한다. 다른 선진국 대비 늦은 출발이지만 공공과 민간의 공격적인 투자로 성장 가속페달을 밟는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정부는 올해 4기 국가 미래산업 투자 프로그램(PIA 4)를 론칭, 미래산업을 위한 혁신 연구를 진행하는 고등 연구기관·기업에 향후 5년 간 200억 유로를 지원한다. △수소 △사이버보안 △양자물리학 △디지털화 등 분야가 포함되는데 AI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다른 국가와 협력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우선 지난 3월 독일 정부와 함께 하는 AI 혁신 프로젝트를 공모하고 선정된 프로젝트에 각각 3년간 1000만 유로의 지원을 제공한다. 작년에는 캐나다, 미국, 일본, 독일, 호주, 인도, 영국 등 15개 국가와 AI 기술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마크롱 정부는 임기 초반부터 '프렌치 테크(French Tech)', 스타트업 기업 육성 등에 집중해 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를 계기로 국가 산업 지형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프랑스 미래를 책임질 혁신 기술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3연임에 성공하며 녹색 경제 전환을 가속화한다. 특히 이번 선거를 통해 2025년까지 예정된 총리 임기 동안 자유당이 소수정부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 재건과 녹색 경제 전환 과제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코트라 캐나다 토론토 무역관이 낸 '캐나다 트뤼도 총리 3연임 성공으로 녹색 경제 전환 가속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치뤄진 총선에서 저스틴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이 158석을 얻어 재집권에 성공했다. 다만 절대 다수당이 되는데 필요한 170석을 확보하지 못해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다. 캐나다는 여당인 자유당이 지난 8월 43대 하원을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할 것을 메리 사이먼 총독에게 요청해 2년 앞당겨 총선을 실시했다. 자유당은 2023년 10월까지 임기가 예정됐다. 자유당이 조기 총선에 나선 건 높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과 더불어 경제 봉쇄 완화 등 현 정부에 우호적인 민심을 타고 집권 연장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풀이된다. 그 결과 자유당은 44대 총선 재집권에 성공했다. 다만 다수 정부 구성에는 실패했다. 이에 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자동차 빅3사가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목표 행정명령에 따른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의 성공적인 전기차 정책을 지원하겠다는 것. 하지만 일각에선 현실에 맞지 않는 과도한 목표치를 설정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코트라 등 업계에 따르면 △포드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빅3사는 '2030년까지 미국 전기차 연간 판매량의 40~50%를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는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정책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월 전기차 목표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오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할 신차의 50%를 친환경 전기차로 대체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올해 세계 기후 정상회의에서 해당년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약속의 일환이다. 이와 함께 2023년 생산되는 자동차부터 10% 공해물질을 감축 계획을 포함 공해 감축을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당시 빅3사들도 발표 현장에 자리했었다. 완전 전기차를 생산하지 않는 스텔란티스를 제외하면 현재 포드와 GM의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각각 6.3%, 9.3%다. 그만큼 해당 목표는 정부를 돕겠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의회가 군수품 조달 시장에서 미국산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3일 코트라 미국 워싱턴무역관이 작성한 '미 하원, 군수품 조달에도 바이 아메리칸 조항 적용 강화 움직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HASC)는 오는 2022년 국방수권법(NDAA)에 바이 아메리칸 조항을 추가했다. 미국산 군수품 조달에 적용되는 미국산 비중을 현재 55%에서 즉시 60% 수준으로 높이고 이어 2024년 65%, 2029년 75%까지 순차적으로 상향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군사위원회는 이 법안을 통해 미 군수품 조달 시장에서 높아지는 중국 기업 비중을 줄이고 자국 내 생산 시설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군수품의 중요도에 따라 공급업체를 5개 티어로 구분한다. 미국의 군사 데이터 분석업체인 가비니에 따르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티어 1에서는 미국 기업의 공급률이 84%였지만, 티어 2~5에서는 외국기업의 공급률이 70%에 달했다. 티어 2에서는 미국 기업의 공급률이 50% 이하였고, 티어 3~5에서는 25% 수준이었다. 특히 2010~2019년 동안 중국 기업의 미국 군수품 공급업체 수는 420%(총 655개 기업) 증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