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과 미국 액시올(현 웨스트레이크 케미칼)이 가동 중인 에탄크래커(ECC) 합작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현지시간) 오후 2시께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소재 LACC의 ECC 공장 압축공정에서 불이 났다. LACC는 자체 비상대응팀을 파견해 대처했으며 소방 당국이 출동한 시점에는 이미 불이 꺼져있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다. 롯데케미칼 측은 "정기보수를 준비하고자 가동을 잠시 멈춘 시기에 불이 났다"며 "정기보수와 맞물려 큰 손실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LACC는 롯데케미칼 미국 자회사 LC USA와 액시올이 각각 절반씩 지분을 보유한 합작사다. 양사는 2019년 31억 달러(약 3조7400억원)를 쏟아 ECC를 지었다. 연간 에틸렌 100만t과 에틸렌글리콜(EG) 70만t을 생산하며 롯데케미칼의 핵심 사업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롯데케미칼의 연간 에틸렌 생산량 총 450만t 중 20% 이상이 미국에서 나온다. ECC는 셰일가스의 부산물인 에탄을 원료로 한다. 납사 가격이 국제 유가 상승과 맞물려 폭등하며 납사를 써 에틸렌을 생산하는 납사크래커(NCC)보다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LC U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로나19 판데믹의 영향으로 위축됐던 독일 독일 화학·제약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는 가운데 향후 천연가스 가격이 성장세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독일의 주력 산업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화학·제약 산업은 지난해 회복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독일화학산업협회가 공개한 화학·제약 산업 매출액 추이를 보면 지난해 독일 화학·제약 사업의 총 매출은 2200억 유로로 지난해에 비해 1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2029억 유로의 매출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2019년 1982억 유로, 2020년 1905억 유로로 감소세를 나타내다 반등한 것이다. 지난해 독일의 화학·제약 산업은 국내 매출 840억 유로, 해외 매출 1360억 유로를 올렸다. 독일산업협회는 나프타 가격이 70% 오르는 등 원자재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생산자 물가가 전년 대비 8.5%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독일 화학·제약 산업의 생산량도 4.5% 증가세를 보였다. 코로나19 백신 생산의 영향으로 의약품 생산량도 지난해 보다 5.5% 늘어났다.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내긴 했으나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라크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기업 아람코와 아카스 가스전 개발 관련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멕시코 정부와 손잡고 현지 인력 채용을 늘린다. 글로벌 완성차 산업 호조에 따라 늘어난 에어백 쿠션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 멕시코법인은 에어백 쿠션 생산 공장이 위치한 코아우일라주 라모스 아리즈페시 정부와 협업해 인력 채용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공장 생산 케파 증가로 상시 고용을 추진한다. 최근 개최한 취업 프로그램 설명회에서는 에어백 쿠션 공장에서 근무할 직원 150여 명을 모집했다. 일반 생산라인과 재봉 작업라인 등에 투입된다. 지난달에도 현지 기업들과 함께 지역 취업박람회에 참가, 채용을 실시한 바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현지 인력 채용을 확대하는 것은 세계 자동차 산업 성장세 때문이다. 코로나19와 반도체 공급망 악화로 부진했던 완성차 시장은 펜트업 수요와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입어 반등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경제산업연구센터는 올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이 8209만 대를 기록, 전년 대비 7.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라모스 아리즈페시에 월 최대 100만 개의 생산 규모를 갖춘 에어
[더구루=오소영 기자] GS에너지가 미국 수소 기업 '에이치투스캔'(H2scan)에 투자했다. 미래 먹거리인 수소 투자를 강화하고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 에이치투스캔은 22일(현지시간) "7000만 달러(약 830억원)의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GS에너지와 영국 투자사 레터원(LetterOne)이 참여했으며 기업별 투자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2002년 설립된 에이치투스캔은 연료전지와 가수분해기, 수소분배파이프라인의 수소 농도를 측정·모니터링하는 센서를 개발한 회사다. 정확한 측정과 경제성을 자랑하며 특정 모델은 10년 동안 자체 교정이 가능하다. 에이치투스캔은 최근 주문형 반도체(ASIC)를 기반으로 한 수소 센서 패키지 '젠(Gen)5'도 내놓았다. 이 제품은 저렴하고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제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작동한다. 유지·보수가 필요없고 자가 교정이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다. 변압기와 제어·안전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에이치투스캔은 수소 관련 27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50개국 이상에 진출했다. ABB와 지멘스, GE에너지, 엑손모빌, 셸, 세브론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에이치투스캔은 조달 자금을 활용해 생산을 늘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이 미국에 수출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BR)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이 확정됐다. 코트라 워싱톤무역관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한국산 ABR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 결과를 발표했다. 2020~2021년 적정가격 이하로 판매돼 자국 산업에 피해를 줬다며 반덤핑 예비관세율을 LG화학 35.21%, 금호석유화학·기타 19.2%로 매겼다. ABR은 합성 고무의 일종으로 기름과 열에 강해 호스와 오일·가스 구성품, 시공단열재, 접착제, 매트 등에 쓰인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ABR 규모가 2020년 1319만7000달러(약 158억원)에서 2021년 3624만2000달러(약 434억원)로 증가했다. 비중은 16.21%에서 28.39%로 뛰었다. 이번 조사는 미국 켄터키주 소재 제온 화학과 제온 GP의 요청으로 시작됐다. 이들은 작년 6월 30일 한국·프랑스·멕시코의 ABR 제품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다. 조사 대상인 기간은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며 한국 105.38%, 프랑스 41.73%, 멕시코 92.7%의 덤핑 마진율이 청구됐었다. 상
[더구루=오소영 기자] 클린 수소 인프라 펀드 운용사인 Hy24가 모금 목표액을 상향하며 롯데케미칼의 추가 투자에 이목이 쏠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의 자회사 롯데케미칼USA(LC USA)가 미국 액시올에 에탄크래커(ECC) 합작사 지분을추가로 처분했다. 양사는 절반씩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롯데케미칼의 자회사 롯데케미칼타이탄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를 통해 "LC USA는 액시올과 LACC의 지분 3.23%를 8909만5130달러(약 1060억원)에 추가로 이전하는 증권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도가 완료되면 LC USA와 액시올이 각각 50%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LACC는 LC USA와 액시올이 설립한 ECC 합작사다. 양사는 2014년 2월 기본 계약을 체결할 당시 합작사 지분을 절반씩 갖기로 합의했으나 이듬해 계약을 체결하며 90대 10으로 변경했다. 액시올은 에탄크래커 플랜트의 상업 생산이 시작된 후 3년까지 합작사 지분을 최대 50%로 확대할 수 있는 옵션을 갖기로 했다. 액시올은 2019년 콜옵션을 행사해 지분을 46.77%로 늘렸다. <본보 2021년 12월 22일 참고 롯데케미칼 美 합작사 지분 콜옵션 매듭> 이어 추가로 지분 3.23% 확보해 총 50%를 보유하게 됐다. LC USA는 이번
[더구루=정예린 기자] SK가 투자한 일본 친환경 소재 기업 TBM이 금속조각·산업폐기물 재활용업체 엔비프로홀딩스(이하 엔비프로)와 손잡고 재활용 사업에 진출한다. 현지 최대 규모 공장을 설립하고 순환경제 실현에 앞장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이 투자한 스위스 에너지볼트(Energy Vault)가 미국 증시에 상장한다. 상장을 통해 합병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에너지볼트 기술을 널리 알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참여한 우즈베키스탄 합작사가 유라시아에 수출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물게 됐다. 유라시아경제위원회(EEC)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우즈벡산 HDPE에 대한 반덤핑 관세 판정을 내렸다. 롯데케미칼과 한국가스공사, 우즈벡 국영석유가스공사 UNG(Uzbekneftegaz)의 합작사(JV)인 '우즈베키스탄-한국 가스 케미칼'(Uz-Kor Gas Chemical·UKGC)과 '슈르탄 가스화학단지'(Shurtan Gas Chemical Complex·SGCC)에 5년간 20.3%의 관세를 매겼다. 이 결정은 공식 발효일로부터 30일 후인 오는 25일 발효된다. HDPE는 에틸렌을 중·저압에서 중합시킨 범용 합성수지로 파이프와 용기, 필름, 완구제 등에 쓰인다. 이번 반덤핑 판정은 러시아 석유화학사 니즈네캄스크네프테힘을 비롯해 잡십네프텍힘, 타타르스탄 가잔의 석유기업 카자노르그신테즈 등 3사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세 회사는 우즈벡산 HDPE가 저가로 수입돼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본보 2021년 7월 20일 참고 [단독] 유라시아경제위, 우즈벡산 HDPE 반덤핑 조사 착수…롯데케미칼
[더구루=오소영 기자] GS칼텍스가 인도 진출 12주년을 맞아 정비공을 기리는 캠페인을 실시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GS칼텍스 인도법인은 지난 2일을 '국가 정비공의 날'(National Mechanic's Day)로 지정하고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총 2분40초짜리 광고는 자동차가 변화시킨 삶과 안전한 운행을 돕는 정비공의 헌신을 조명한다. 자동차를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다루고 끊임없이 대화하며 정비하는 정비공의 모습을 그린다. 이 영상은 지난 2일 유튜브에 올라온 후 이틀 만에 조회 수 4만7000회를 돌파하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GS칼텍스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인도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GS칼텍스는 2010년 뭄바이에 법인을 세워 현지에 본격 진출했다. 차량용 제품 소매에서 시작해 산업용 윤활유 판매로 사업을 확대했다. 초기에는 본사에서 완제품을 수입한 후 인도에서 재포장해 팔았지만 2011년부터 현지에서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인도 기업들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영업이익이 손익분기점을 넘는 성과를 냈다. GS칼텍스 인도법인은 작년 3분기 432억6800만원의 매출과 8억9800만원의 분기순손익을 기록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