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레이어1 스마트 계약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모나드랩(Monad Labs)'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모나드랩은 차세대 디앱(Dapp)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모나드랩은 14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900만 달러(약 24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드래곤플라이 캐피탈이 주도했으며 플레이스홀더 캐피탈, 렘니스캡, 쉬마 캐피탈, 파이날리티 캐피탈 등 70여개 투자사와 앤젤투자자들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모나드랩은 탈중앙화금융(DeFi) 생태계 성장이 높은 비용과 제한된 처리량을 제공하는 기존 레이어1 프로토콜의 비효율성에 의해 방해되고 있다는 문제점에서 시작됐다. 이에 모나드 랩은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갖춘 차세대 레이어1 스마트 계약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모나드랩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차세대 레이어1 스마트 계약 플랫폼 구축에 투입한다. 모나드랩은 이를통해 수개월 내 테스트넷을 출시하고 연말에는 메인넷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모나드랩 관계자는 "모든 디앱의 기능은 그것이 구축된 블록체인의 힘에 의해 결정된다. 기존 블록체인의 높은 계산 비용은 개발자가 보안과 계산 효율성 중에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 엔씨소프트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미스틴랩스가 텐센트클라우드와 손잡았다. 미스틴랩스는 텐센트클라우드와 수이 네트워크 생태계 확대에 나선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미스틴랩스는 텐센트클라우드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미스틴랩스는 텐센트클라우드와 협업을 통해 수이 네트워크 내 게임파이(GameFi), 결제,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미스틴랩스가 텐센트클라우드와 손잡으면서 웹3 생태계에 대한 클라우드 업계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웹3 생태계가 점차 확대되면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커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과의 결합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구글 클라우드의 경우 다수의 웹3, 블록체인 전문가들을 채용하며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미스틴랩스와 텐센트클라우드는 향후 파트너십에 따른 다양한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며 관련된 내용은 추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스틴랩스는 2022년 9월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를 조달했다. 엔씨소프트는 해당 펀딩을 통해 미스틴랩스에 1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엔씨소프트는 미스틴랩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향후 블록체인 분야
[더구루=홍성일 기자] 폴카닷 블록체인 기반 웹3 게임 플랫폼 아주나 네트워크(Ajuna Network)가 암호화폐 겨울 속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유료기사코드] 아주나 네트워크는 지난 10일(현지시간) CMGG 글로벌이 주도한 프라이빗 투자 라운드를 통해 500만 달러(약 64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아주나 네트워크는 지난해 2월 200만 달러 시드 펀딩에 이어 신규 투자를 유치하며 총 투자액이 700만 달러에 도달했다. 아주나 네트워크는 폴카닷 블록체인 기반 웹3 게임 플랫폼으로 언리얼, 유니티와 같은 게임엔진으로 웹3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주나 네트워크 플랫폼을 사용하면 게임 개발자들은 수 분만에 게임 내에 토큰화된 통화를 추가할 수 있고 SDK를 활용해 NFT(대체불가토큰) 등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폴카닷 체인 활용하는 모든 게임과 사용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주나 네트워크는 투자를 바탕으로 지원하는 게임 엔진을 확대하고 폴카닷, 이더리움, 폴리곤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한다. 또한 추가 프로젝트의 구축도 진행할 예정이다. 펀딩을 주도한 CMGG 글로벌 관계자는 "이번 펀딩을 주도하게 돼 기
[더구루=최영희 기자] 웹 3.0 디지털자산 지갑 플랫폼 ‘빗썸 부리또 월렛의 정식 서비스가 13일 오픈했다. 빗썸 부리또 월렛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체인, 클레이튼, 솔라나, 폴리곤, 캐스퍼네트워크 등 총 7개의 메인넷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지갑으로, 1300개 이상의 토큰을 관리할 수 있다. 휴대폰 번호로 간편하게 회원가입 및 지갑 생성이 가능하며, 복잡한 지갑 주소가 아닌 연락처로도 안전한 디지털 자산 거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갑 내 친구로 등록된 회원이나 지정된 ID에 송금, 스왑, NFT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친구 ID를 사용하여 전송할 경우 당사자간 ‘확인 요청-요청 수락’의 확인서명 단계를 거쳐야 완료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오입금 리스크를 최소화했다. 트랜잭션 상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 송금 완료 여부를 지갑에서 바로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 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자동연결 시스템이 적용되어, 개인지갑 등록 시 필요한 화이트리스팅 과정을 대폭 줄였다. 이 덕분에 빗썸 회원들은 지갑 생성과 동시에, 자유로운 디지털 자산 이동이 가능해졌다. 지난해 3월 트래블룰 도입 이후 타 거래소 및 지갑으로 1
◇바이프로스트 블록체인 기술기업 파이랩테크놀로지가 운영하는 멀티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는 12개 신규 파트너사가 바이프로스트 생태계에 공식 합류했다. 신규 파트너사들은 블록체인, 정보인증, 벤처캐피털(VC), 연예 매니지먼트, 메타버스, 디파이(Defi·탈중앙화금융)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추고 있는 기업 및 프로젝트로 구성됐다. 먼저 △국내 최초의 공인인증기관 '한국정보인증(KICA)' △블록체인 보안 전문기업 '티오리'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인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노드 전문 운영기업 '딜라이트' 및 '인코딩 랩스 노드' △블록체인 프로젝트 전문 투자사 '100&100 벤쳐스'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사 '민트초코' 등 7개사가 바이프로스트의 자체 메인넷인 '바이프로스트 네트워크'의 밸리데이터(validator)로 합류했다. 이들은 바이프로스트 네트워크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돕는 한편, 바이프로스트 생태계의 적극적인 확장을 위해 투자 및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각자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다채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국내 대표 연예 매니지먼트사 '큐브엔터테인먼트 △NFT 메타버스 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디지털자산 보안 제공업체 '코인커버(Coincover)'가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코인커버는 추가 고용 등을 통해 사업을 확대한다. 코인커버는 9일(현지시간) 파운데이션 캐피탈이 주도하는 투자라운드를 통해 3000만 달러(약 380억원) 조달했다고 밝혔다. 코인커버는 2018년 설립된 디지털 자산 보호 서비스 제공업체다. 코인커버는 기업, 인프라, 소비자와 해킹 공격 등에 사전 대응할 수 다양한 보안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코인커버는 암호화 자산 관리 서비스 파이어블록스,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를 포함해 300개 이상의 비즈니스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코인커버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추가 고용, 제품 업데이트, 파트너십 확대 등에 투입해 디지털 자산 보호 생태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코인커버 관계자는 "파운데이션 캐피탈과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며 "새로운 자금 조달을 통해 우리는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게 됐으며 그 과정에서 성숙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의 노드 카운슬 파트너(NCP), 40원더스(WONDERS)에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 비하베스트(B-Harvest)가 합류했다고 9일 밝혔다. 고유 번호는 ‘WONDER 38’이다. 위메이드는 작년에 론칭한 자체 메인넷 위믹스3.0의 생태계 확장에 매진하고 있다. 여러 기업 및 프로젝트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방위적인 블록체인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 2018년 설립된 비하베스트는 코스모스(ATOM), 악셀라, 칸토, 그래비티 브릿지, 인젝티브, 오스모시스, 우미, 베가와 XPLA를 포함한 25개 이상의 블록체인에 밸리데이터(validator)로 참여하고 있으며, 스테이킹 규모는 5000만 달러에 달한다. 또한, 코스모스 블록체인의 주요 밸리데이터이자 코스모스 허브의 제네시스 밸리데이터로서, 2019년부터 네트워크의 보안을 지원한다. 더불어 코어 개발 역량을 갖추어, AiB(Tendermint) 및 ICF(Interchain Foundation)와 협력하여 코스모스-SDK 모듈 개발 및 텐더민트 코어 개선 등 코스모스 관련 기술 R&D를 지속함과 동시에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또한 제공한다. 위메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니모카브랜즈의 메타버스 자회사 던샌드박스가 글로벌 모바일 게임 개발사 '잽투랩(ZeptoLab)'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신규 유저 유치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더샌드박스는 지난 7일(현지시간) 잽투랩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트너십에 따라 잽투랩은 더샌드박스 메타버스 내 자체 공간을 구축하게 된다. 잽투랩은 컷 더 로프 시리즈, 캣츠 : 크래시 아레나 터보 스타스, 킹 오브 씨브즈, 불렛 에코 등의 모바일 게임을 개발한 글로벌 모바일 게임사다. 잽투랩은 파트너십에 따라 더샌드박스 내 놈빌(Nomville)에 있는 옴 놈 카페를 관리한다. 해당 카페에는 잽투랩의 IP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아케이드 게임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잽투랩은 향후 컷 더 루프 시리즈 내 캐릭터 등을 활용한 아바타, 맞춤형 액세서리 등 다양한 NFT(대체불가토큰) 수집품도 개발할 계획이다. 더샌드박스 관계자는 "젭투랩을 맞이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컷 더 루프 커뮤니티가 수집 가능한 디지털 수집품을 사용해 메타버스에서 구축되는 모든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가 프랑스로 사업을 확장했다. 비트스탬프는 암호화폐 겨울 속 다음 강세장을 준비하고 있다. 비트스탬프는 지난 7일(현지시간) 프랑스 금융시장청(AMF)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DASP)에 등록됐다. 비트스탬프 이전에 DASP 등록을 마친 거래소는 비트판다, 바이낸스, 영플랫폼 등이 있다. 비트스탬프는 DASP 등록에 따라 프랑스에서 합법적으로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향후 비트스탬프는 프랑스에서 디지털 자산 보관, 법정화폐 디지털 자산 매매 등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 비트스탬프는 암호화폐 겨울이 이어지는 가운데 라이선스 획득 지역을 확대해 다음 강세장에 대비할 계획이다. 이번 프랑스 DASP 등록도 이 과정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비트스탬프는 DASP 등록으로 프랑스 사업의 원동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향후 이뤄질 규제 강화에도 대응력을 높이게 됐다. 현재 프랑스 금융당국 등에서는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4일(현지시간) DASP 라이선스 획득을 2024년 의무화하는 법안이 프랑스 의회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에 대한 증권가의 눈높이도 높아진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IB) HC웨인라이트(H.C. Wainwright)는 사이퍼마이닝 목표 주가를 '1.50달러'에서 '3.00달러'로 두배 상향 조정했다. 투자 의견도 '중립(Neutral)'에서 '매수(Buy)'로 올렸다. 8일 미국 나스닥에서 사이퍼마이닝 주가는 1.68달러다. HC웨인라이트는 "강력한 운영 능력과 업계 최고의 채굴 자본 환경, 암호화폐 시장 환경 개선 등에 따라 사이퍼마이닝에 대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했다"며 "이 회사의 해시레이트(채굴 능력 측정 지표)는 지난달 말 0.64EH/에서 4.3EH/s로 확장하며 성장 계획에 따라 잘 실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HC웨인라이트는 올해 사이퍼마이닝의 매출 전망을 1억300만 달러(약 1300억원)에서 1억3300만 달러(약 1700억원)로 높였다. 또 비트코인 평균 가격을 2만1000달러(약 2600만원)에서 2만7000달러(약 3400만원)로 올렸다. 사이퍼 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이 업계 최초로 글로벌 기준에 따른 고객사 재무 보고 관련 내부통제에 대한 인증인 SOC 1의 1단계 절차를 완료함에 따라 SOC 1 Type 1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SOC 인증(System and Organization Controls)은 기업의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미국공인회계사회(AICPA) 및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가 제정한 인증업무 기준에 따라 독립된 감사인이 해당 서비스 제공 회사의 내부통제 적절성을 평가하고 확인하는 제도다. 인증은 평가하는 항목에 따라 SOC 1(고객사 재무 보고 관련), SOC 2(서비스 보안성 등), SOC 3(서비스 보안성 등 운영의 일반목적 보고)으로 구분된다. 또한 각 인증은 2가지 단계로 나뉜다. 유형 1(Type 1)에서는 특정 기준일 시점의 내부통제 설계에 대한 의견을 표명하고 유형 2(Type 2)에서는 일정 기간에 걸쳐 내부통제가 설계된 대로 효과적으로 운영됐는지 여부를 평가하게 된다. 각 유형이 완료될 때마다 이를 인증하는 보고서를 발간한다. 코빗은 지난해 국내 5대 회계법인 중 한 곳인 삼덕회계법인과 함께 SOC 1의 1단
[더구루=홍성일 기자] 웹3 게임 마이 NFT 워즈(My NFT Wars)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마이 NFT 워즈는 블록체인 시스템 등을 개발해 정식 출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 NFT 워즈는 소셜 디스커버리 그룹 등이 참여한 프라이빗 라운드를 통해 200만 달러(약 24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니카 테크 패밀리, 블랙쉴드 캐피탈, 워너비즈 등 다수의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마이 NFT 워즈는 아이로고스 게임 스튜디오(iLogos Game Studios)와 블록체인 큐티스 유니버스(Blockchain Cuties Universe)의 합작사인 '플레이2언(Play2Earn)'에서 개발하고 있는 플레이파이(PlayFi) RPG 게임이다. 마이 NFT 워즈는 토큰과 NFT 캐릭터 등을 결합해 유저간 전투(PvP), 레이드 등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유저들은 이 과정에서 GMFI라는 게임 내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플레이2언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게임 개발에 투입할 예정이다. 마이 NFT 워즈는 현재 클로즈 알파 테스트 단계를 진행하고 있으며 NFT 캐릭터, PvP 모드 등이 테스트되고 있다. 플레이2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고속철도 사업 입찰을 조만간 시작한다.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고 '바르샤바-우쯔(Warsaw–Łódź)' 구간의 입찰 추진을 시사했다. 신공항과 주요 도시를 연결할 철도망 구축에 본격 돌입하면서 현대로템의 참여도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폴란드 신공항사(Centralny Port Komunikacyjny, 이하 CPK)에 따르면 내년부터 3년 동안 약 100건의 입찰을 추진한다. 내년에만 400억 즈워티(약 15조4100억 원) 상당 입찰에 나선다. 입찰 규모는 1분기 약 70억 즈워티(약 2조6900억 원), 2분기 약 200억 즈워티(약 7조7000억 원), 3분기 약 30억 즈워티(약 1조1500억 원), 4분기 약 100억 즈워티(약 3조8500억 원)로 전망된다. 가장 이목을 끄는 입찰은 바르샤바-우쯔 고속철도 사업이다. 이 사업은 약 480㎞ 고속철도를 깔아 폴란드 신공항과 수도인 바르샤바, 우쯔, 포즈난을 잇는 Y자형 고속철도의 구간 중 하나다. CPK는 완공 후 바르샤바와 우쯔의 이동 시간이 약 70분에서 40분으로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르샤바에서 신공항까지 이동 시간은 20분 이내로 단축된다. C
[더구루=오소영 기자] 싱가포르 인공지능(AI) 인프라 회사 'SUPX(Super X AI Technology Limited)'가 중국 항저우중헝전기(杭州中恒电气, 이하 중헝전기)와 초고압직류송전(HVDC) 합작사를 출범한다. 중국 주요 기업들을 고객사로 둔 중헝전기의 HVDC 기술을 활용해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 AI 데이터센터로 확산되는 HVDC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요국들의 '탈(脫)중국' 기조가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UPX의 자회사 '슈퍼엑스 AI 솔루션(Super X AI Solution Limited)'은 에너벨파워(Enervell Power)와 합작사 '슈퍼엑스 디지털 파워(SuperX Digital Power Pte. Ltd.)'를 설립한다. 신설 합작사는 싱가포르 상업지구인 메이플트리 비즈니스 시티에 위치한다. 총투자액은 200만 싱가포르 달러(약 20억 원)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을 겨냥해 HVDC 사업을 전개하는 역할을 한다. 지분은 △슈퍼엑스 AI 솔루션 40% △에너벨파워 20% △중헝전기 특수관계인 20% △싱가포르 주주(ONG CAI PING와 JOVAIL)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