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비피엠지(BPMG)의 웹3 게임 플랫폼 젬허브(GemHUB) 토큰이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MEXC에 상장됐다. 비피엠지는 지난 18일 젬허브 토큰이 MEXC에 성공적으로 상장됐다고 밝혔다. 젬허브는 카카오 클레이튼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올인원 멀티체인 월렛 K-민트를 기반으로 구동된다. 비피엠지는 젬허브 토큰이 웹3 게임간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젬허브 토큰은 MEXC 외에도 클레이튼 스왑, 비트마트, 엘뱅크 등에서도 거래가 가능하다. 비피엠지는 젬허브 게임 라인업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젬허브는 현재 시드 이터널, 아쿠아팡포컨티뉴, 좀비노이드 등 7종의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다. 비피엠지는 쥬얼던저어드벤처, 히어로즈9, 라펠즈 유니버스 등의 출시도 준비 중이다. 비피엠지 관계자는 "젬허브 2.0의 출시로 웹3 게임 서비스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더욱 향상 시킬 것"이라며 "다양한 게임의 웹3 게임화를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 다양한 거래소에 추가 상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비피엠지는 2021년 8월 설립된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다중체인 월렛 K-민트,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스페인의 디지털자산회사 빗투미(Bit2Me)가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빗투미는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남미 시장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한다. 빗투미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인베스트코프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400만유로(약 197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테레포니카 벤처스를 비롯해 스트라트마인즈 VC, 카르다노, YGG펀드 등이 참여했다. 빗투미는 2014년 설립됐으며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거래 서비스 등을 제공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암호화폐 거래 보안 부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왔다. 빗투미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에 확보한 자금도 스페인 내 입지를 공고히 하면서 같은 스페인어권인 남미를 시작으로 시장 확장을 가속하는데 투입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웹3 주요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빗투미 관계자는 "2년 넘게 최고 수준의 품질과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플랫폼을 개선해왔다"며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신규 고객 확보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넥스트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던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결제 플랫폼 기업 '와이어(Wyre)'가 결국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와이어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성명서를 통해 "시장 상황으로 인해 주요 이해 관계자와 고객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와이어는 서비스 종료에 대해 "이번 결정은 규제 기관의 지시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와이어 측은 서비스가 종료되더라도 고객 자산을 지속적으로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7월 14일까지 지속적으로 출금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별도의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와이어의 서비스 종료는 올해 1월 CEO가 직원들에게 보낸 메일이 보도되며 알려졌다. 당시 와이어 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계속해서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겠지만 앞으로 몇 주동안 사업을 정리해야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와이어CEO는 해당 사실을 보도한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에 "회사는 여전히 운영 중이며 다음 단계를 계획하기 위해 규모를 축소하는 것 뿐"이라고 밝혀 혼란이 가중됐다. 2013년 설립되며 10년간 운영된 와이어가 흔들린 이유는 암호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운용사 하이퍼리즘(Hyperithm)이 웹3 프로젝트 컨설팅 기업 '퍼시픽메타(Pacific Meta)'에 투자했다. 하이퍼리즘은 이번 투자로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한다. 하이퍼리즘은 19일 퍼시픽메타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다만 정확한 투자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하이퍼리즘의 투자를 유치한 퍼시픽메타는 2022년 8월 설립됐으며 웹3 영역에 도전하는 기업과 프로젝트 등에 전략 컨설팅, 마케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마케팅 전략 수립, 커뮤니티 설계와 운영, 해외 시장 전개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퍼시픽메타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추가 고용을 통한 팀 확대에 나서 글로벌 고객 지원 체제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이퍼리즘 관계자는 "하이퍼리즘은 일본, 한국 뿐 아니라 글로벌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간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며 "퍼시픽메타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마케팅 전문성과 웹3 소셜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의 비즈니스에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이퍼리즘은 지난 2018년 설립된 디지털 자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아시아 최대규모 블록체인 컨퍼런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orea Blockchain week, 이하 KBW)가 오는 9월 개최된다. 이번 행사 메인 이벤트인 KBW2023:IMPACT(이하 IMPACT)에서는 블록체인 기술과 규제의 최신 동향을 다루는 다양한 키노트 스피치와 풍성한 패널토론 등이 준비될 예정이다. 팩트블록은 오는 9월 5~6일 ‘IMPACT'가 서울 중구 장충동 서울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과 영빈관에서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IMPACT'는 KBW의 메인 이벤트로 100여명의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하는 컨퍼런스 행사로 올해 6회째를 맞고 있다. KBW는 웹3.0 커뮤니티 빌더 팩트블록이 설립해 주최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가 공동 주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산업의 최신 이슈가 다양한 시각에서 다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IMPACT의 핵심 테마는 △블록체인의 근본을 묻다(Fundamental Questions) △이더리움 왕국(Kingdom of Ethereum) △제도권으로 진입(Institutional Bridge) △디지털 국가의 정의(Digital Nations) △
[더구루=홍성일 기자] 넷마블 블록체인 자회사 '마브렉스'가 투자한 일본 블록체인 기반 게임 커뮤니티 'YGG재팬'가 합작사와 손잡고 게임파이(GameFi)를 위해 설계된 디지털 지갑 서비스를 출시했다. '스틱키 고(StickeyGO)'는 17일 디지털 지갑 서비스 '스틱키 월렛'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스틱키 고'는 YGG재팬, 크립토고, 인피니티 벤처스 크립토(이하 IVC)가 설립한 합작사다. '스틱키 고'는 게임파이의 인기가 높아짐에도 플레이어들이 어려운 로그인 프로세스와 크로스 체인 게임 통화 변환 등 복잡한 작업으로 인해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립됐다. 크립토고는 웹3 인프라 개발을 담당하고 YGG 재팬은 일본 내 홍보와 커뮤니티 관리, IVC는 게임파이 생태계 자원 도입 등을 담당한다. 이번에 출시된 스틱키 월렛은 웹2에서 웹3 게임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해 기존 방법이 아닌 게임을 기반으로 자산을 분류하도록 설계됐다. 스틱키 월렛은 추천 게임 콘텐츠 플랫폼인 가비타운과 통합돼 운영된다. '스틱키 고'는 향후 게임파이 기술을 발전시켜 게임 플레이어들의 고정관념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홍콩의 메타버스 기업 애니모카브랜즈가 홍콩과 일본에 투자를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서다. 17일 얏 시우 애니모카브랜즈 회장은 "홍콩 및 일본과 같은 가상화폐 친환적인 지역으로 비즈니스를 이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얏 시우 회장은 "애니모카브랜즈는 단일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 초점을 맞춰 왔지만 최근 미국 금융 기관의 규제로 인해 이 같은 방침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애니모카브랜즈는 홍콩에 기반을 두고 있고 일본에도 현지 법인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불확실성이 큰 미국 시장에 집중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미국은 최근 가상화폐에 대해 강력한 억지책을 펼치고 있다. 지난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애니모카브랜즈의 메타버스 더 샌드박스의 SAND 토큰과 바이낸스의 BNB, 솔라나 등 13종의 가상화폐에 대해서 '증권'에 해당한다고 판단, 이들을 미등록 증권으로 분류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이 뿐만이 아니다. SEC는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미국 최대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대한 소송도 제기했다. 루나·테라 사태, FTX 붕괴 등으로 세계 최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 콘넥스트(Connext)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콘넥스트는 생태계 강화에 자금을 투입한다. 콘넥스트는 14일(현지시간) 전략적 투자 라운드를 통해 750만 달러(약 95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폴리체인 캐피탈, NGC 벤처스, 폴리곤 벤처스, IOSG 벤처스, 펜부시 캐피탈, KXVC, a_캐피탈, 노리미트 홀딩스, 팩터, 도키아 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콘넥스트는 이번 펀딩을 통해 2억5000만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콘넥스트는 2017년 설립됐으며 2018년에는 메타마스크, 더그래프 등에서 사용하는 최초의 결제 중점 레이어-2 확장성 시스템을 이더리움에 구축했다. 2019년에는 최초의 DAO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몰록다오(MolochDAO) 구축에 참여하기도 했다. 콘넥스트는 HTTP와 같이 모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모든 블록체의 자금과 데이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인터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코넥스트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콘넥스트 파운데이션 설립, 운영에 투입한다. 콘넥스트 파운데이션은 향후 프로토콜 개발을 관리하고 개발 보조금, 커뮤니티 주도 이니셔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한 유럽의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가 영국으로 시장을 확대한다. 비트스탬프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리매김해간다는 목표다. 비트스탬프는 13일(현지시간) 영국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이하 FCA)에 승인을 받아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비트스탬프는 FCA 승인에 따라 영국에서 정식으로 디지털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FCA가 디지털 자산 기업 승인을 내준 것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6개월만이다. 영국에서는 FCA 등록이 완료된 업체만이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FCA는 지난해 12월 히든 로드 파트너스와 문페이를 디지털 자산 기업 명단에 추가했으며 이번에 비트스탬프와 함께 인터랙티브 브로커스를 추가했다. 비트스탬프의 합류로 FCA가 승인한 디지털 자산 기업은 42개사로 늘게됐다. FCA 승인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자금 세탁 방지(AML), 테러 자금 조달 방지(CTF) 등 전통적인 금융 기관이 준수하는 것과 동일한 금융 표준, 고객 보호 정책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은행국제유한공사(BOCI)가 UBS와 손잡고 중국 금융 기관으로는 처음으로 토큰화 증권을 발행했다. BOCI는 12일(현지시간)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2억 위안(약 360억원) 규모의 디지털 구조화 화폐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큰화 증권 발행은 UBS가 개발한 상품을 통해 가능했다. BOCI와 UBS는 이번 토큰화 증권 발행으로 법률, 블록체인 기술 측면에서 새로운 단계를 밟았다며 이번 거래는 홍콩과 스위스 법률에 따라 구성되고 규제 대상 증권을 퍼블릭 블록체인에 성공적으로 도입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BOCI와 UBS는 이번 토큰화 증권 발행을 시작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나가며 홍콩 금융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홍콩은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입은 경제적 피해를 회복하기 위해 가상자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간)에는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SFC)가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사업자를 위한 가이드라인,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 가이드라인, 징계 과징금 가이드라인 등을 관보에 게재했다. 해당 가이드라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리플(XRP) 발행사 리플랩스가 미국 증권당국과의 소송에서 승리할 경우 암호화폐 가치가 급등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유료기사코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리플 최대 파트너인 일본 금융그룹 SBI그룹 기타오 요시타카 회장은 최근 한 강연에서 "조만간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소송에서 유리한 결과가 나올 경우 상당한 가격 급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송이 마무리되면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주주들에게 상당한 자본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SEC는 앞서 2020년 12월 리플이 암호화폐가 아닌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증권이라며 리플 출범을 주도한 리플랩스와 경영진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SBI홀딩스는 리플의 초기 투자자로 외부 투자자 가운데 리플랩스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 2016년 합작법인 SBI리플아시아를 설립했고, 2018년에는 리플 기반 송금앱 머니탭을 출시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탈중앙화 비트코인 채굴 스타트업 와우 언(WOW EARN)이 수백억원 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암호화폐 시장 침체 속 대규모 투자 유치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와우 언은 지난주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3000만 달러(약 38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에는 피나클 이노베이션스 캐피탈, 블루 호라이즌 벤처스, 어센던트 그로쓰 파트너스, 넥서스 파이오니어스 캐피탈, 퀀텀 리프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와우 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채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저들은 와우 언의 플랫폼을 통해 고가의 채굴 장비 없이 누구나 암호화폐를 채굴해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와우 언에 따르면 유저들은 최대 13.39%의 APY(연간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와우 언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사업 확장, 플랫폼 개발, 커뮤니티 기반 비즈니스 전략 강화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와우 언 측은 "누구나 암호화폐 채굴에 접근해 안전하게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며 "토큰 경제에 혁신을 일으키기 위해 유동성 채굴, 대출 채굴, 토큰 채굴을 통합한 새로운 채굴 방법론을 개발할 것"이라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