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물산이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ENEC)와 원자력 에너지 개발·투자 협력에 나섰다. 삼성물산은 지난 29일 서울 소피텔 앰버서더 호텔에서 ENEC와 원자력 에너지 개발·투자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두 회사는 △원전 투자 △신규 원전 건설 △폐쇄 원전 재가동 △미국 내 인수·합병 △미래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술 개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이번 양해각서에는 한국 및 기타 시장에서 원자력 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생산 기회 평가와 미국 원자력 서비스 및 장비 기업에 대한 투자, 루마니아 원자력 발전소 개발 및 자금 조달에 대한 공동 평가가 포함된다. ENEC는 UAE 최초이자 중동 최초의 대형 원자력 발전소인 바라카 원전을 소유한 원자력 에너지 기관이다. 앞서 ENEC는 지난 28일 현대건설과도 원자력 에너지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ENEC와 현대건설은 글로벌 시장의 신규 원자력 사업 공동 개발 및 참여를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보 및 지식 교류 △전략적 투자 기회 검토 △사업 공동 참여 기회 모색 △정기 실무협의체 운영 등에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HDC현대산업개발(현산)이 탄자니아 인프라 산업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다른 건설사와 달리 최근 해외사업이 없던 HDC현산이, 첫 성과를 낼지 관심이 집중된다. HDC현산 관계자는 지난 24일(현지시간)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하얏트 리젠시 호텔에서 열린 ‘탄자니아 인프라 협력 세미나(Tanzania Infrastructure Cooperation Seminar)’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전문건설공제조합이 주최했으며 지형근 삼성물산 부사장도 자리했다. 이 밖에 △태일씨앤티 △홍성이엔씨 △효진 △경남CNS △서원토건 △범양이앤씨 △경도 △동일건설 등 국내 건설사 대표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수출입은행 △한국국제협력단(KOICA) 관계자도 함께 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탄자니아 정부의 인프라 확대 기조에 발맞춰 현지 건설·인프라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했다. 또한 현지 발주처 및 유관 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국내 건설사의 건설기술 역량을 홍보했다. 앞서 HDC현산은 올해 2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최로 서울 모처에서 열린 핵심 광물 세미나에 참석한 바 있다. 당시 행사는 카자흐스탄 바케노 리튬 광산의 사업성을 설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아르헨티나에서 지하철 건설 사업 수주에 나섰다. 글로벌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인프라부는 28일(현지시간) 지하철 F노선 건설을 위한 입찰 공고를 냈다. 이번 입찰에는 삼성물산을 비롯해 30개 이상의 기업이 건설 의향서를 제출했다. 삼성물산 이외 다른 기업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입찰은 최대 6개월 동안 진행되며 기술 평가 등을 거친 후 최종 수주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F노선은 약 8km 길이의 신규 노선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시스템에 13개 역을 추가하는 사업이다. 콘스티투시온에서 시작해 플라자 이탈리아로 이어지며 중간마다 인구 밀도가 높은 콘스티투시온, 산텔모, 몬세라트, 레콜레타, 팔레르모를 연결한다. 삼성물산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아르헨티나에서도 지하철 사업 입찰에 출사표를 던지며 글로벌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삼성물산이 시공한 사우디 리야드 메트로 4·5·6호선이 운행을 시작했다. 삼성물산은 스페인 건설사 FCC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 구간을 시공한 바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과 GS건설, 현대건설 등 국내 건설사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州) 재생에너지 구역(Renewable Energy Zone·REZ) 전력 인프라 사업 수주에 나섰다. 뉴사우스웨일스주 에너지공사(EnergyCo)는 28일 뉴잉글랜드 REZ 네트워크 운영사 선정과 관련해 의향서(EOI)를 제출한 6개 컨소시엄을 공개했다. 국내 건설사도 이름을 올렸다. 삼성물산은 세계 2위 재생 에너지 기업 스페인 이베르드롤라, 스페인 인프라 기업 페로비알, 호주 인프라 투자사 카펠라캐피털, 말레이시아 건설사 가무다 등과 뉴리프 에너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의향서를 냈다. GS건설과 현대건설은 호주 전력회사 오스넷, 호주 투자회사 퍼시픽 파트너십스, 이탈리아 건설사 겔라, 호주 건설사 CPB 등과 퓨처 에너지 네트웍스 컨소시엄을 꾸려 입찰에 참여했다. 사업자는 뉴잉글랜드 REZ와 뉴사우스웨일스주 가정·기업을 연결하는 새로운 송전선 및 에너지 허브 등 전력 인프라의 EPC(설계·조달·시공) 및 운영·유지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에너지공사는 올해 말까지 최종 후보 2~3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공사 관계자는 "이 사업을 통해 뉴사우스웨일스 지역의 지속적인 발
[더구루=정등용 기자] 이집트가 자국 스마트 공항 개발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 공항 개발 경험이 있는 기업의 사업 참여로 이어질 지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사메흐 알-하프니 이집트 민간항공부 장관은 지난 24~25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국제항공협력콘퍼런스(CIAT 2025)'에 참석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과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 알-하프니 장관은 한국이 스마트 인프라 분야에서 보유한 선진 기술과 경험을 호평하며 “한국 기업들이 이집트 공항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 공항 프로젝트가 민간 부문과의 협력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박상우 장관은 이집트 항공 산업의 발전과 인프라 현대화 및 운영 효율성 강화 계획을 언급하며 “이집트와 항공 및 스마트 공항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실제 한국은 글로벌 공항 프로젝트에서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 1968년 삼환기업이 베트남 나트랑 비행장 공사를 수주한 이후 지난해 5월까지 총 264건, 118억5000만 달러(약 16조3500억원) 규모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우건설이 싱가포르에서 새 일감 찾기에 나섰다. 현지 인력 확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 22일 ‘마케팅 & 퍼블릭 릴레이션십 매니저(Marketing & Public Relationship Manager)’ 채용 공고를 냈다. 마케팅 & 퍼블릭 릴레이션십 매니저는 △입찰·PQ(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브리핑 참석 △대우건설 본사와 입찰 협조 △비즈니스 네트워킹 △최신 시장 및 산업 동향 연구 △잠재적 고객 및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회의·협상 참여 △건설 면허 관련 규정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다. 월급은 3000~6000 싱가포르 달러(약 300~600만원) 수준이다. 이번 인력 채용에는 싱가포르 시장에 대한 대우건설의 사업 의지가 반영돼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ADB(아시아개발은행) CGIF(신용보증투자기구) 보증으로 1억5000만 싱가포르달러(약 1484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하며 현지 자금 조달에도 나선 바 있다. 지난 2022년에는 싱가포르 서부 주롱 지역에서 진행 중인 도시철도 사업의 합작투자 지분을 100% 가까이 확보하고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이탈리아 전문 시추선사 사이펨(Saipem)과 노르웨이 해저건설·엔지니어링 기업 서브시세븐(Subsea 7)이 합병한다. 엔지니어링 분야 공룡 기업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펨과 서브시세븐은 24일(현지시간) 구속력 있는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지난 2월 합병과 관련한 MOU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 계약은 앞서 맺은 MOU 내용을 재확인 하는 것으로 내년 하반기까지 관련 작업을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합병은 사이펨이 서브시세븐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양사 주주들은 합병 법인 주식을 50%씩 나눠 갖게 되며, 서브시세븐 주주는 서브시세븐 주식 1주당 6.688주의 사이펨 주식을 받는다. 합병 후 법인명은 사이펨7이다. 사이펨7 이사회 의장은 서브시세븐 최대 주주인 시엠 인더스트리가 지명한다. 유력 후보로는 크리스티안 시엠 시엠 인더스트리 회장이 거론된다. 사이펨7 CEO는 사이펨의 최대 주주인 CDP 에쿼티와 에니가 임명한다. 현재로서는 알레산드로 풀리티 사이펨 CEO가 유력해 보인다. 사이펨7은 210억 유로(약 33조9100억원)의 매출과 20억 유로(약 3조2300억원) 이상의 상각전영업이익
[더구루=정등용 기자] 도화엔지니어링이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지우르지우 철도 사업의 컨설팅 입찰에 참여했다. 루마니아 철도(CFR)는 24일(현지시간) 부쿠레슈티-지우르지우 철도 사업 컨설팅 입찰에 참여한 7개 컨소시엄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도화엔지니어링은 스페셜리스트 컨설팅, 3TI 프로게티 이탈리아, 인저너리아 인터그라타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했다. 이 밖에 △MGGP·MGGP 엔지니어링·콘선트 컨소시엄 △인텍사 엔지니어링 그룹·일렉트로프로이엑트 컨소시엄 △IRD 엔지니어링·사페주 컨소시엄 △셉템브리에 컨설팅·쿼드란테 엔젠하리아 E 컨설토리아·메타 엔지니어링 컨소시엄 △테크닉 컨설팅 엔지니어링 로마니아·터키쉬 엔지니어링 컨설팅 & 컨트랙팅 그룹 컨소시엄 △아렉스 라이더 컴퍼니·TPF 인지네리에 컨소시엄이 이름을 올렸다. 사업 비용은 최대 800만 유로(약 130억원) 규모다. 자금 조달은 유럽연결기금(CEF)의 비반환 자금으로 이뤄진다. 계약 기간은 총 36개월로 6개월은 설계, 30개월은 공사 기간에 진행된다. 이번 컨설팅 계약은 부쿠레슈티 북부와 질라바, 지우르지우 북부 구간을 연결하는 철도 사업이 대상이다. 여기에는 67.56km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비료 업체 제네시스 퍼틸라이저스의 비료 공장 프로젝트가 자금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해외 수출 신용 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마크 스미스 제네시스 퍼틸라이저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2일(현지시간) “해외 수출 신용 기관으로부터 총 10억 달러(약 1조3800억원)의 자금을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수출입은행으로부터 6억 달러(약 8280억원), 이탈리아 수출신용공사로부터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캐나다 수출개발공사로부터 1억5000만 달러(약 2070억원)를 각각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스미스 CFO는 “이들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한다면 나머지 자금 조달을 위한 매우 유리한 입지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벨 플레인 지역에 하루 1500t의 블루 암모니아를 처리하는 공장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내년 하반기 착공해 오는 2029년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공 후엔 연간 105만t의 친환경 비료를 생산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건설 비용은 약 23억 달러(약 3조1700억원)로 추산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미쓰비시·후지타 컨소시엄이 방글라데시 다카 국제공항 확장 공사의 사업비 증액을 요청했다. 23일 방글라데시 영자지 파이낸셜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컨소시엄은 지난달 방글라데시 정부에 다카 국제공항 확장 공사 사업비 증액을 요구하는 공문을 제출했다. 컨소시엄 측은 기존 약 1560억 타카(약 1조7700억원)에서 3% 증액한 1600억 타카(약 1조8100억원)를 제시했다. 아울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측에서 분쟁 위원회를 구성해 줄 것으로 요청했다. 컨소시엄 측은 해당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국제상업회의소(ICC) 국제중재법원에 회부하겠다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의 방글라데시 민간항공청(CAAB) 관계자는 파이낸셜익스프레스에 "정부는 컨소시엄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분쟁 위원회를 구성해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사업은 다카 국제공항인 하즈라트 샤흐잘랄 공항에 제3여객터미널과 주차장, 진입도로, 계류장, 화물터미널 등을 신축하는 프로젝트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은 지난 2020년 이 사업을 수주했다. 이 공사는 소규모 작업을 제외하고 작년 12월 사실상 마무리됐다. 다만 CAAB가 제3터미널 운
[더구루=정등용 기자] 포스코이앤씨가 우크라이나 오데사 시에 폐기물 처리시설을 건설할 전망이다. 자금 지원은 한국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 수스필네에 따르면, 안나 포즈드냐코바 오데사 생활 지원 서비스 부시장은 “한국이 오데사에 폐기물 처리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라며 “잠정적 수행업체로는 포스코이앤씨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포즈드냐코바 부시장은 “건설 자금은 한국 EDCF를 통해 조달할 예정”이라며 “한국이 곧 최종 자금 지원 조건을 제시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포즈드냐코바 부시장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시설은 오데사 시에 있는 페레시피 지역 부지에 들어선다. 건설 기간은 3~5년으로 예상되며 총 비용은 3억 달러(약 4150억원)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오데사 시는 폐기물 처리시설 건설을 위해 지난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사전 기술경제적 타당성 조사와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 기술 분석, 법적·환경 평가 등을 진행해왔다. 지난 4월에는 포스코 인터내셔널 대표단과 폐기물 처리시설 건설 가능성을 논의하기도 했다.<본보 2025년 4월 23일 참고 우크라 전후 복구 뛰어든 포스코인터, 폐기물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고속도로 사업을 수주한 동부건설 컨소시엄이 공사 기간 단축을 예고했다. 동부건설 컨소시엄 참여사인 VNCN E&C는 22일 “고속도로가 신속하게 개통돼 시민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사 기간을 약 30개월로 단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예정됐던 36개월의 공사 기간보다 6개월 앞당겨진 것이다. 앞서 동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 21일 베트남 건설부 산하 미투안(My Thuan) 사업관리단과 ‘미안-까오라잉 고속도로 건설사업’의 제7공구 시공 계약을 맺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베트남 남서부 메콩델타 지역의 핵심 인프라 확충 사업 중 하나다. 전체 연장은 약 27㎞이며, 시속 100㎞ 기준의 본선 6차로 및 비상차로 2개 차로로 설계됐다. 동부건설 컨소시엄은 노선 길이 총 26.6km에 폭 17m의 4개 차선의 공사를 맡는다. 교량은 18개소(본선 17개, 램프 1개)에 달하며 연장은 4050m다. 수주 계약 금액은 약 1105억원 규모다. 이는 지난해 동부건설 매출(1조6883억원)의 약 6.5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 사업은 지난해 1월 베트남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총 사업비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중국의 럭스쉐어(Luxshare Precision Industry)가 홍콩 증권거래소(HKEX)에 2차 상장을 신청했다. 럭스쉐어는 이번 상장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자본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럭스쉐어는 18일(현지시간) HKEX에 상장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럭스쉐어는 현재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이번에 HKEX에서는 2차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 2차 상장은 기존에 상장된 거래소 외 새로운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으로 자금조달, 시장 평가, 거래량 등 다양한 이유로 추진되고 있다. 2차 사장은 이미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1차 상장에 비해 심사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해, 빠른 상장이 가능하다. 럭스쉐어는 중국 본토 기업 중 유일한 아이폰 조립 업체로, 에어팟과 비전프로 헤드셋 등 애플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럭스쉐어는 대만 위스트론(Wistron) 중국 쿤산 공장을 인수하며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다. 2024년 기준 아이폰 70% 가량은 폭스콘이 생산하고 있으며, 2대 생산업체인 럭스쉐어는 25%를 생산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솔루션 기업 에픽시스템즈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회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자동 문서 작성 도구를 출시한다. 에픽시스템즈가 뒤늦게 AI 기능을 추가하지만, EHR 시장 지배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픽시스템즈는 MS의 의료솔루션 자회사 뉘앙스(Nuance), 의료용 음성 인식 AI 솔루션 기업 에이브릿지(Abridge)와 손잡고 새로운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는 AI스크라이브라고 불린다. 에픽시스템즈의 AI스크라이브는 기존 EHR 솔루션에 뉘앙스와 에이브릿지의 기능을 탑재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에이브릿지의 AI 음성 필사 기능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의료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 전 과정에서 작성되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픽시스템즈는 이미 일반적인 AI스크라이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있는만큼 더욱 강력한 자동화 솔루션이 필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