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 라인의 기업용 소프트웨어 라인웍스의 일본 사업 실적이 공개됐다. 2019년보다 적용 기업수는 7배, 유저는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카카오웹툰이 대만 서비스 시작 6개월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웹툰은 대만 서비스 6개월 만에 6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일 평균 열람 건수도 50만 건을 돌파했다. 유료이용자 수도 급격히 늘어나며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며 매출액도 급증하고 있다. 카카오웹툰은 올해에도 신규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에 이용자수도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카카오웹툰은 글로벌 흥행 IP(지식재산)인 나혼자만레벨업을 앞세워 NFT(대체불가토큰), 메타버스 등 신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나혼자만레벨업은 글로벌 조회사 142억회를 돌파한 초히트작이다. 카카오웹툰은 이를통해 IP의 수명을 연장하는 등 글로벌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카카오웹툰은 60만 다운로드를 기념하면서 연초시즌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겨울방학 프로모션과 선날 선물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카카오웹툰은 해당 프로모션을 통해 신규가입자에게 할인혜택을 부여하고 적립급 추첨, 행운권 추첨 등의 이벤트를 진행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기업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라인웍스'가 일본의 그룹토크 솔루션 '본X 웍스(BONX WORK)'와 기능을 연계하기로 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의 합작사 'Z홀딩스'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부여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급에서 최고등급을 획득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가고시마현이 네이버의 기업용 메신저 '라인웍스'를 도입한다. 가고시마현은 라인웍스 도입으로 행정정보 네트워크를 재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라인페이가 1월과 2월에 걸쳐 대만에서 대대적인 포인트 적립 이벤트를 실시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라인페이는 1월 3일부터 31일까지 광푸시장을 비롯해 대만 전역 주요시장에서 페이를 이용해 설맞이 용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결제 금액의 12%의 라인 포인트를 되돌려준다. 해당 이벤트는 1회 최대 240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며 총 25만포인트로 제한된다. 또한 5일부터 내달 6일가지는 미쓰이 아울렛 등에서 2000대만달러 이상을 결제한 고객에게도 4%를 라인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E-라이프 몰을 통해 2만 대만달러 이상의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888포인트를 적립한다. 라인페이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연초 소비 수요를 공략, 대만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 1위 자리를 굳건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라인페이는 대만 1위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로 지난달 16일 이용자 수가 1000만명을 돌파했다. 대만 인구 2.4명 가운데 1명 꼴로 라인페이를 이용있는 것이다. 라인페이는 지난 2015년 8월 처음 대만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빠르게 사용자 수를 늘리며 단숨에 대만 1위 모바일 간편결제·송금 사업자로
[더구루=최영희 기자] 엑셈이 SAP의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HANA DB를 모니터링하는 솔루션 ‘맥스게이지 포 HANA(MaxGauge for HANA)'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SAP은 기존 ERP 시스템 SAP ECC의 기술 지원을 2027년까지만 제공한다고 예고했다. 이에 기업들이 차세대 ERP인 SAP S/4HANA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엑셈은 S/4HANA의 경우 오직 HANA DB만을 지원하게 되므로 HANA DB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해 이와 같은 제품을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SAP HANA DB는 오라클로 대표되는 디스크 기반 DB와 달리 메모리(RAM)를 기반으로 하는 인메모리형 DB다. 인메모리 DB는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돼 데이터 입·출력(I/O)에 소요되는 시간이 없어 전통적인 디스크 기반 DB보다 평균 10~1000배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다. 따라서 대량의 데이터가 실시간 유입되는 시스템들에 도입할 경우 이점이 크다. 시장조사업체 모도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글로벌 인메모리 DB 시장 규모는 작년 기준으로 51억 9천만 달러에 달하며, 올해부터 2
[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업 유라클은 상무 2명, 신규 이사 1명을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인사에서는 제품 기술력 향상 및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과 기업 무선 사업 부문의 높은 성장을 이끈 주역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권태일 대표이사는 “2021년은 유라클이 외형과 내실 면에서 큰 성장을 보여준 한 해였다.”라며 “이번 인사를 통해 당사 소프트웨어의 공급체계를 안정화하여 고객 만족도를 더욱더 높이겠다.”고 전했다. ◆상무 승진 기술1부문 김영진 상무 무선사업부문 이용배 상무 ◆이사 승진(신규 임원) 기술2부문 미디어개발본부 손승희 이사
[더구루=최영희 기자] 네이버가 투자한 일본판 배달의민족 '데마에칸(出前館)'이 감자를 단행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데마에칸은 자본금을 551억 엔에서 1억 엔으로 줄인다. 감자는 2022년 1월 29일에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550억엔의 자본금을 '기타자본잉여금'으로 이체할 예정이다. 감자가 완료되면 데마에칸은 중소기업의 지위를 얻는다. 이럴 경우 세금 부담이 줄어든다. 데마에칸의 감자 결정은 지속된 투자 유치에도 불구하고 적자가 사상 최악으로 치닫고 있어서다. 실제 데마에칸은 2021년 8월기 회계연도(2020년 9월~2021년 8월)기준 사상 최대인 206억엔(약 2142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동기 적자가 41억엔(약 426억 원)이었던 것에 비하며 5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매출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큰폭으로 늘어나 290억엔(약 30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81.5% 증가했다. 데마에칸을 그러면서 내년 8월기 적자규모는 최대 550억엔(약 5715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데마에칸의 적자폭이 큰 폭으로 커진 것은 일본 배달 시장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판촉비, 마케팅비 등의 명목으로 엄청난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의 합작사 'Z홀딩스'가 컬처 컨비니언스 클럽(CCC)에서 운영하고 있는 T포인트 주식 정리를 추진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이버의 그룹웨어 라인웍스가 일본의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아스테리아'와 협업을 진행했다. 라인웍스는 이번 협업을 통해 일본 내에서 그룹웨어를 넘어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인공지능(AI) 의료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피노맥스가 인터밸류파트너스, BNK벤처투자, 한국대안투자로부터 시리즈 A 투자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2021년 3월 회사 설립 이후 지금껏 총 50.5억의 투자를 유치했다. 피노맥스(PMX)는 CT, MRI 영상을 활용하여 알츠하이머, 파킨슨, 폐질환 등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만성질환 바이오마커를 제시하는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MRI와 CT 영상의 구획화(Segmentation)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흉부 CT 솔루션, 뇌 및 전신 MRI 솔루션을 개발 중에 있다. 서비스 군으로는 X-Ray, CT영상을 통합으로 분석하여 세그멘테이션, 볼륨 정보를 의료인에게 제공하는 Chest진단 솔루션과, 뇌MRI, fMRI 그리고 전신 MRI 데이터들의 획득 및 재구성에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Brain 솔루션 등이 있다. 설립시부터 타겟 시장을 국내로 한정하지 않아 연구진을 서울과 시카고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시카고 지사가 연구개발, FDA승인, 미국 유통을 담당한다. 이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바이오젠(Biogen)'과 일본 '에자이(Eisai)'가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이 호주에서 공식 승인됐다. 최근 미국 FDA 승인에 이어 호주에서 추가 허가를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레카네맙의 상업적 확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동시에 이 약의 제제는 레카네맙은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선정한 '2025년 최고의 발명품'으로도 꼽히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Aptera Motors)가 증시에 상장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태양광 전기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