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몽골이 K프랜차이즈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제도적 기반은 미비하지만, 현지 대기업과 손잡고 빠른 속도로 입지를 넓히며 시장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소비 성장세와 젊은 인구 구조를 바탕으로 커피·편의점·외식업 등 브랜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CU(407개)와 GS25(280개)는 지난 6월 기준 몽골 프랜차이즈 시장 내 점포 수 1·2위를 기록하며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마트·뚜레주르·롯데리아·카페베네·탐앤탐스·BBQ 등도 일찍이 진출해 기반을 닦았다. 최근에는 메가커피·맘스터치·디저트39 등이 합류하며 카페·디저트 시장 경쟁이 한층 뜨거워졌다. 메가커피는 지난해 현지 대기업 아시아파마와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을 체결, 1년여 만에 5개 매장을 열며 속도를 내고 있다. 몽골 통계청 조사 결과 올해 전체 가구 소비에서 식료품 외 물품·서비스 지출 비중은 69%에 달한다. 외식·카페·뷰티·생활편의 서비스 등 프랜차이즈 핵심 업종이 포함된 항목으로, 산업 성장 여력을 가늠케 한다. 호텔·요식업 수익도 지난 2021년 5월 5565만 달러(약 777억원)에서 올해 5월 2억1794만 달러(약 3
[더구루=진유진 기자] 신세계사이먼이 외국인 고객 유치를 위해 글로벌 간편 결제 시스템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중국·대만 등 중화권 관광객이 선호하는 글로벌 간편 결제 시스템을 잇달아 도입하고 전용 혜택을 확대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사이먼은 지난해 위챗페이와 알리페이를 도입한 데 이어 대만 라인페이를 업계 최초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외국인 고객은 보다 쉽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게 됐으며, 라인페이 이용 고객에게는 최대 30% 캐시백 혜택이 제공된다. 외국인 전용 할인 'E쿠폰'과 현장 세금 환급까지 더해 원스톱 쇼핑 환경을 구축했다. 올해 개장 20주년을 맞은 신세계사이먼은 글로벌 결제 시스템 강화와 함께 다국어 홈페이지 운영, 관광객 전용 프로모션, 온라인몰 리브랜딩 등 옴니채널 구축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결제부터 정보 제공, 구매, 환급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처라, 관광객의 체류형 소비로 이끈다는 전략이다. 신세계사이먼은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에서 편리하고 수준 높은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서비스와 인프라를 지속 개선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브랜드 구성과 풍성한 혜택으로 글로벌 쇼핑 허브로서 위상을 강화하겠다"고
[더구루=김명은 기자] 롯데마트가 베트남 국경절을 맞아 대규모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전략적 현지화 마케팅의 일환이며,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다음달 9일까지 '베트남 국경절 80주년 기념' 대규모 할인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베트남산 제품을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베트남 국경절은 베트남의 국부(國父)로 불리는 고(故) 호찌민 주석이 1945년 9월 2일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베트남 건국을 선포한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다. 매년 이를 기념해 전국적으로 퍼레이드, 불꽃놀이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롯데마트는 이번 프로모션 기간 동안 현지 인기 커피 등 다양한 식료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며, 특히 80주년을 기념해 8만동 균일가 상품을 선보인다. 냉동식품과 간편식도 할인 대상이다. 특히 CJ 고기만두(350g)를 4만900동에, CJ 해물만두(770g)는 8만9000동에 판매하며, 레드불 음료와 소시지 등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롯데마트 회원을 위한 특별 혜택도 마련했다. 50만동 이상 구매 고객은 매일 2개 품목을 파격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며, 20만동 이상 구매
[더구루=진유진 기자] 쿠쿠가 미국 뉴욕에 6번째 브랜드 매장을 열고 북미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렌탈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앞세워 프리미엄 가전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는 전략이다. 쿠쿠는 지난 22일 뉴욕 베이사이드 지역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점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출점으로 로스앤젤레스(LA)·오렌지카운티(OC)·텍사스·뉴욕·뉴저지 등 주요 거점에 6개의 직영 브랜드 매장을 갖추게 됐으며, 파트너 매장을 포함하면 미국 전역에서 약 50개에 달하는 고객 접점을 확보했다. 뉴욕 매장은 정수기와 공기청정기, 안마의자, 지능형 변기, 압력밥솥 등 주력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현지 수요에 맞춰 중국어 상담을 상시 제공하는 등 고객 접점을 다변화했다. 쿠쿠의 미국 확장 배경에는 렌탈 서비스 모델이 핵심이다. 정수기·공기청정기 등 생활가전을 대상으로 전문 설치부터 정기 필터 교체, 사후관리(A/S)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올인원 렌탈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 사용 편의성은 높이고 유지관리 비용은 덜겠다는 구상이다. 매장 오픈을 기념한 프로모션도 진행된다. 오는 31일까지 미국 전역 브랜드 매장에서 정수기 렌탈은 최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국 단체관광객의 한시적 무비자 입국 허용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경주 개최를 앞두고 관광·유통업계에서 '특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책적 지원과 글로벌 이벤트가 서로 시너지를 내며 외국인 관광객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해외여행 제한 정책, 내수 경기 침체, 엔저·환율 불안정 등 여러 악재로 꽁꽁 얼어붙었던 업계에 해빙기가 찾아왔다는 분석이다. 24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29일부터 내년 6월 말까지 중국 단체관광객, 즉 유커들의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 관광업계는 이번 조치로 최근 늘고 있는 방한 관광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252만68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상반기(280만명)의 90.2% 수준까지 회복한 수치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조치는 유통·숙박·식음료·면세점 등 다양한 업계에 직접적인 수혜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최대 명절인 국경절(10월 1∼7일)에 앞서 시행되는 것도 긍정적이다. 특히 중
[더구루=김명은 기자] 길게는 열흘까지 이어지는 올해 추석 황금연휴를 앞두고 유통업계가 잇달아 선물세트 사전예약에 돌입했다. 올해는 특히 고물가와 이상기후로 식료품 가격이 오르면서 가성비 좋은 실속형 상품의 인기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주요 유통업체들은 추석 특수를 선점하기 위해 사전예약 프로모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롯데슈퍼는 지난 14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에 들어갔다. 홈플러스는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전체 품목의 64%를 3만원 이하 실속형으로 구성하고, 배 등 수급이 원활한 과일 품목은 가격을 인하해 부담을 낮췄다. 롯데마트도 폭염과 이상기후로 과일 시세가 오른 것을 감안해 과일 세트의 혼합 구성을 확대했다. 초고가 위스키부터 실속형 와인까지 120여종의 주류 선물세트도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롯데슈퍼는 곶감·견과 선물세트를 3만원 미만에, 사과·배 등 과일 선물세트를 5만원 미만에 판매한다. 이마트는 이달 1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40일간 추석 사전예약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연휴가 길어진 만큼 선물을 미리 준비하려는 수요가 클 것으로 보고 사
[더구루=진유진 기자] 모건스탠리가 쿠팡의 목표주가를 32달러에서 35달러로 올리고, 투자의견 '비중확대(Overweight)'를 유지했다. 대만 사업 성장 모멘텀을 장기 동력으로 평가했다. 다만 단기 비용 부담은 쿠팡이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쿠팡의 대만 투자와 사업 모멘텀 가속화가 단기적으로 비용 부담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 성장성은 견조하다"고 밝혔다. 이어 투자자 관심이 사실상 대만으로 이동했다는 진단과 함께, 대만이 쿠팡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한국에서 축적한 물류·배송 경쟁력을 기반으로 대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이커머스 사업 확장의 교두보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동시에 대만 진출에 따른 손익 분기 도달 시점이 불투명한 만큼 단기 실적 변동성은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실적도 상향 배경을 뒷받침한다. 쿠팡의 지난 2분기 매출은 85억 달러(약 11조8900억원)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총이익률은 30%로 개선됐다. 다만 주당순이익(EPS)은 0.02달러로 시장 기대치(0.07달러)를 밑돌았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이마트 미국 자회사인 유기농 슈퍼마켓 체인 '뉴시즌스마켓(New Seasons Market)'이 오는 11월 본사를 이전한다. 지난 2019년 이마트에 인수된 이후 올해 초 리더십 개편에 이어 공간 재편까지 더해지면서, 북미 사업 확대를 위한 '새판짜기'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본사 기능 효율화를 통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강조해온 신규 출점과 현지 성장 전략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뉴시즌스마켓은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포틀랜드 동남부 스타크 스트리트에 위치한 기존 본사를 떠나 같은 지역 클레이 스트리트에 있는 '일렉트릭 블록스(Electric Blocks)' 캠퍼스 내 스카이라이트 빌딩 2층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이전 시점은 오는 11월 초다. 새 사무공간은 약 2973㎡(3만2000제곱피트) 규모로, 노출형 교차적층목재 구조와 옥상 태양광 등 친환경 설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캠퍼스 내에는 야외 테라스와 주차·자전거 보관 시설 등 지원 인프라도 마련됐다. 데이브 카우더 뉴시즌스마켓 소매 부문 수석부사장은 "스카이라이트 빌딩은 우리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공간이자 도약을 위한 거점"이라며 "조직이 새로운 성장을 준비
[더구루=김명은 기자] 쿠팡이 인도 하이데라바드에 새로운 기술 개발 거점을 마련했다. 글로벌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인도 내 우수한 정보기술(IT) 인재들과 협업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달 인도 하이데라바드의 IT 중심지인 사이베라바드 지역에 새로운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곳은 앞으로 쿠팡의 플랫폼 기술, 물류 시스템, 인공지능(AI) 기반 추천 알고리즘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의 중심지가 될 전망이다. '딥테크(Deep Tech)'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이데라바드는 이미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연구개발(R&D) 센터를 운영 중인 도시로, 쿠팡의 진출도 자연스러운 선택으로 평가받는다. 쿠팡은 이미 인도 벵갈루루에 기술 개발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하이데라바드 사무소 개소는 인도를 글로벌 기술 허브로 육성하려는 쿠팡의 전략을 보여준다. 인도 개발 센터는 한국과 대만을 비롯한 쿠팡의 주요 시장을 지원하며, 물류, 금융 플랫폼, 사기 탐지 기술, 클라우드 인프라 등 핵심 기술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하이데라바드 사무소는 앞으로 AI와 생성형 AI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CJ대한통운이 미국 현지 고객 확보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냉장·냉동 물류에 특화된 '콜드체인' 인프라를 연이어 확충하며 북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콜드체인 물류는 보관·재고관리·운송 등 모든 과정에서 철저한 온도관리를 해야 하는 고난도·고부가가치 산업 분야다. 18일 미국 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조지아주 게인즈빌에 위치한 약 2만5000㎡ 규모 콜드체인 물류센터에 미국 가금류·계란수출협회(USAPEEC) 관계자들을 초청해 시설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식품 제조·무역·물류 업체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 첨단 콜드체인 시설을 둘러보고 내륙 항만·가금류 가공 운영을 체험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미국 남동부 주요 식품 산업 벨트에 자리한 게인즈빌 센터의 경쟁력을 알리고, 현지 고객사와의 접점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미국 내 콜드체인 인프라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게인즈빌 센터에 이어 캔자스주 뉴센추리 지역에 2만7034㎡ 규모 대형 콜드체인 물류센터를 건립 중이며, 올 3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완공 시 미국 전역 약 85% 지역에 냉장·냉동 식품을 이틀 내
[더구루=진유진 기자]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락앤락이 베트남 가전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자회사 브랜드 '제니퍼룸(Jenniferoom)'을 공식 론칭하며 급성장 중인 현지 중산층 소비자를 겨냥, 미니멀하고 세련된 라이프스타일 가전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제니퍼룸은 지난 2020년 락앤락에 인수된 락커룸코퍼레이션의 디자인 가전·라이프스타일 브랜드다. 락앤락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찌민시 셰라톤 사이공 그랜드 오페라 호텔에서 제니퍼룸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현지 언론과 유통업체, 인플루언서 등이 참석해 브랜드 철학과 대표 제품을 직접 체험했다. 미니 쇼룸 형태로 마련된 전시 공간에서는 전기 주전자, 오븐, 커피 머신, 블렌더 등이 소개돼 현장 호응을 이끌었다. 이번 소식은 현지 유력 경제지 투자신문(Báo Đầu tư) 등 주요 언론을 통해서도 보도되며 관심을 모았다. 제니퍼룸은 'Minimalist, trendy, be yourself(간결함, 트렌디함, 자기다움)'를 철학으로 내세우며, 단순한 디자인과 실용성을 겸비한 소형 가전을 주력으로 한다. 한국 시장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률을 이어가며 2024·2025년 연속 브랜드상을 수
[더구루=김명은 기자] 롯데마트가 '베트남 10대 유명 브랜드'에 7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현지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와 높은 브랜드 신뢰도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16년간 베트남 시장에서 이뤄온 지속가능한 경영과 고객 중심의 노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베트남 지식재산협회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2025년 베트남 유명 브랜드 톱10'에 선정됐다. '베트남 유명 브랜드 톱10'은 베트남 지식재산협회가 주관하는 인증 프로그램이다.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 환경친화성, 혁신성, 소비자 신뢰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롯데마트는 '2025년 베트남 혁신 선도 기업'으로도 뽑혀 현지 유통업계에서 혁신적인 경영 전략을 높이 평가받았다. 롯데마트는 지난 2008년 호찌민시 7군에 첫 매장을 오픈한 후, 현재까지 하노이, 다낭, 나트랑, 붕따우, 껀터, 빈 등 베트남 주요 도시에서 총 15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각 매장은 현대적이고 쾌적한 쇼핑 공간을 갖춰 연간 200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복합 문화·쇼핑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롯데마트는 디지털 시대에 맞춘 다채널 판매 전략을 펼치고 있다. 고객들은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 공식 웹사이트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