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바이오 의약품 연구개발(R&D) 전문 기업 휴온스랩(Huonslab)이 혈청알부민 없이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제형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다. 올 하반기 품목허가를 신청하고, 내년에 국내 시장에 해당 제품을 출시한다는 목표다. 휴온스랩은 24일 한국에서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하이디자임(HYDIZYME, HLB3-002)'의 혈청알부민 없는 제형에 대한 특허를 받아냈다고 밝혔다. 히알루로니다제는 피부, 관절, 눈 등 인체 여러 조직에 존재하는 다당류로, 수분 유지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다. 피하조직의 투과성을 높여 약물의 확산과 흡수율을 높인다. 이를 통해 기존 정맥투여(IV) 방식의 약물을 피하주사(SC)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약물 전달, 미용 시술, 의학적 응급처치 등에 활용된다. 휴온스랩은 기존 동물 유래 히알루로니다제가 아닌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순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면역 반응 위험이 낮은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한 약물 전달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하이디자임은 정맥주사 제형의 바이오의약품을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하는
[더구루=김명은 기자] 네덜란드 기술 투자기업 '프로수스(Prosus)'가 음식배달 플랫폼 '저스트잇 테이크어웨이닷컴(Just Eat Takeaway.com·이하 저스트잇)' 인수를 위해 독일 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 지분 상당 부분을 매각한다. 프로수스는 딜리버리히어로 지분 27%를 갖고 있다. 유럽연합(EU) 경쟁 당국은 프로수스가 저스트잇과 딜리버리 히어로라는 두 대형 음식배달 플랫폼 기업의 지분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에 대해 시장 독점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는 최근 프로수스가 저스트잇을 인수할 경우 시장 지배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프로수스가 이미 같은 업종의 딜리버리 히어로의 최대 주주로 경쟁이 제한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프로수스는 딜리버리 히어로의 지분율을 한자릿수까지 줄이거나 보유 지분 전량을 매각하는 것을 EC에 제안한 상태다. 딜리버리 히어로는 국내 1위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 모기업이기도 해 프로수스의 지분 매각은 배달의민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C는 현재 프로수스의 제안을 검토 중이며, 다음달 11일까지 최종 결정을
[더구루=김명은 기자] 엘앤피코스메틱이 운영하는 더마 코스메틱(피부 개선 화장품) 브랜드 메디힐(MEDIHEAL)이 에스테틱 살롱 감성의 젤 마스크 4종을 일본 시장에 새롭게 내놨다. 이번 론칭은 일본 내 더마 코스메틱 수요 증가에 발맞춰 고기능성 제품군을 선보이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23일 현지 유통 업체에 따르면 메디힐의 신제품 4종이 이달 중순부터 일본 내 로프트, 플라자, 미니플라, 돈키호테 등 주요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량 한정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일상 속 프리미엄 스킨케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이퍼 젤 마스크'와 '스피큘 포어 타이트닝 시스템' 두 가지 라인으로 구성되며, 각 라인은 피부 타입과 선호도에 따라 선택 가능한 두 종류의 마스크를 포함한다. 하이퍼 젤 마스크 라인의 하이퍼 콜라겐 마스크는 모공보다 작은 4가지 종류의 콜라겐 리포좀이 함유돼 탱탱하고 탄력 있는 피부로 케어해준다. 하이퍼 히알루로닉 마스크는 10가지 종류의 히알루론산을 배합해 깊은 수분 공급과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이들 제품은 미세한 크기의 리포솜 캡슐이 피부의 각질층까지 침투하고, 앰플 젤 제형으로 도포 후 점차 투명해지는 특성을 갖고 있
[더구루=김명은 기자]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가 한국과 일본 편의점 브랜드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GS25가 지난 3월 하노이에 6개 매장을 동시에 오픈하며 명실상부한 베트남 1등 편의점 브랜드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GS25는 기존 진출국의 점유율 확대, 신규 해외 진출국 모색으로 글로벌 편의점 브랜드로의 성장을 빠르게 이뤄 나간다는 계획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GS25는 호찌민을 중심으로 한 베트남 남부 지역의 1위 편의점 브랜드로 올라선 후 지난 3월 하노이를 교두보 삼아 베트남 북부 진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한 발 뒤쳐진 일본 세븐일레븐은 부랴부랴 지난달 하노이 구도심 중심가인 로수(Lo Su) 거리 한복판에 첫 매장을 오픈하고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이곳에서 불과 80미터 떨어진 거리에 GS25 매장이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한일 편의점 대전(大戰)을 상징하는 모습이다. 두 매장은 똑같이 2층 구조로 설계돼 있으며, 1층에는 상품 진열, 2층에는 고객 식사·휴식 공간을 배치해 현대적인 소비 트렌드를 반영했다. 하지만 제품 전략에는 차이가 있다. GS25는 김밥, 볶음밥, 파스타 등 한국식 메뉴와 K-드라마 오
[더구루=김명은 기자] 보톡스(Botox) 제조사로 유명한 엘러간(Allergan)이 생명공학 회사 레반스 테라퓨틱스(Revance Therapeutics)를 상대로 제기한 보툴리눔 독소(보톡스) 제조 기술 특허 침해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에 따라 레반스는 5600만 달러(약 774억원)을 배상해야 한다. 고부가가치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법적 보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델라웨어 연방법원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레반스가 개발한 주름 개선 약물 닥시파이(Daxxify)가 글로벌 바이오 제약 회사 애브비(AbbVie)의 자회사 엘러간의 주력 제품인 보톡스 제조 기술 특허를 침해했다며 레반스에 대해 5600만 달러의 배상 판결을 내렸다. 엘러간은 지난 2021년 레반스가 출시한 닥시파이의 제조 과정이 보톡스의 기술을 모방했다며 세 가지 미국 특허 침해를 주장했다. 해당 특허들은 보툴리눔 독소 기반 제품의 제조 방법과 성분 조합에 관한 것이다. 레반스는 특허 침해를 부인했지만, 법원은 엘러간의 손을 들어줬다. 엘러간은 지난해 보톡스로 미국 내에서 44억 달러(약 6조700억원)가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레반스의 닥시파이는 같은
[더구루=김명은 기자] 맥도날드가 영국에서 새로운 디저트와 음료 메뉴를 선보인다. 이번 신메뉴는 영국의 인기 간식인 자파 케이크에서 영감을 받은 '자파 케이크 맥플러리'와 시럽을 추가해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스프라이트 제로' 음료다. 여러 문화권에서 널리 쓰이는 보편적인 식재료가 가미돼 한국에서도 출시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22일 맥도날드에 따르면 두 가지 새로운 메뉴는 오는 30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출시된다. 자파 케이크 맥플러리는 초콜릿 코팅된 쇼트케이크 조각과 오렌지 소스를 부드러운 아이스크림에 섞은 디저트로, 영국의 대표적인 간식인 자파 케이크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자파 케이크는 스폰지 케이크, 오렌지 젤리, 초콜릿 코팅의 세 가지 층으로 구성된 작은 원형 케이크를 말한다. 자파 케이크 맥플러리의 가격은 2.49파운드(약 4700원)다. 스프라이트 제로 음료는 기존 스프라이트 제로에 그린 애플 또는 망고&패션프루트(Passion fruit) 시럽을 추가해 여름철에 상큼하게 즐길 수 있다. 패션프루트는 백향과로도 불리는 열대 과일로, 매우 독특하고 풍부한 향을 가지고 있다. 새롭게 출시되는 음료의 가격은 시럽 포함 2.19파운드(약 4
[더구루=김명은 기자] 디아지오의 글로벌 경영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인 데브라 크루(Debra Crew) 최고경영자(CEO)가 2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공식적인 사임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실적 부진과 투자자 신뢰 하락,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리더십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사 리더십 교체가 프라트메시 미슈라(Prathamesh Mishra) 디아지오코리아 대표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데브라 크루 디아지오 CEO가 최근 사임하고, 닉 장지아니(Nik Jhangiani)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임시 CEO로 신규 발탁됐다. 디아지오는 크루의 사임에 대해 상호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사유를 명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실적 부진을 주요 이유로 들고 있다. 크루는 지난 2023년 6월 이반 메네지스(Ivan Menezes) 전 CEO의 사망 이후 CEO로 취임했다. 문제는 그의 취임 후 디아지오가 실적 부진과 투자자 신뢰 하락이라는 좋지 못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는 점이다. 크루 CEO 재임 기간 동안 디아지오의 주가는 약 44% 뒷걸음질쳤다. 특히 지난
[더구루=김명은 기자] 국내 세포치료제 개발기업 에스바이오메딕스(S.BIOMEDICS)가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A9-DPC(TED-A9)' 임상 1/2a상에서 안전성과 효능에서 긍정적인 중간결과를 얻었다. A9-DPC는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로부터 유래한 고순도의 중뇌 도파민 전구세포로 구성돼 있으며, 환자의 양측 피각(putamen)에 외과적으로 이식돼 운동기능 회복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22일 이같은 내용의 임상 1/2a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임상에는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지 5년 이상 경과한 총 12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이들은 각각 저용량(315만개 세포)과 고용량(630만개 세포) 그룹으로 나뉘어 치료를 받았다. 마지막 환자는 지난해 2월 치료를 완료했다. 1년 후 중대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종양 발생, 세포 과성장, 이소성 이동, 면역 관련 염증 등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미하거나 중등도 수준이었고, 환자 한 명이 무증상의 경미한 출혈을 일으켰으나 신경학적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임상 결과 운동기능도 개선됐다.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운동기능 검사인 MDS-UPDRS Part III(
[더구루=김명은 기자]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승인 건수가 75건을 넘어서며 시장 확대 흐름이 빨라지고 있다. 상업적으로 출시된 제품도 53개에 달하면서 바이오시밀러가 환자들에게 직접적인 치료 혜택을 제공하는 주요 옵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3분기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3년 2분기부터 분기마다 발간된 시리즈의 열 번째로, 시장 동향은 물론, 주요 정책 변화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바이오시밀러 제품 75개를 승인했다. 이 가운데 53개 제품이 상업적으로 출시됐다. 보고서 발간을 시작한 지난 2023년 2분기 당시 승인 제품은 40개, 출시 제품은 28개에 불과했지만 불과 2년여 만에 승인 제품이 35개, 출시 제품이 25개 각각 늘어났다. 이는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서 지난 2분기에는 FDA가 우스테키누맙(1개), 베바시주맙(1개) 바이오시밀러를 승인했고, 데노수맙(2개), 에쿨리주맙(2개) 바이오
[더구루=김명은 기자] 글로벌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폴란드 세무 당국과 법적 분쟁을 예고했다. 폴란드 세관(KAS)이 BAT 파트너사가 수입한 전자담배 '팟(Pod·액상이 들어 있는 작은 카트리지)' 20만개 이상을 불법적으로 압수해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며 폴란드 정부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다. 폴란드 재무부는 압수 절차가 정당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수사 당국은 세관의 판단이 과도했을 가능성을 시사해 폴란드 내부에서도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BAT는 18일(현지시간) 폴란드 세관의 전자담배 팟 20만개 이상 압수 조치가 법적 근거 없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앞서 폴란드 세관은 지난 3월 BAT 파트너사인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Nicoventures Trading Limited)가 수입한 전자담배 팟 20개 이상을 압수한 뒤 샘플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5월 범죄 혐의에 대해 경찰에 통보했다. 하지만 지난달 폴란드 경찰은 "법원에 처벌을 청구할 근거가 없다"고 발표했다. 전자담배에서 사용하는 팟(Pod)은 액상이 미리 충전돼 있는 작은 카트리지 형태로 돼 있으며, 사용 후 교체해야 하므로 소모품으로 분류된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K-라면 대표주자로 올라선 삼양식품의 인기가 일본에서 뜨겁다. 삼양식품은 'K-라면' 열풍에 불을 지피기 위해 일본에서 개최한 '한국 박람회'를 현지 열기에 힘입어 다음달 말까지 연장한다. 행사 지역도 일본 전역의 한국 슈퍼마켓으로 확장해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21일 삼양식품 재팬에 따르면 '삼양식품 한국 박람회'가 8월 31일까지 한국식품 전문 마트인 '리틀 서울(Little Seoul)' 전 매장에서 열린다. 삼양재팬은 당초 지난달 일본 한류 문화의 중심지인 도쿄 신오쿠보와 돈키호테 신주쿠점을 중심으로 박람회를 열어 이달 15일까지 운영하기로 했으나, 현지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은 데 힘입어 기간을 늘리고 장소를 전국 단위로 확장했다. '리틀 서울'은 일본 내 대표적인 한국식품 전문 유통망으로, 지난 2022년 오사카 에키모 텐노지에서 시작해 현재 전국적으로 1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삼양재팬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불닭볶음면'은 물론, 올해 새로 나온 국물형 라면 '맵(MEP)'과 글로벌 파스타 브랜드 '탱클(Tangle)' 시리즈까지 삼양의 주요 제품을 선보이며 고객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더구루=김명은 기자] SK매직이 말레이시아에서 다양한 직군을 대상으로 글로벌 인재 채용에 나섰다. 단순한 인력 보충을 넘어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 중심의 글로벌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이번 채용이 최근 사명을 'SK인텔릭스(SK intellix)'로 변경하고 통합 브랜드 체계를 갖추기로 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21일 SK매직 말레이시아 법인에 따르면 이달 들어 수석 자바(Java) 개발자, 그래픽 디자이너, 재무 담당자, 고객 서비스 담당자 등 개발직과 운영직 채용을 시작했다. 채용 구성을 통해 볼 때 SK매직 말레이시아 법인이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생활 위생 가전 렌탈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 모델에서 탈피해 디지털 기술과 디자인 중심의 글로벌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지 맞춤형 스마트 가전 기업'으로 포지셔닝을 하고 있는 것이다. SK매직은 최근 사명을 SK인텔릭스로 바꾸고, '인공지능(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환경가전에 국한된 이미지를 넘어 최근 선보인 웰니스 로봇 브랜드 '나무엑스(NAMUHX)'와 같은 혁신적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는 HBM 개발 과정에서 설계부터 생산까지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 HBM4E 설계를 주도하고,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설계 기반의 생산만 지원하는 형태로 역할이 조정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상반기에는 SK하이닉스가 TSMC 12nm 공정에서 표준 HBM4E를 공급하며 초기 생산을 담당하고, 이후 엔비디아가 설계한 HBM4E가 3nm 공정에서 생산될 경우 SK하이닉스는 생산 지원에 집중하게 된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SK하이닉스는 기존 설계 협업 중심 역할에서 벗어나 생산 전문 지원으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