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명은 기자] 디아지오(Diageo)가 미국발 '관세 전쟁'의 여파로 맥주 '기네스' 가격 인상 카드를 만지고 있다. 영국과 유럽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적잖은 손실이 예상되는 만큼 가격 인상은 당연한 수순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2위 자리를 놓고 토종 기업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글로벌 OTT 공룡' 넷플릭스가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티빙, 쿠팡플레이, 웨이브 등 국내 주요 플랫폼을 모두 합치면 영향력이 이에 밀리지 않는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넷플릭스와 격차가 크게 좁혀지며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7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국내 구독 기반 OTT 시장에서 넷플릭스는 31%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어 2위 토종 플랫폼인 티빙과 쿠팡플레이, 웨이브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티빙(16%), 쿠팡플레이(13%), 웨이브(11%) 순으로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다. 티빙은 스포츠 팬층을 겨냥한 콘텐츠 전략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프로야구 시즌이 본격화하는 4월을 기점으로 야구 팬들의 유입을 기대하고 있다. 쿠팡플레이는 프리미어리그 중계권을 앞세워 축구 팬층을 공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허브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업체별로 보면 넷플릭스가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토종 OTT를 모두 합치면 점유율이 40%로 넷플릭스를
[더구루=김명은 기자] 동원산업 미국 자회사 스타키스트(StarKist)의 현지 관계사인 연어전문기업 실버베이 씨푸드(Silver Bay Seafoods·이하 실버베이)가 글로벌 영토 확장에 나선다. 캐나다 기업 쿡(Cooke) 자회사 아이시클 씨푸드(Icicle Seafoods·이하 아이시클) 지분을 사들인다. 지분 인수는 실버베이가 알래스카 연어 가공 분야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안정적인 수산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농심이 할랄(Halal) 인증 신라면으로 무슬림들의 입맛을 꽉 잡았다. 농심은 2011년부터 부산 공장의 일부 생산라인을 할랄 전용 라인으로 구축해 40여개국에 할랄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12%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라면 새우맛에 이어 너구리, 뚝배기라면, 김치찌개 등 농심 할랄 라면이 상위권에 오르며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27일 인도네시아 음식 리뷰 매체 니블(Nibble)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 새우맛이 '할랄 K-인스턴트라면' 1위를 꿰찼다. 니블은 할랄 인증을 획득한 한국 라면을 대상으로 실시한 △맛 △브랜드 인지도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신라면 새우맛은 농심이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한 제품이다. 신선한 해산물의 풍미와 매콤한 맛이 조화를 이뤄 매니아층이 두텁다는 평가를 받았다. 농심은 2021년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기관 리폼 무이(LPPOM MUI)로부터 신라면, 너구리 등에 대한 할랄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신라면 새우맛에 이어 너구리가 2위, 뚝배기라면 5위, 김치찌개 6위 등 농심 할랄 제품 라인업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농심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더구루=김명은 기자] 휴온스글로벌의 자회사 휴온스랩이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휴온스랩이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후보물질 'HLB3-002'의 임상1상 주요 연구에서 '최종 환자 등록(Last-Patient-In, LPI)'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신약 개발의 핵심 이정표로, 하반기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품목허가 신청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다. 이번 임상 1상 연구(NCT06713317)는 건강한 지원자 243명을 대상으로 HLB3-002의 안전성과 알레르기 유발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됐다. 이 연구는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방식으로 진행되며, 단회 피내 투여 후 알레르기 유발성을, 단회 피하 투여 후 안전성을 면밀히 평가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아산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병원 등 국내 주요 4개 의료기관이 임상에 참여하며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휴온스랩은 HLB3-002와 오리지널 제품인 미국 할로자임의 '하일레넥스'와 동물효력시험을 통해 동등한 효력을 확인했으며 비임상 독성시험에서 안전성도 확보했다. HLB3-002는 하일레넥스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아닌 휴온스랩
[더구루=김명은 기자] CJ대한통운이 인도 자회사인 CJ다슬(CJ Darcl Logistics)의 지분 확대에 나섰다. CJ대한통운이 급성장하는 인도 물류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고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확장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CJ대한통운이 인도 물류 시장에서 공고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CJ대한통운은 26일(현지시간) 3200만달러(약 440억원)을 들여 인도 자회사 CJ다슬의 지분을 늘렸다. 이에 따라 CJ대한통운 보유 지분율은 50%에서 56%로 높아졌다. CJ대한통운은 CJ다슬의 자본 기반을 강화하고, 성장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터미널, 첨단 창고, 디지털 공급망 솔루션, 대체 연료 플랫폼 등 복합 물류 인프라 전반에 걸쳐 CJ다슬의 확장을 가속화하겠다는 복안이다. CJ대한통운은 지난 2017년 초 인도 수송분야 1위 기업인 다슬로지스틱스의 지분 50%를 인수한 후 CJ다슬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파트너십을 유지해 왔다. CJ다슬의 나머지 지분 44%는 다슬로지스틱스 창립 발기인과 계열사가 계속 보유하고 있다. KK 아가라왈(Krishan Kumar Agarwal) CJ다슬 법인 대표는 "이번 자본을 통해 유통
[더구루=김명은 기자] 강원랜드가 2조5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 보따리를 푼다. 내수에 머물러 있던 사업을 글로벌 복합리조트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리조트 사업 확장을 통해 비카지노 매출 비중을 최대 30%까지 끌어올리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도 10배 이상 확대하겠다는 복안이다.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거두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강원랜드가 외형 확대와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강원랜드는 오는 2032년까지 2조5000억원(19억달러)을 투자해 리조트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른바 K-HIT(하이원 통합관광) 프로젝트다. 이 가운데 1796억원(1억2800만달러)는 두 번째 카지노 시설에 투입된다. 제2카지노 시설은 오는 2027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메인타워 옛 테마파크 지하 1·2층 및 지상층에 총 1만6161㎡(4889평)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카지노 영업장이 5748㎡(1739평) 규모로 조성되고, 나머지 공간에는 복합리조트 추세에 맞춘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쇼핑몰, 공연장, 식음시설 등 비카지노 시설이 들어선다. 강원랜드는 중장기 전략으로 추진되는 글로벌 복합리조
[더구루=김명은 기자] 아모레퍼시픽을 대표하는 뷰티 브랜드 이니스프리, 라네즈, 헤라가 팝업 스토어를 통해 일본 소비자들과 만난다. 각 브랜드의 인기 아이템과 한정판 제품이 한 자리에 모인 '팝업 스토어'가 일본 나고야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26일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다음달 19일부터 24일까지 6일간 일본 이치현 나고야시 다카시마야 게이트 타워몰에서 '나고야 그랜드 오픈 기념 팝업 스토어 헬로우! 나고야!'가 개최된다. 행사 기간에는 이니스프리의 '베스트셀러 모공 케어 세트', 라네즈의 '네오 쿠션 무이', 헤라의 '래스팅 립 & 쿠션 파운데이션 듀오 세트' 등 팝업에서만 구입할 수 있는 특별 한정 제품이 소개된다. 또한 피부 진단과 개선, 메이크업 수정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된다. 아모레퍼시픽 일본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자세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해외 사업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보다 62.0% 증가한 1177억원으로 집계됐다. 해외사업 영업이익이 696억원으로 120.5% 늘었고, 국내사업 영업이익은 494억원으로 0.6% 증가했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영원무역이 글로벌 인재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영원무역 방글라데시 생산기지가 자리한 치타공(Chittagong) 소재 대학교와 협력해 우수 인재를 양성한다. 방글라데시 경제 발전에 기여한 데 이어 현지 차세대 리더 육성을 지원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성기학 회장의 의중이 반영된 결정으로 풀이된다. 영원무역은 26일 방글라데시 치타공 독립 대학교(Chittagong Independent University, CIU)와 장학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장학금은 경영학부의 일부 프로그램에 등록한 학생과 공학부의 컴퓨터 과학, 전기·전자 공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CIU 여름 학기 입학 시험에 합격한 학생은 등록금 전액을 장학금으로 받을 수 있다. 해당 장학 프로그램은 학비를 지원하는 것 외에도 학생들에게 멘토링, 인턴십, 한국 대학의 고등 교육 및 취업 지원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2월 영원무역와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른 광범위한 파트너십의 연장선상이다. 앞서 영원무역은 공동 연구 이니셔티브, 기술 개발 프로그램, 멘토링, 한국 대학과의 교수진 및 학생 교환 프로그램, 고용 기회를 지원하기로 약속
[더구루=김명은 기자] CJ온스타일이 30억원을 투자한 K-뷰티 브랜드 '비나우'가 택시 내부 광고를 시작으로 일본 열도 공략에 나섰다. 비나우는 미국, 일본, 대만 등 주요 화장품 시장에 진출해 현지 고객으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매출 목표는 4500억원이다. 내년에 기업공개(IPO)도 추진한다. 26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비나우는 다음달 22일까지 일본 최대 택시 미디어 '도쿄 프라임'(TOKYO PRIME)을 통해 인플루언서 제휴 광고를 진행한다. 이번 광고는 '여름의 피부 미용 대책'을 테마로 마스크 팩 편과 집중 케어 편으로 나눠 영상으로 방영된다. 마스크 팩 편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에스테틱을 현역 간호사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인기 유튜버 '유키짱'과 제휴해 비나우의 6종 마스크 팩을 알기 쉽게 소개한다. 집중 케어 편에서는 뷰티 클럽 회원으로 10년간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전문 지식을 공유하는 유튜버 에리메이지가 나서 세럼과 마스크 제품의 특징을 알린다. 지난 2018년 설립된 비나우는 스킨케어 브랜드 '넘버즈인', 메이크업 브랜드 '퓌'를 내세워 지난해 266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750억원으로 전년보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삼양식품이 세계적으로 공전의 히트를 친 ‘불닭’ 시리즈의 뒤를 이을 글로벌 브랜드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글로벌 브랜드 '맵'(MEP)의 해외 현지화 메뉴의 론칭을 예고했다. '불닭볶음면'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어 맵을 통해 상승세를 이어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26일 라면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다음달 미국에서 맵 시리즈로 '레드 페퍼 치킨'을, 중국에서 '육계'를 각각 출시한다. 이는 매운맛을 각국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춘 현지화 메뉴다. 맵은 '매운', '매력적인', '시원한'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삼양식품은 이 브랜드에서 한국적인 맛뿐 아니라 이국적인 맛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전 세계를 공략하기 위한 신규 브랜드 '맵'을 태국에서 최초로 공개한 뒤 순차적으로 신제품을 론칭하고 있다. 이미 태국과 말레이시아에서는 '마라 불닭볶음면'이 판매되고 있다. 삼양식품은 기존 불닭 시리즈를 세계 각국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으로 변형해 글로벌 입맛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 앞서 삼양식품은 올해 들어 신규 브랜드 육성을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신성장브랜드본부 출범 이후 삼양식품은 일본과 말레이시아에 잇
[더구루=김명은 기자] 하이트진로가 영국에서 가장 큰 음식 축제인 '테이스트 오브 런던'(Taste of London)을 통해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 확대에 고삐를 죈다. 그동안 영국 대표 뮤직 페스티벌을 공식 후원하며 현지 유통 채널을 확대해온 가운데 K-소주의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3일 주류 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는 다음달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영국 런던의 리젠트 파크에서 열리는 음식 축제 '테이스트 오브 런던'에서 '디스커버리 바'(Jinro Discovery Bar)를 선보인다. '진로 디스커버리 바'에서는 설문을 통해 자몽, 딸기, 자두, 복숭아, 청포도, 신선 등 '가장 잘 어울리는 진로 6가지 맛'을 방문객에게 추천한다. 시음 행사는 물론이고, 무료 게임에 참가해 상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이에 따라 하이트진로의 브랜드 노출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행사에 진로의 열정과 에너지를 불어넣어 글로벌 방문객들에게 소주와 한국의 정신을 모두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하이트진로는 '테이스트 오브 런던' 참가를 기념하기 위해 맨체스터에서 활동하는 일러스트레이터 제시카 리(Jessi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지우무화(九目化学)가 상장을 추진해 2000억원 이상 조달한다.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삼성SDI로부터 올리며 입증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기술력을 바탕으로 재원 마련에 나선다. 8일 베이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우무화는 지난달 18일(현지시간) 기업공개(IPO)를 신청했다. 공모 주식 수는 4687만5000주로, 목표 모금액은 11억5000만 위안(약 2200억원)에 달한다. 2005년 설립된 지우무화는 OLED 소재 설계와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다. 첨단 우량 강소 기업을 뜻하는 '작은 거인(小巨人)'에 속하며 연구·개발(R&D) 인력 226명을 비롯해 총 1075명을 직원으로 뒀다. 매출액은 △2022년 7억600만 위안(약 1300억원) △2023년 8억7800만 위안(약 1700억원) △2024년 9억6200만 위안(약 1900억원) △2025년 1분기 2억800만 위안(약 410억원)을 기록했다. 지우무화의 최대 고객은 삼성SDI다. 삼성SDI는 지난해 지우무화 전체 매출의 약 47.37%를 차지했다. 올해 1분기 매출 비중도 35.69%를 기록했다. 지우무화는 조달 자금 중 1억5000만 위안(약 3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생전 스티브 잡스가 반대했던 '터치스크린 탑재' 맥북을 개발 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최신 맥 운영체제(macOS)의 디자인 변화와 아이패드와의 경계 허물기 등이 진행되면서 애플의 오랜 철학이 깨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