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루이지애나주 주정부가 현대제철의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를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와 세금 혜택을 적극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과 주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현대제철은 설비 업체 선정과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진행, 투자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일 미국 온라인 매체 '더 센터 스퀘어(The Center Square)'에 따르면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과 주정부 관계자들은 현대제철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 중인 화학·제조 산업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 및 완화를 공식 요청했다. 주정부는 프로젝트 지연이나 취소를 막기 위해 직접 협상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의회 인사인 마이크 존슨(Mike Johnson) 하원의장과 스티브 스칼리세(Steve Scalise) 다수당 원내대표에게도 직접 협조를 요청했다. 두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꼽히힌다.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은 이들의 지원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추진 안정성과 관세 완화 협상을 동시에 확보하려 했다.
현대제철의 투자 계획은 지역사회에서도 강력히 지지받고 있다. 후아니타 펄리 도널드슨빌 지역 상공회의소 전무이사는 최근 지역지 ‘디 어드보케이트(The Advocate)’에 보낸 기고글에서 이번 투자가 지역 도로, 에너지, 하수도 등 인프라 개선은 물론 대학교, 훈련 시설 설립과 연계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대제철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시설 투자로 모데스트(Modeste), 도널드슨빌, 웨스트뱅크 주민들에게 경제적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이지애나 경제개발청은 현대제철 프로젝트를 포함한 지역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도로와 전력, 공업용수 등 인프라 지원과 관련해 주정부, 교통개발부, 지방 정부와 협력하고 있다. 특히 현대제철이 요청한 주요 진입로 4차선 확장과 교통 모델 개선을 검토하며 산업단지 내 안전 및 지속가능한 산업 운영을 위한 협력 방안을 마련 중이다. <본보 2025년 10월 13일 참고 한시름 놓은 현대제철, 美 루이지애나 주정부 "도로 인프라 개선" 공식 답변>
현대제철은 지난 3월 58억 달러(약 8조5000억원)를 투자해 어센션 패리시에 연간 270만 톤(t) 규모의 전기로 일관 제철소를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오는 2026년 말 착공해 2030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미국 내 첫 제철소 건설이자, 원료부터 강판 생산까지 모든 공정을 갖춘 최초의 전기로 일관 제철소 설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미국 제철소를 통해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해 신규 고객을 확대하는 한편, 친환경 공정을 도입해 탄소저감형 전기로 생산체계를 구축한 뒤 향후 국내로 확대 적용해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한미 간 관세 협상 최종 타결로 프로젝트 추진 속도도 빨라질 전망이다. 자동차강판과 일반강에 대한 관세 적용이 조정되면서 현대제철은 현지 생산 필요성이 커졌으며 투자 안정화와 북미 시장 확대 전략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최근 주요 설비 업체 선정을 완료하고 세부 커머셜 협상과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최상건 현대제철 전략기획본부장(전무)은 지난달 진행된 올 3분기 실적발표에서 건설 지연에 대한 질문에 "(한미 관세협상) 큰 틀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 진행하는 부분이 조금 부담이 있어서 조용히 진행중"이라며 "한미 관세협상이 마무리 됐기 때문에 11월 중 지분 구조가 확정돼 공개하는 등 가시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