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일 기자] 기아가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와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지만 미국 관세 직격탄과 주요 시장 경쟁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은 급감하며 빛이 바랬다. 기아는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친환경차 수요를 공략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31일 기아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친환경차 판매 확대와 차량 당 판매가격(ASP)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 증가한 28조6861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49.2%가 감소한 1조4622억원이다.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1.6%, 37.3% 감소한 1조8868억원, 1조4225억원을 기록했다.
기아에 따르면 글로벌 판매 확대, 상품 부가가치 향상 등이 긍정요인으로 작용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과 주요 시장에서 경쟁 확대로 인한 인센티브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기아는 3분기 실적에 대해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전기차 판매 확대 등으로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 및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며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및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의 평가손 등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전했다.
기아는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를 이뤄냈다. 기아는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78만5137대를 판매했다. 국내에서 10.2% 증가한 13만8009대, 해외에서 1.4% 증가한 64만7128대로 집계됐다.
국내 시장의 경우 쏘렌토, 카니발을 중심으로 한 고수익 RV 차종 판매 증가와 EV4 신차효과가 이어지며 두자릿수 대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해외 시장의 경우 미국의 견조한 하이브리드(HEV) 수요 강세를 중심으로 북미 시장 수요가 성장을 주도했다. 이외에도 아시아태평양, 중남미 등 신흥 시장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졌다.
서유럽 시장은 슬로바키아 공장의 전동화 전환으로 생산 조정이 이뤄지며 판매가 감소했으며, 인도 시장은 9월말 시행된 상품서비스세 인하 대기수요로 판매가 줄어들었다.
기아는 대외적인 상황이 불확실하지만 친환경차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만큼 트렌드에 발맞춰 하이브리드, 전기차 라인업을 확대한다. 특히 미국 시장의 경우 시장 수요와 규제 변화에 대응해 유연한 생산체제를 적극 활용해 판매량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관세 인하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는 건 12월부터가 될 것"이라며 "내년부터 온전히 영향을 받을 것이다. 내년에는 계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드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