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미국 건설장비 회사 캐터필러에 대한 투자를 철회한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은 보복 조치로 비자 취소를 거론했다.
5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태미 브루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노르웨이 국부펀드의 결정은 캐터필러와 이스라엘 정부를 겨냥한 정당하지 않은 주장에 기반한 것으로 보이며, 매우 우려스럽다'며 "해당 사안에 대해 노르웨이 정부와 직접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운영하는 2조 달러(약 2800억원) 규모의 국부펀드는 지난달 26일 이스라엘에 장비를 판매했다는 이유로 '윤리적 근거'를 들어 캐터필러 투자를 철회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팔레스타인 인권 문제로 이스라엘 이외 국가 기업의 투자를 철회한 것은 캐터필러가 처음이다. 지난해 말 기준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뉴욕 증시에 상장된 캐터필러의 지분 1.2%를 보유하고 있었다.
펀드 윤리 감시기구는 평가 보고서에서 "캐터필러가 제조한 불도저 등의 제품이 이스라엘에 의해 팔레스타인 재산의 불법적 파괴와 같은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국제 인도법 위반에 사용되고 있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조치도 시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은 "이스라엘이 제품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캐터필러를 제재하는 결정은 모욕적이며 근시안적"이라며 "미국 기업을 제재하려는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고, 이같은 결정을 내리는 조직의 책임자에게는 비자를 발급하지 않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르웨이 정부는 국부펀드의 투자 전략에 정부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노르웨이 재무장관은 "정부는 국부펀드의 개별 기업 투자 결정에 관여하지 않는다'며 "윤리 기준에 따라 중앙은행 집행이사회가 독립적으로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