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구리 생산국' 칠레, 글로벌 광산 기업과 美 50% 관세 대응 논의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 산업계·정부 공동 대응 나서

 

[더구루=김나윤 기자] 칠레 정부가 미국의 구리 수입 관세 부과 방침에 대응하기 위해 광산업계와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23일(현지시간) 개최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최대 50%의 고율 관세가 칠레 구리 산업에 미칠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광업 부문에서는 △칠레 국영 구리광산 기업 코델코(Codelco) △칠레 광업협회 소나미(Sonami) △칠레 대형 광산기업 협의회 콘세호 미네로(Consejo Minero) △호주 글로벌 광산 기업 BHP △미국 구리 생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McMoRan) △국제구리협회 등 대표가 참석했다.

 

당국 측에서는 △오로라 윌리엄스(Aururo Williams) 광업부 장관 △니콜라스 그라우(Nicolas Grau) 경제부 장관 △클라우디아 산우에자(Claudia Sanhueza) 국제경제관계부 차관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Claudia Rodriguez) 코칠 코 부사장 △후안 가브리엘 반데스(Juan Gabriel Valdes) 주미칠레 대사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산우에자 차관은 "이것은 단순한 산업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의 사안이기 때문에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조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단기·중기적으로 현재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호르헤 리에스코(Jorge Riesco) 소나미 대표는 "업계 간 정보와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향후 시나리오에 대한 정교한 대응 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결정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했던 지난 22일(현지시간) 국제 구리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는 9월물 구리 선물은 파운드당 5.732달러(약 7900원)에 거래됐다.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는 현물 구리 가격이 t당 9860달러(약 1400만원)까지 올랐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수입산 구리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를 내달 1일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