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의 운영사인 네이버제트가 투자한 프랑스의 3D콘텐츠 제작 플랫폼 '키네틱스(Kinetix)'가 메타버스 등 가상 공간에서 이모트를 제작할 수 있는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Software development kit)를 출시했다.
키네틱스는 9일(현지시간) 모든 아바타 기반 게임에서 이모트를 제작, 배포할 수 있는 새로운 SDK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모트는 포트나이트, 배틀그라운드,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세컨드라이프와 같은 3D MMO나 메타버스 등에서 주로 사용돼 온 것으로 유저는 캐릭터의 몸짓, 춤, 표정 등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모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3D 전문가, 전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필요했으며 이로인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었다. 키네틱스는 새로운 SDK와 원격 휠 등을 통해 유니티 엔진 기반 아바타 게임에서 손쉽고 빠르게 이모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유저들이 자신만의 이모트를 제작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키넥티스 관계자는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이모트를 사용해왔다. 또한 퍼블리셔에게는 새로운 수익 창출원이 됐다"며 "키네틱스는 모든 유니티 게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모트로 퀀텀 점프를 주도하고 있다. 개발자가 이모트를 사용해 몰입도, 유저 유지, 수익성을 높이는 동시에 게이머들도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싶다"고 말했다.
키네틱스는 AI기술을 기반으로 한 3D 콘텐츠 제작 플랫폼으로 다양한 영상, 이미지 파일을 통해 별도의 코딩 작업 없이 3D로 랜더링 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개인도 손쉽게 3D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키네틱스는 2022년 5월 구글의 전 임원인 아담 고바라가 주도한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100만 달러를 조달했다. 해당 펀딩에는 네이버제트를 비롯해 스파클 벤처스, 부두의 CEO인 알렉산드르 야즈디, 사비어 니엘 스테이션F 설립자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