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TKG그룹(옛 태광실업그룹)이 베트남 비료 공장을 매각하고 관련 사업에서 철수한다. 경쟁이 치열한 현지 비료 시장에서 손을 떼고 경영 효율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3일 베트남 비료 회사 '페트로베트남까마우비료(PVCFC)’에 따르면 PVCFC는 지난 1일(현지시간) 호치민시에서 TKG그룹의 비료공장 ‘KVF(Korea-Vietnam Fertilizer)'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인수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KVF는 TKG태광과 TKG휴켐스가 각각 지분 51%와 49%를 보유한 NPK 복합비료 생산기지다. TKG태광과 TKG휴켐스는 작년 9월과 10월 열린 각사 이사회에서 KVF 지분 매각의 건을 주요 안건으로 상정, 최종 가결됐다. 7개월여 만에 공장 매각처를 확정했다. TKG그룹이 KVF 매각을 결정한 것은 베트남 비료 시장의 낮은 성장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베트남에서 농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10% 비중을 차지하고 농업 종사자 인구 비율이 전체의 40~50%에 달하는 등 현지 경제의 주요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경작 면적이 한정돼 농업 규모 확대가 제한적인데다 비료 산업도 2014년 이후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TKG태광의 인도네시아 신발공장 건설이 답보 상태에 빠졌다.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서다. 솔롭스(Solopos) 등 인도네시아 매체에 따르면 TKG태광은 신발공장 건설을 위한 부지 매입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신공장이 들어설 보나궁 마을 농민 수십 명은 연합농민소통포럼(FKPB)을 만들고 반대를 표명했다. 농지는 지역 사회의 중요한 자원이며 수십 년 동안 이어온 삶의 터전을 빼앗길 수 없다고 주장했다. 토지 수자르완토(Thonie Sujarwanto) FKPB 사무총장은 "현재 많은 농부가 밭을 팔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며 '팔지 않겠다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지만 압박이 지속되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타논 마을협의체(BPD)를 이끄는 알리 마스쿠리(Ali Maskuri)도 "농부들에 매각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고 거들었다. 이어 "회사(TKG태광)는 투명하지 않은 중개인과 일했다"며 "마을에 공식적으로 (공장 건설을) 통보한 적이 없고 회사 정보도 공유하지 않았다"며 "(땅을 매입하고자) 누군가 여전히 움직이고 있다면 그건 불법이며 상황을 정리하는 것이 당국의 의무다"라고 지적했다. TKG태광은 40만~
[더구루=길소연 기자] '신발왕'으로 불렸던 고(故)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TKG태광(옛 태광실업그룹)의 베트남 현지법인이 신발공장을 증설한다. 오는 3분기 착공으로 생산량 증대에 따른 고객사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TKG태광 비나 합작사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Dak Lak)성의 호아 푸(Hoa Phu) 산업단지 4만875㎡(1만2360평) 부지에 신발 공장을 짓는다. 신발공장 증설 프로젝트는 법적 절차를 완료하고 공장, 기반 시설을 개조한다. 또 기계와 관련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1공장의 근로자가 약 7000명이라면, 2공장은 1만5000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증설된 공장 가동시 향후 3년간 현지인력 5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TKG태광 비나는 닥락성 공장에서 근무할 인력을 동나이성(Dong Nai) 공장에서 교육하고 있다. 2공장 증설은 총 사업비 4860억 동(약 2200만 달러) 규모로, 운영 기간은 오는 2058년까지 37년간이다. 닥락성 인민위원회는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TKG태광 비나의 신발공장 건설 투자인증서를 발급했다. <본보 2021년 11월 4일 참고 태광실업, 베트남 닥락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