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건조해 일본 선사 미쓰이OSK라인(Mitsui OSK Lines, Ltd·MOL)에 인도한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러시아에 대한 유럽연합(EU)의 경제제재 대상에서 제외됐다. EU가 러시아산 LNG 선적을 중단한다는 조건하에 선박을 블랙리스트에서 삭제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EU는 18일(현지시간) 러시아에 대한 18차 EU 제재안을 발표하며 MOL이 운영하는 3척의 LNG선에 대한 제재를 전격 해제했다. 18차 대러 제재안은 러시아산 원유 상한가 인하, 에너지·금융 제재 강화를 골자로 한다. MOL이 관리하는 LNG 운반선 노스문(North Moon), 노스 오션(North Ocean), 노션 라이트(North Light) 등 3척은 두 달 전 EU의 17차 제재에 포함됐다. 러시아 야말(Yamal) LNG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가스를 아시아로 수출하기 위한 선박 간 환적 작업에 연루돼 제재 대상에 올랐었다. 당시 제재로 해당 선박들은 아시아 항구 주변에서 활동이 제한됐었다. EU는 MOL이 이들 선박을 러시아 야말 LNG 프로젝트나 북극(Arctic) LNG-2프로젝트에서 생산된 LNG를 운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의 미국 조선소 '한화 필리조선소(이하 필리조선소)'가 현지 정계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지사에 이어 필라델피아 시장, 미 해상청(MARAD) 수장과 연달아 회동하고 조선 산업 역량을 알렸다.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지원할 거점으로 위상을 드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한화 필리조선소와 MARAD에 따르면 상 이(Sang Yi) 청장 대행은 지난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필리조선소를 방문했다. 미 국가안보다목적선박(NSMV)의 건조 현황을 점검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협력할 방안을 검토했다. 필리조선소는 NSMV 5척을 수주해 작년 기준 2척을 인도했다. 같은 주 셰렐 파커(Cherelle Parker) 필라델피아 시장도 조선소를 찾아 미래 해운 산업을 책임질 견습생들을 격려했다. 필리조선소로부터 현지 지역 교육기관들과 인력 양성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있는 여정을 들었다. 이달 초에는 미국 민주당의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조쉬 샤피로(Joshua Shapiro) 펜실베이니아 주지사가 필리조선소를 시찰해 이목을 모았었다. 미국 정계의 관심이 필리조선소에 집중되는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스위스 선사 어드밴티지 탱커스(Advantage Tankers)로부터 1억2970만 달러(약 1790억원)의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척의 수주 계약을 따냈다. 지난 4월 체결한 VLCC 2척 건조 계약의 연장선이다. 글로벌 해운사들로부터 인정받은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대규모 발주가 예상되는 VLCC 시장에서 추가 기회를 노린다. 14일 노르웨이 트레이드윈즈와 싱가포르 스플래시247 등 조선·해운 전문지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어드밴티지로부터 32만 DWT(Dead Weight Tonnage·재화중량톤수) 규모 VLCC 1척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약 1억2970만 달러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지난 4월 25일 어드밴티지 탱커스로부터 32만 DWT 규모 VLCC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었다. 척당 약 1억2970만 달러, 당시 환율 기준(달러당 1430.20원)으로 총 3710억원에 2척 건조를 확정했다. 이어 약 3개월 만에 옵션 물량이었던 1척에 대한 계약을 마무리했다. 2027년 2·3분기 건조를 완료해 인도한다는 목표다. 2014년 설립된 어드밴티지 탱커스는 VLCC 6척을 포함해 25척을 보유하고 있다. 내년 말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 대표단이 폴란드 하원 국방위원회와 만났다. 잠수함 3척을 도입하는 8조원 규모의 '오르카(ORKA)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현지에서 활발한 홍보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안제이 셰빈스키(Andrzej Szewiński) 폴란드 하원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0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폴란드 바르샤카 의회에서 정승균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이 이끄는 한화오션 대표단을 접견했다고 밝혔다. 폴란드 측에서는 안제이 그집(Andrzej Grzyb) 위원장을 비롯해 현지 국방위원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화두는 오르카 사업 협력이었다. 기술 이전과 현지 생산, 후속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안이 제시됐다. 셰빈스키 부위원장은 "양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폴란드의 해군 능력과 지역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화오션은 오르카 사업 수주를 위해 현지 홍보에 매진하고 있다. 한화오션 대표단은 지난달 26일 국가해양안보포럼(National Maritime Security Forum)에 참석하고, 이튿날 현지 언론을 대상으로 기자간담회도 열었다. 폴란드 기자회견을 통해 오르카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고자 민간 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4300억원' 규모 초대형 에탄운반선(Very Large Ethane Carrier·VLEC) 2척의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했다. 일본 해운사 미쓰이 OSK 라인(MOL)이 인도 국영 석유천연가스공사(ONGC)의 VLEC 신조 입찰을 따내면서 삼성중공업이 VLEC 유력 건조사로 떠올랐다. 9일 노르웨이 조선·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와 싱가포르 글로벌 조선해양 뉴스매체인 스플래시247(Splash 247) 등 외신에 따르면 ONGC는 올초 MOL과 일본 해운사 NYK, 말레이시아 해운그룹 MISC 버하드(Berhad) 등 3개 회사의 제안서를 두고 평가한 결과 이사회 승인에 따라 MOL과 10만㎥급 VLEC 2척을 건조·소유·운영하는 기본합의서(HOA)를 체결했다. MOL과 ONGC는 합작법인을 세워 2척의 신조 VLEC를 운영한다. 선박은 인도 후 구자라트주 다헤즈에 위치한 듀얼 피드 크래커(Dual-feed cracker) 공장을 운영하는 ONGC의 석유화학 계열사인 ONGC 페트로 에디션즈(OPaL)에 수입 에탄을 운송하는데 사용된다. 이 공장은 ONGC의 원료 공급 다각화를 위한 노력으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중공업이 중국 초상중공업(CMHI)과 캐나다 시더(Cedar) 프로젝트에 쓰일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상부 구조물 제작을 논의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한화오션과 함께 후보군으로 검토했으나, 국내 조선 업계의 협력을 촉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CMHI를 탈락시켰다는 분석이다. 9일 노르웨이 해양전문지 업스트림(Upstream)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FLNG 탑사이드 모듈 제작을 추진하며 CHMI와 한화오션으로부터 제안을 받았다. 막판까지 저울질하다 한화오션을 최종 파트너로 선정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이 CHMI와 계약 체결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었다. 하지만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최종 결정의 배경을 두고 관심이 모아졌다. 이번 협업은 국내 대형 조선소 간 협력 사례를 많이 만들고 조선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겠다는 양사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삼성중공업과 한화의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3년 12월 500억원 규모의 상선용 블록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블록은 삼성중공업이 아시아 선주로부터 수주한 1만6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중국 최대 밸브 제조사로부터 선박용 밸브를 수급한다. 선박 건조 수요가 늘면서 핵심 구성품의 공급망 구축에 열을 올리고 있다. 8일 뉴웨이밸브(Neway Valve)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화오션과 선박용 밸브 공급에 대한 기본협정(Framework Agreement)을 체결했다. 뉴웨이밸브는 1997년 설립된 중국 최대 산업용 밸브 제조사다. 선박과 광산, 에너지, 수처리, 석유화학 등에 쓰이는 밸브를 공급하고 있다. 중국 쑤저우에 본사를 두며 현지 시장에서 90% 이상 점유율을 올리고 있다. 미국과 브라질, 이탈리아, 베트남, 두바이,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 판로도 개척했다. 2006년 연매출 1억 달러(약 1300억원), 2022년 6억 달러(약 8200억원)를 돌파하며 성장을 지속했다. 지난 2008년에는 SK에너지의 초대형 플랜트 유동식접촉분해시설(FCC) 공정에 450만 달러(약 60억원) 상당 밸브를 공급한 바 있다.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에도 밸브를 공급 중이다. 밸브는 선박 건조의 중요한 구성품이다. 개폐(on-off)용 밸브인 게이트 밸브부터 유체 흐름을 제어할 글로브 밸브·볼 밸브·버터플라이 밸브 등 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 미국법인의 손자회사인 한화해운(Hanwha Shipping)이 한화오션에 초대형 유조선(VLCC) 1척을 발주했다. 한화해운은 미국향 선박 건조로 미국산 선박 의무사용 규제에 대응하면서 국내에서 건조한 선박의 국적을 전환해 미국 정부의 해양패권 '꿈'을 지원한다. 4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한화해운은 한화오션과 30만DWT급 VLCC 1척의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선박은 한화오션의 거제사업장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되며, 유해가스 정화장치인 스크러버(Scrubber)를 장착한다. 한화해운은 이들 선박에 미국 국기를 달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선박의 자국 내 운항을 불허하는 미 연안 무역법(Merchant Marine Act, 일명 존스법)에 따라 미국에서 건조한 미국 국적 선박으로 미국산 LNG를 운송하는 규정을 실현한다. 이로써 한화해운이 한화오션에 발주한 선박은 LNG운반선 2척을 포함해 총 3척이다. 한화해운은 지난 2월 한화오션과 7322억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신조선은 2027년 9월 인도 예정이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자사가 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폴란드 차세대 잠수함 도입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 지원을 약속했다. 폴란드 정부 맞춤형 지원 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유지·보수·정비(MRO) 센터와 조선소 지원도 검토한다. 3일 폴란드 방산전문지 밀매그(Milmag) 등 외신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럽연합(EU) 기금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방안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민간 은행의 자금 지원을 비롯해 현지 맞춤형 대안을 의향서(LoI)에 담아 폴란드 당국에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수출입은행과 같은 공적 금융 기관에서 지원을 받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정승균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은 "우리 목표는 오르카 프로그램을 원활히 추진할 수 있도록 최적의 자금 조달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번 제안은 유연성과 예측 가능성을 가지며, 무엇보다 폴란드가 자국 해군 역량 개발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갖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폴란드 조선소와의 협력 의지도 내비쳤다. 한화오션은 잠수함 유지·보수·정비(MRO), 수상함 건조 등에서 협력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조선업 발전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그리스 선사 '차코스에너지네비게이션(Tsakos Energy Navigation, 이하 TEN)'으로부터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최대 3척 수주를 눈앞에 뒀다. 경쟁력 있는 가격과 조기 인도로 HD현대·삼성중공업과의 수주전에서 승리했다. 26일 노르웨이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최근 경남 거제조선소에서 TEN과 VLCC 최대 3척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LOI는 본계약을 맺기 전 단계로 특별한 이견이 없으면 최종 계약으로 이어진다. 신조가는 척당 1억2300만 달러~1억2500만 달러(약 1670~1700억원), 인도는 2027년으로 추정된다. 3척 중 2척은 확정된 물량이며 남은 1척은 옵션이다. TEN은 노후 선박을 교체하고자 10년 만에 VLCC 발주를 추진하며 한국 조선소들에 노크했다.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을 후보군으로 삼아 세부 조건을 논의했다. <본보 2025년 6월 20일 참고 그리스 선사 초대형 원유운반선 발주….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수주 유력> 삼성중공업은 경쟁사 대비 높은 가격을 써내 협상 과정에서 일찍이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 필리조선소가 건조한 미국 최초의 심해 암석설치선(Subsea Rock Installation Vessel, SRIV)이 오는 7월에 진수한다. 미국 해상에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 암석을 설치하는데 한화 필리조선소의 SRIV이 활용된다. 당초 지난해 4분기로 예정됐던 인도일은 지연됐으나 한화가 필리조선소 인수하면서 건조에 속도가 붙어 납기 문제를 해소한다. 19일 한화 필리조선소 고객사인 미국계 토지매립·준설 전문 회사 그레이트 레이크 드레지 앤드 도크 컴퍼니(Great Lakes Dredge & Dock Company, GLDD)는 최근 비즈니스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을 통해 "미국 최초의 해저 암석 설치선인 아카디아(Acadia)호가 7월 진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GLDD는 이어 "한화 필리조선소가 건조한 SRIV는 오스테드(Orsted)와 협력해 미국 해상 암석 설치에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선박 진수는 선박을 물로 옮기는 과정으로, 진수된 선박은 시운전을 거쳐 인도될 예정이다. 선박은 인도 후 GLDD의 미국 해상 암석 설치 작업에 투입된다. GLDD는 2023년 미국 동부 해안의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해저 암석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방한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대표단과 만났다. 유지보수 시설 건립과 현지 기업과의 협력, 기술 이전 등을 폭넓게 살폈다. 이후 양국 정상회담에서도 한국 잠수함 기술이 주요 의제에 오르며 '30조원 이상'인 캐나다 잠수함 사업 수주를 위한 민관의 공조가 돋보이고 있다. 정승균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은 최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서 지난 10일 서울 중구 한화오션 본사에 최병하 아시아·태평양 정무 무역 차관을 비롯해 BC주 대표단을 초청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캐나다 잠수함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잠수함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지보수 거점을 짓고 공동 연구·개발(R&D)을 모색하며, BC주 기업·원주민 단체 소유의 회사와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광범위한 협력을 통해 기술 이전을 추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캐나다 경제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정 부사장은 회동 직후 "캐나다 해군 현대화 사업을 지원하게 돼 자랑스럽다"며 "단순한 플랫폼 공급을 넘어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방산 파트너십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회를 남겼다. 캐나다 잠수함 사업은 1990년대 말 도입한 빅토리아급 재래식 잠수함을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MediaTek)이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디지털 콕핏 플랫폼 'C-X1'을 앞세워 중국 고급 전기차 브랜드에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부터 대량 출하가 예정된 가운데 미디어텍이 스마트폰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차량용 반도체 분야로 영역을 넓힐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대만 매체 전자시보(Digitimes)에 따르면 미디어텍이 엔비디아(NVIDIA)와 공동 개발한 C-X1은 비와이디(BYD), 지리(Geely), 베이징자동차(BAIC) 등 중국 주요 완성차 업체의 고급 전기차 모델에 채택됐다. 제품의 대량 출하는 내년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C-X1은 미디어텍의 차량용 반도체 브랜드 '디멘시티 오토(Dimensity Auto)'의 플래그십 제품이다. TSMC의 3나노미터(nm) 공정으로 제조되며 차량용에 최적화된 Arm v9.2-A 중앙처리장치(CPU)와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아키텍처 '블랙웰(Blackwell)'이 통합돼 있다. 이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AI) △고해상도 그래픽 처리 △실시간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영국에 새로운 사무실을 마련했다. 리비안은 이번 런던 사무실 개설에 대해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기술 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런던 사무실 개설로 영국 내 최고 AI 엔지니어링 인재를 영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리비안은 향후 테슬라 등 자동차 기업 뿐 아니라 AI모델을 개발하고 있는 빅테크와도 인재 영입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리비안은 영입한 인재들을 앞세워 차세대 자율주행 솔루션인 '리비안 오토노미 플랫폼(Rivian Autonomy Platform)'의 추가 개발을 진행한다. 리비안 오토노미 플랫포음 AI 기술과 멀티모달 센싱과 고성능 신경망 컴퓨팅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고속도로 주행 시 양 손이 자유로운 핸즈프리 모드가 가능하다. 또한 리비안 오토노미 플랫폼은 실제 주행 중에 확보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에 리비안이 판매하는 자동차가 늘어날 수록 더욱 강력한 성능을 가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비안 관계자는 "런던에 AI 허브를 개설하고 선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