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Electra)가 카자흐스탄 회사로부터 황산코발트 원료를 공급 받는다. 2026년부터 약 3000톤(t)을 공급받아 캐나다 정제소에서 쓴다. 북미산 황산코발트 생산에 속도를 내며 파트너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광물 공급망 구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22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이 회사는 유라시안 리소시스 그룹(Eurasian Resources Group S.A.R.L 이하 ERG)과 수산화코발트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026년부터 3년간 ERG의 콩고 소재 메탈콜 사업장에서 생산한 광물을 3000t 수급한다. 수산화코발트는 일렉트라의 정제소에 투입돼 황산코발트 생산에 필요한 주요 원료로 쓰인다. ERG의 공급량은 정제소의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하다고 일렉트라 측은 설명했다. ERG는 수력 발전소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해 광물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적다. 세계 배터리 동맹(Global Battery Alliance)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메탈콜 사업장은 책임있는 광물 보증 프로세스(RMAP)의 인증도 획득했다. 윤리적이며 친환경적인 광물 생산을 입증해 일렉트라의 공급사로 낙점됐다. 일렉트라는 캐나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광물업체 일렉트라(Electra)가 온타리오주 황산코발트 정제소 증설을 중단하거나 속도 조절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자금난이 해결되지 않은 탓이다. 22일(현지시간) 노던온타리오비즈니스 등 외신에 따르면 트렌트 멜 일렉트라 최고경영자(CEO)는 "뚜렷한 자금 조달 솔루션이 마련될 때까지 (황산코발트 정제소 건설) 프로젝트를 일시 중지하거나 속도를 늦추겠다"고 밝혔다. 일렉트라는 2021년 6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유휴 정제소를 재개·확장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연간 5000t의 생산능력을 6500t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총 투자비는 1억6100만 캐나다달러(약 1600억원)다. 현재까지 8100만 캐나다달러(약 800억원) 이상 투입됐다. 지난 5월 기준 △세부 엔지니어링 98% △장비 조달 85% △현장 인프라 조성 90%를 달성했다. 정제소 증설에 속도를 내던 일렉트라는 자금난에 발목이 잡혔다. 일렉트라는 경영진 급여를 삭감하고 직원도 30명으로 줄였다. 최근 두 건의 사모 발행을 통해 2100만 캐나다달러(약 210억원)를 조달했으나 여전히 정제소 완공에 필요한 자금은 모자른 상황이다. 멜 CEO는 향후 6개월 동안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 Corporation, 이하 일렉트라)로부터 2029년까지 황산코발트 1만9000t을 공급받는다. 북미 공급망을 강화해 배터리 광물 수요를 충족하고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다. 일렉트라는 LG에너지솔루션과 황산코발트 공급 계약을 확대했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일렉트라는 2025년까지 3000t을 공급한다. 이듬해부터 2029년까지 4000t씩 추가 납품해 총 1만9000t을 제공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작년 9월 일렉트라와 2023년부터 3년 동안 총 7000t을 공급받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에 기간을 연장하고 구매량을 확대하며 북미에서 황산코발트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게 됐다. 일렉트라는 북미 지역에서 황산코발트를 정제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서드베리 니켈 광산 인근에 습식 제련소를 짓고 있다. 제련소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에서 얻어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한다. 일렉트라는 페배터리에서 코발트와 니켈, 망간 등 배터리 광물을 추진하는 재활용 사업도 진행 중이다. 온타리오주 북부에 파일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Electra)가 자금난 여파로 온타리오주 정제소 확장 공사를 중단했다. 파트너사인 LG에너솔루션에 배터리 핵심 원재료 공급도 늦어질 전망이다. 15일(현지시간) 노던온타리오비즈니스 등 캐나다 매체에 따르면 트렌트 멜 일렉트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0일(현지시간) 2023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정제소 프로젝트를 완료하기위해 자금난 해결 방안을 평가하는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일렉트라는 2021년 6월 온타리오주 테미스카밍 쇼어스에서 정제소 확장에 착수했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연간 코발트 생산량은 6500톤(t)까지 늘어나게 된다. 일렉트라는 △세부 엔지니어링의 98% △장비 조달의 85% △현장 인프라 구축의 90%를 완료했다. 진전을 보이던 정제소 건설은 투자비 증가에 발목이 잡혔다. 당초 7600만~8000만 달러(약 1010억~1060억원)로 추정된 사업비는 1억1000만~1억2100만 달러(약 1470억~1610억원)로 치솟았다. 철강과 콘크리트 등 원자재 비용과 인건비 상승, 운임비 인상의 여파다. 일렉트라는 △장비 교체·설치에 730만 달러(약 97억원) △건설 관리·허가에 570만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가 유럽 최강 성능의 군용 슈퍼컴퓨터 '아스가르드(Asgard)'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아스가르드를 활용해 군사 인공지능(AI)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텍사스주가 데이터센터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페르미 아메리카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주요 기업들이 투자를 추진하며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