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동진쎄미켐이 미국 정부로부터 240만 달러(약 34억원) 상당 보조금을 획득했다. 현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1억1000만 달러(약 1500억원)를 추가 투자하고 '포토레지스트 지우개'인 신너 생산량을 늘린다. 인근 삼성 파운드리 공장의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을 지원한다. 14일 미국 텍사스 주정부와 비즈니스 저널에 따르면 동진쎄미켐은 지난 12일(현지시간) 텍사스 반도체 혁신 펀드(TSIF)로부터 240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 TSIF는 텍사스를 미국 내 반도체 제조·연구 중심지로 육성하고자 조성된 펀드다. 동진쎄미켐은 텍사스주 킬린에 반도체 소재 공장을 확장하는 대가로 보조금을 받게 됐다. 동진쎄미켐은 지난 2022년 미국 첫 공장 건설을 결정했다. 7000만 달러(약 1000억원)를 투자해 킬린산업단지 내 9만1000㎥ 규모의 포토레지스트 신너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포토레지스트 신너는 실리콘 웨이퍼 가장자리의 불필요한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화학 용제다. 포토레지스트가 얇고 균일하게 발리도록 해 웨이퍼에 정밀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동진쎄미켐은 국내 포토레지스트 신너 시장에서 점유율 1위다. 동진쎄미켐은 지난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텍사스주(州) 킬린시의회가 국내 전자재료 생산기업 동진쎄미켐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를 승인했다. 미국 내 첫 생산 거점 구축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간) 킬린시에 따르면 시의회는 이날 오후 회의를 열고 동진쎄미캠과 챕터380 협정을 체결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동진쎄미켐은 10년간 43만5999달러(약 6억원)를 초과하지 않는 금액으로 투자 인센티브를 받게 됐다. 동진쎄미켐은 약 7000만 달러(약 930억원)를 투자해 킬린산업단지(Killeen Business Park)에 반도체용 공정재료 생산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2만5500㎡ 부지를 인수할 예정이다. <본보 2022년 11월 14일자 참고 : [단독] 동진쎄미켐, '1000억 투자' 美 텍사스 킬린에 생산 거점 구축> 생산된 제품은 텍사스주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동진쎄미켐의 최대 고객사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1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테일러에 2공장도 건설 중이다. 킬린은 오스틴과 테일러와 각각 차로 한 시간 거리다. 동진쎄미켐은 앞서 지난 9월 미국 공장 설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자재료 생산기업 동진쎄미켐이 약 1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텍사스주(州) 킬린시에 반도체용 공정재료 공장을 건설한다. 미국 내 생산 거점을 확보해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에 대한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14일 텍사스주 킬린시에 따르면 데비 내시 킹(Debbie Nash-King) 킬린시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열린 시의회 워크숍에서 "한국의 화학회사인 동진쎄미켐이 7000만 달러(약 920억원)를 투자해 킬린산업단지(Killeen Business Park)에 공장을 열 계획"이라며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콧 코넬 킬린경제개발공사 최고경영자(CEO)도 이 자리에서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산업을 위한 정밀화학제품 최대 생산업체 가운데 하나로 삼성전자의 공급사"라며 "투자액은 최소 7000만 달러이며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진쎄미켐은 킬린산업단지 내 약 12만5500㎡ 부지를 인수할 예정이다. 이 공장에서는 반도체용 공정재료를 생산할 전망이다. 생산된 제품은 텍사스주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 공급한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오스틴에 1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테일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