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TCL이 LG디스플레이의 중국 광저우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공장에 대한 소유권을 100% 확보했다. 중국 국영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잔여 지분까지 모두 사들이고, 안정적인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TCL은 지난 10일(현지시간) 광저우개발구가 보유하고 있던 LG디스플레이 광저우 LCD 패널·모듈 공장 지분 2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매입가는 26억1500만 위안(약 5230억원)이다. 지분 매입을 통해 광저우 LCD 공장 TCL의 지분은 100%로 늘어나게 됐다. TCL은 작년 9월 자회사 CSOT(차이나스타)를 통해 LG디스플레이 광저우 LCD 공장 지분 80%를 매입했다. 매매 대금은 108억 위안(약 2조1600억원)이고 거래 마감 일자는 오는 3월 31일이다. TCL측은 "이번 거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에서 TCL의 사업 레이아웃을 더욱 풍부하게 할 것"이라며 "산업적 시너지와 규모적 이점을 강화해 대형화 추세에 따른 성장 수요를 충족하고 장기적 수익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저우 LCD 공장은 △LG디스플레이 (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정부가 침체된 현지 소비를 활성화하고 경제 성장 모멘텀을 회복하기 위해 소비 보상판매 프로그램인 ‘트레이드인 프로그램’ 품목을 확대한다. 하지만 애플 제품은 판매 가격 제한으로 인해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울상'을 짓고 있다. 가장 큰 소비 시장인 중국의 '자국 밀어주기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스마트폰 지형 변화 가능성에 업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올해 소비재 트레이드인 프로그램에 스마트폰 및 기타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한다. 침체된 내수 시장을 활성화, 경제 성장 모멘텀을 회복하기 위해서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일 판매 가격이 6000위안(110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에 한해 최대 15%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에는 약 810억 위안(15조1500억 원)이 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책정된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가 주로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중국 브랜드 제품은 하이엔드 모델조차 5000~6000위안에 머무르고 있다. 오포의 플래그십 모델 파인드 X8 중 가장 비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최대 금·구리 생산 기업 쯔진마이닝(Zijin Mining Group)이 장거 마이닝(Zangge Mining) 인수를 추진 중이다. 리튬 분야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쯔진마이닝은 지난 10일 "장거 마이닝의 주요 주주인 티베트 장거 벤처 캐피탈(Tibet Zangge Venture Capital), 닝보 메이산 보세항구 신사훙윈투자관리(Ningbo Meishan Bonded Port Area Xinsha Hongyun Investment Management)와 인수 협상 중"이라며 "이번 협상이 지배권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두 주주가 보유한 지분 규모는 총 466억3000만 위안(약 9조3280억원)에 달한다. 이번 인수 협상은 쯔진마이닝의 금 생산량 확대와 더불어 구리와 리튬을 포함한 배터리 금속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번 인수는 티베트 줄롱(Julong) 구리 프로젝트에 대한 소유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줄롱 프로젝트는 합작투자 형태로 운영 중이다. 쯔진마이닝은 지난해 줄롱 광산 생산량을 일일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가 세 번째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 자동차운반선(PCTC) 운용을 시작한다. BYD는 신조선으로 해상 운송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영 조선소 중국국영조선공사(CSSC) 산하 광저우조선소(GSI)는 7일(현지시간) BYD를 위해 건조된 7000CEU 이중 연료 PCTC를 'BYD 허페이'(HEFEI)로 명명하고 인도했다. 선박은 길이 199.9m, 너비 38m, 흘수 9m로 건조됐다. LNG 이중 연료 추진 시스템을 채택하고 영구 자석 축 발전기가 장착됐다. 또한 에너지 절약 장치, 항력 감소 방오 도료 등 기타 에너지 절약 조치를 채택해 친환경적이고 지능적이며 에너지 효율적으로 건조됐다. BYD 허페이는 BYD가 운영하는 세 번째 7000CEU급 이중 연료 PCTC이자 첫 소유 선박이다. BYD는 2023년에 GSI에 7000CEU급 이중 연료 PCTC 2척을 주문했다. 이중 첫 번째 선박이 인도된 것이다. GSI이 건조한 또 다른 7000CEU급 PCTC는 BYD에 이미 인도돼 운항을 시작했다. 소유주인 조디악 마리타임(Zodiac Maritime)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의 모델Y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 '주니퍼(Juniper)'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탑재된다는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CATL와 함께 배터리 파트너사 '양대산맥' 지위를 공고히하며 테슬라의 신차 출시에 따른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중국공업신식화부(MIIT)가 최근 공개한 '도로자동차 제조사 및 제품 공고(391차)'에 따르면 테슬라는 모델Y 페이스리프트 버전 3종 중 듀얼 모터 모델(모델명 TSL6480BEVBA7)에 LG에너지솔루션이 공급한 삼원계 배터리를 장착한다. 싱글 모터 모델 2종(모델명 TSL6480BEVAR5·TSL6480BEVAR6)에는 CATL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를 채택한 TSL6480BEVBA7은 최대 전력이 각각 137kW와 194kW인 전·후면 모터가 탑재된다. TSL6480BEVAR5와 TSL6480BEVAR6에는 최대 전력이 220kW인 단일 모터가 적용된다. 무게는 듀얼 모터 차량이 1992kg으로 싱글 모터 모델(1921kg) 대비 더 무겁다. 중국공업신식화부가 공개한 서류에서 배터리 스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언급되지 않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3세대 반도체 기업들이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으로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한편, 미국의 반도체 제재로 공급망이 막히면서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중국 기업들은 홍콩 증시 상장 등을 통해 국제화 전략을 더욱 가속화하는 동시에 미국의 압박까지 우회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홍콩증권거래소(HKEX)에 따르면 지난달 23일(현지시간) 집적회로(IC) 구동 업체 톈위와 이노사이언스(Innoscience)는 기업공개(IPO)를 승인받았다.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판 제조업체인 SICC도 IPO 절차를 추진 중이다. 이노사이언스는 질화갈륨(GaN) 전력 반도체 제조업체다. 지난 2023년 GaN 전력 반도체 시장 점유율 세계 1위(점유율 42.4%)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3분기(7~9월) 누적 GaN 출하량은 10억 대를 돌파했다. 이노사이언스는 기존 운영하던 중국 장쑤성 쑤저우 공장에 더해 최근에는 광둥성 주하이에 중국 최초로 완전 8인치 실리콘 GaN 웨이퍼 및 전력 장치를 위한 생산라인을 구축했다. SICC도 홍콩증권거래소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고급 노이즈 억제 기술이 적용된 통합 스핀파 양자 메모리를 개발했다. 양자 메모리 저장 및 검색 문제의 돌파구를 마련함으로써 양자 네트워크 확장을 구현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과학기술대학(USTC) 연구원들은 고급 노이즈 억제 기술을 사용해 통합 스핀파 양자 메모리를 개발에 성공했다. 통합형 스핀파 양자 메모리는 고충실도, 장시간, 주문형 저장을 실현한다. 양자 메모리는 대규모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기존의 통합 양자 메모리 시스템은 저장 시간과 수명을 제한하고, 주문형 검색을 허용하지 않아 양자 정보를 장치에 저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번 연구로 단거리와 장거리 얽힘을 연결할 수 있는 견고한 양자 메모리를 구현해 양자 네트워크를 확장 가능하게 한다. 통합 양자 메모리의 실용화에도 한 발 다가섰다. 다중화 양자 중계기와 고용량, 이동 가능한 양자 메모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연구진들은 장치 시연으로 신뢰성도 입증했다. 연구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두 가지 스핀파 저장 프로토콜인 수정된 무잡음 광자 에코(NLPE)와 원자 주파수 빗(AFC)을 구현했다. 동일한 조건에서 NLPE 프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국유기업들이 고부가가치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12인치 웨이퍼 생산라인 가동을 시작했다. 12인치 웨이퍼 제조로 중국의 반도체 자립(국산화율)이 구체화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CR마이크로(화룬마이크로전자) 자회사 룬펑(潤鵬)반도체와 톈청(天成) 선진반도체, 옌둥반도체(YDME), 광저우 유신(粵芯)반도체, 화홍(華虹) 반도체 등 5개 반도체 업체가 12인치 웨이퍼 생산에 돌입했다. 룬펑반도체는 지난해 말 12인치 웨이퍼 생산 라인 개장 기념식을 갖고,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공장은 최대 용량으로 가동하면 연간 48만개의 12인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톈청선진반도체도 지난달 30일 12인치 웨이퍼 레벨 TSV(Through Silicon Via) 생산 라인의 공식 시운전에 돌입했다. 이 공장의 제조시설은 개장 한 달 전에 완공됐다. TSV(Through-Silicon Via) 기술은 반도체 칩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급 패키징 기술이다. TSV 공법으로 반도체칩의 고용량, 저전력 소모, 고밀도를 제공한다. 삼성전자가 제5세대 D램인 DDR5, SK 하이닉스가 HBM을 만들 때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화웨이가 세계 최초 트리폴드(3단 접이식) 스마트폰 메이트XT의 후속 모델을 개발 중이다. 화웨이는 메이트XT의 디자인을 변경하기보다는 사양 업그레이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7일 중국 IT팁스터 '픽스 포커스 디지털(定焦数码)'에 따르면 화웨이는 메이트XTs를 개발중이다. 메이트XTs는 기존 메이트XT의 디자인이 유지되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기린 9020으로 업그레이드 된 모델이다. 기린 9020은 메이트XT에 탑재된 기린9010의 다음 세대 모델이다. 기린9020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부문에서 성능이 업그레이드 됐다. 기린9020은 기존 모델과 같이 옥타코어(8코어) AP로 자체 설계 아키텍처 코어인 타이샨(Taishan)의 최신 모델이 탑재됐다. 특히 리틀코어의 경우 기린9010에선 ARM 코어텍스-A510이 탑재됐지만 기린9020에서는 타이샨 리틀코어가 장착됐다. GPU도 자체 개발한 마량 910에서 920 모델로 업그레이드 됐다. 기린 9020은 중국 최대 파운드리 기업 SMIC 7나노미터(nm)공정에서 생산되며 현재는 메이트 70 시리즈, 메이트 X6 등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정부가 데이터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데이터 산업을 디지털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 지원을 이어나간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改委, 발개위)를 비롯한 6개 중앙 부처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데이터 산업 고수준 발전에 관한 지도 의견'을 발표했다. 지도 의견에는 데이터 수집, 저장, 유통, 활용, 보안, 인프라 구축 등 데이터 산업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이 담겼다. 중국 정부는 이번 지도 의견을 통해 2029년까지 데이터 산업 규모 연평균 15% 이상 성장, 데이터 혁신력 세계 최고 수준 도달 등을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산업 클러스터 조성 △산업망 구축 △관련 기업 육성 △핵심 기술력 제고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 △데이터 규범적 유통과 거래 촉진 △데이터 안보 강화 △관련 제도 표준체계 구축 △인재 육성 △재정금융 지원 강화 등의 조치에 나선다. 중국 정부는 지도의견을 통해 "데이터 산업 발전은 디지털 경제를 구축하는 중요한 이니셔티브"라며 "국가 빅데이터 전략을 추진하고 디지털 중국 건설을 가속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연말연시 고객몰이를 위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판매 목표 초과 달성에 따른 감사 이벤트 성격도 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BYD는 오는 26일까지 친(秦) PLUS EV 룽야오 버전 모델과 송(宋) Pro DM-i 모델 2개 차종에 대해 1만 위안을 할인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프로모션이다. 이번 할인을 적용한 이들 모델의 가격은 9만9800위안이다. 여기에 5000위안의 보험금 지원과 정부의 전기차 교체 보조금 지원(친 최대 2만5000 위안, 송 최대 2만4000 위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BYD는 이번 할인을 토대로 고객몰이에 나선다. 전기차 브랜드 경쟁이 지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맞춤형 전략을 선보일 계획이다. BYD는 올해 판매 목표를 425만 대로 잡았다. 이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해 연간 판매 목표는 360만 대였다. 아직 공식 집계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BYD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370만여 대를 판매했다는 점에서 기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한편 BYD는 중국의 대표 전기차 제조업체로, 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소유의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중국에서 인력 감축을 단행했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차이나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몸집 줄이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디지타임스 등 중화권 매체에 따르면 ARM 중국법인 'ARM 차이나'는 지난달 중앙처리장치(CPU) 관련 부서 직원 약 30~40명을 해고했다. 지난 2023년 12월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한지 1년여 만이다. ARM 차이나는 해고된 직원들에 N+3 보상안과 퇴사 후 올해 2월까지 사회보험을 제공한다. N+3 보상안은 직원 근속 연수에 따른 월 급여에 추가 3개월 급여를 합쳐서 퇴직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사회보험은 건강보험, 연금보험 등을 뜻한다. ARM 차이나의 인력 구조조정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23년 2월 약 100명을, 같은해 12월에는 약 70명을 해고했다. 중국 시장에 특화된 시스템온칩(SoC), 고성능컴퓨팅(HPC) 칩 등을 연구개발(R&D)하는 연구원들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이 해고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 고객 지원팀 직원도 해고돼 조직 규모를 대폭 축소했다. ARM 차이나는 2002년 A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두 기업 수장이 전격 회동했다. 합작사 설립 논의가 속도를 낼 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립부탄 인텔 CEO와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TSMC 연례 기술 컨퍼런스에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립부탄 CEO는 24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TSMC는 우리의 아주 좋은 파트너로 설립자인 모리스 창과 웨이저자 CEO는 나의 오랜 친구"라며 "최근 만남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모색했고 서로에게 도움일 될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초 양사 간 합작사를 설립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받았다. 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 임원이 최근 합작 투자사 설립을 위한 예비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인텔과 미국 반도체 기업이 합작사에 대한 대부분 지분을 보유하고, TSMC는 20%만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웨이저자 회장은 지난 17일 실적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합작회사, 기술 라이선스, 기술 이전·공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파나소닉 에너지가 미국 전기 상용차 스타트업 '하빈저 모터스(Harbinger Motors, 이하 하빈저)'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테슬라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해온 파나소닉은 하빈저의 트럭과 밴에도 공급해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 계열사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중형 전기차용 공식 배터리 셀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파나소닉 에너지는 하빈저의 모든 모델에 최신 217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한다. 지름 21㎜, 높이 70㎜인 원통형 2170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배터리 생산 능력을 현재 10% 가량 향상시킨다. 이로써 생산비용이 감소되고, 배터리 가격이 낮아진다.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3와 모델 Y에도 파나소닉의 2170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공급할 2170 배터리 셀은 업계 최고 수준인 800Wh/L(리터당 와트시)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며, 트럭의 에너지 솔루션을 보장한다. 파나소닉 에너지가 일본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을 하빈저에 공급하면 하빈저의 독점 배터리 시스템에 통합돼 미국산 중형 전기차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파나소닉 에너지의 배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