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네바다주에 위치한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설치된 테슬라 에너지저장장치 '메가팩'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큰 피해는 없었지만 화재는 다음날까지 이어지며 피해를 키웠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Green Technology Metals, 이하 GTM)가 에코프로 리튬 소재 자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과 정식 계약 체결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성공적인 샘플 테스트로 온타리오주 광산의 잠재력을 확인하며 곧 서명할 것으로 예상했다. 온타리오주 썬더베이(Thunder Bay)에서 생산한 북미산 리튬을 공급하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도모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실라(Sila)'가 미국산 자동차용 실리콘 음극재 양산 체제를 본격화한다. 중국산 흑연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내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와 차세대 배터리 기술 자립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리튬 전문기업 하이드로리튬이 미국 네바다 리튬 리소시스(Nevada Lithium Resources)에 리튬 화합물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을 제공하기로 했다. 네바다 리튬은 25일 "하이드로리튬과 네바다주 보니 클레어 리튬·붕소 개발 사업에 리튬 추출 기술을 제공하는 내용의 구속력 없는 의향서(LOI)를 맺었다"고 밝혔다. 내년 9월까지 최종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를 시작으로 다른 북미 지역 사업장으로 협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스티븐 렌츨러 네바다 리튬 최고경영자(CEO)는 "양사의 협력은 한국과 미국의 관계 강화를 상징한다"며 "네바다 리튬 광산 개발 사업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네바다 리튬이 개발 중인 보니 클레어 사업은 앞으로 약 60년간 연간 6만2300톤의 탄산리튬과 12만9500톤의 붕산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8월 예비 경제성 평가를 완료했다. 하이드로리튬 대표인 전웅 박사가 개발한 리튬 추출 기술은, 환경에 유해한 유기용매 또는 다량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리튬 화합물에서 리튬을 높은 회수율로 추출해 고순도 탄산 리튬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2023년 7월 미국에서 관련 특허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호주 광물 회사 '앤슨리소스(Anson Resources)'로부터 미국산 리튬을 조달한다. 미국 내 안정적인 리튬 공급망을 구축,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 안정성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앤슨리소스(Anson Resources)는 23일(현지시간) 자회사 'A1 리튬'과 LG에너지솔루션 간의 확정 오프테이크(장기구매계약)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앤슨리소스가 미국 유타주 파라독스 바신(Paradox Basin)에서 생산하는 배터리 등급 탄산리튬을 오는 2028년부터 연간 4000톤(t)씩, 최장 10년간 총 4만t까지 공급받게 된다. 계약은 5년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 시 5년 연장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가격은 배터리급 탄산리튬 시장가를 반영한 공식(formula-based) 방식으로 책정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작년 앤슨리소스와 같은 규모의 텀시트(계약이행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은 이를 최종 확정하고 법적 구속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공급 개시는 기존 2027년에서 1년 늦춰진 2028년으로 조정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확보한 리튬을 북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사모펀드 리버스톤 홀딩스(Riverstone Holdings)가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솔리드파워(Solid Power)의 주식을 모두 처분했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LS일렉트릭이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전력 산업 전시회에 참가해 에너지 전환 솔루션을 선보이며 현지 고객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베트남 생산 법인의 역량을 대폭 키우며 아세안 지역의 급증하는 전력 인프라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23일 LS일렉트릭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EPI 2025' 전시회에 참가해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전환과 전력망 현대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중전압 파워 스테이션(MV Power Stations) △저전압 배전반(LV Switchboards) △BeyondX™ SCADA & AMS를 포함한 에너지 최적화 솔루션이 현지 전력 인프라 현대화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았다. 이와 함께 베트남 법인의 생산 물량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400대에 불과했던 베트남 법인의 배터리 컨트롤 패널(BCP) 생산량은 올해 1300~1500대로 약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생산 역량 강화에 힘입어 베트남 법인의 매출은 지난 2022년 상반기 457억 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672억
[더구루=오소영 기자] 싱가포르 '그린라이온(Green Li-ion Pte. Ltd)'이 에코프로 자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에 재활용 원재료 공급을 추진한다. 샘플을 제공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순환 소재의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수요를 공략하고 고객사를 확보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광물 기업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 이하 일렉트라)'가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포스코퓨처엠 공급망을 뚫는다. 캐나다 퀘벡 정제소에서 생산한 북미산 황산코발트 공급을 모색한다.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수익성을 강화하고자 포스코퓨처엠에 협력을 구애하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아르헨티나 리튬 삼각지대의 '옴브레 무에르토 노르테 리튬 프로젝트(Hombre Muerto North Lithium Project, 이하 HMN 프로젝트)' 실사를 사실상 마무리하고, 최종 계약 협상 단계에 돌입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포스코는 기존 자원과 연계한 생산 효율화와 안정적 글로벌 배터리 원료 공급망 구축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캐나다 '리튬 사우스 디벨롭먼트 코퍼레이션(Lithium South Development Corporation, 이하 리튬사우스)'은 22일(현지시간) 포스코 아르헨티나법인의 실사가 대부분 완료됐으며 소규모 잔여 사항 점검 후 양측이 최종 계약(Definitive Agreement) 협상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계약 체결 후에는 연례 및 특별 주주총회 일정과 발행 주식 전량 인수를 위한 발행자 매입(issuer bid) 관련 정보도 제공될 예정이다. 포스코는 지난 7월 리튬사우스에 최대 6200만 달러 규모 HMN 프로젝트 인수를 제안하며 비구속적 조건부 계약(LOI)을 체결했다. LOI에는 7월 30일부터 9월 28일까지 약 60일간의 실사(due diligence) 기간과 이
[더구루=김예지 기자] OCI에너지가 미국 텍사스에서 추진 중인 대형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프로젝트의 건설 자금 조달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텍사스 전력망 안정화와 지역 에너지 수요 대응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미국 내 에너지 전환 가속화의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23일 OCI에너지에 따르면 텍사스 베어 카운티(Bexar County)에 건설 예정인 ‘알라모 시티 프로젝트(Project Alamo City)’의 건설 자금 조달 계약을 체결했다. 이 프로젝트는 120MW 용량과 4시간 저장 기준으로 480MWh 규모의 독립형 배터리 저장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오는 2027년 3분기 상업운전(COD)이 목표다. OCI에너지가 텍사스 지역에 보유한 총 6GW 규모, 29개 파이프라인 중 하나다. OCI에너지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소유·운영(Developer-Owner-Operator) 모델로 복귀했다. 이미 미국 최대 공영 전력 유틸리티인 CPS에너지와 20년 장기 저장 용량 계약(Storage Capacity Agreement)을 체결한 상태로, 계약에 따라 프로젝트의 개발, 자금 조달, 건설 및 소유는 OCI에너지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공개하며 에너지 저장 분야 경쟁을 가속화한다. 에너지 저장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BYD는 세계 최대 용량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해 빠르게 진화하는 유틸리티 규모 저장 시장의 기준을 높였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 공정 가격을 내년부터 최대 10%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과 미세 공정 병목이 맞물려 공급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이번 인상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전반의 가격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