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앵그리버드 VR 등을 개발한 리솔루션게임즈(Resolution Games)가 스웨덴의 B2B 서비스 중점 게임 스튜디오·컨설팅 업체인 '제로인덱스(Zero Index)'를 인수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리솔루션게임즈는 제로인덱스를 인수했다. 제로인덱스는 이름을 리솔루션 테크로 변경하며 공동창립자인 토마스 알스트롬(Tomas Ahlström)이 스튜디오 매니저 역할을 맡아 이후에도 업무를 총괄한다. 리솔루션게임즈는 앵그리버드 VR: 아일 오브 피그, 쿡-아웃: 어 샌드위치 테일 등 다양한 VR 게임을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업체다. 제로인덱스는 B2B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게임 스튜디오로 개발사와 하드웨어 업체를 연결해, 게임이 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업체다. 리솔루션게임즈와 제로인덱스는 올해 초 칼리 앤 더 리퍼맨의 오큘러스 퀘스트 출시에 협업한 바 있다. 리솔루션게임즈가 제로인덱스를 인수한 것은 향후 XR(AR과 VR) 게임 라인업이 다양화되면서 출시해야하는 플랫폼도 다양해지고 이를 전담할 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리솔루션게임즈는 제로인덱스 인수로 자체적인 퍼블리싱 능력도 확보하게 된 셈이다. 리솔루션게임즈 관계자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영국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이 발사 실패한 위성 잔해 제거에 나선다. 이를 위해 우주 쓰레기 청소업체와 손을 잡고 탈궤도 위성을 수거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원웹은 지난해 소프트웨어 문제로 저궤도 안착에 실패한 위성 잔해 제거 서비스를 시도한다. 크리스 맥로린(Chris Mclaughlin) 원웹 규제·참여 책임자는 "기술이 안전할 때 궤도 이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잠재적인 공급업체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원웹의 위성 발사 실패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제출된 원웹 재무보고서를 통해 공개됐다. 원웹은 11번의 발사를 통해 1200km에 358개 위성을 배치했으며, 이중 단 하나의 위성이 손실됐다. 실패 위성은 지난해 2월 6일 러시아 소유즈 로켓을 타고 카자흐스탄에서 발사된 34기 위성 중 하나이다. 맥로린은 "원웹의 SL41 위성 실패가 궤도 상승 직전 발생한 소프트웨어 문제"라며 "소프트웨어 문제는 통신사의 성장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위성들에 대해 고쳐졌다"고 말했다. 원웹의 위성 잔해 제거는 올 초부터 본격화됐다. 원웹은 유럽우주국(ESA)의 선라이즈(Sunrise) 프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텔이 모바일용 12세대 코어 프로세서의 공식 출시에 앞서 고객사에 배송을 시작했다. 인텔의 새로운 칩을 탑재한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신제품이 쏟아질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그레고리 브라이언트(Gregory Bryant) 인텔 수석 부사장 겸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총괄은 트위터에서 "또 다른 놀라운 12세대 인텔 코어의 이정표에 도달했다"며 "우리는 오늘 고성능 모바일 프로세서를 고객에게 배송하기 시작했다"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삼성전자, 델, 에이서 등 OEM 파트너사들은 인텔 CPU를 자사 노트북 설계에 최적화한 뒤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인텔의 12세대 모바일 CPU(중앙처리장치)는 코드명 '엘더레이크(Alder Lake)-P'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스펙과 성능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유출된 벤치마크에 따르면 엘더레이크-P는 최대 4.6GHz 터보 성능과 최대 14개의 코어·20개의 스레드를 갖췄다. 로우엔드 SKU는 고성능 퍼포먼스 코어(P-코어)와 고효율 에피션트 코어(E-코어)를 각각 2개와 8를 결합했다. 하이엔드 SKU는 P-코어 6개, E-코어 8개를 통합했다. 한편 인텔은 지난달 12세대 데
[더구루=홍성일 기자] 클래시로얄, 브룰스타즈 등을 개발한 글로벌 모바일 게임 개발사 슈퍼셀이 모바일 게임 제작·리믹스 플랫폼 자회사인 하이프하이프(HypeHype)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프하이프는 슈퍼셀로부터 1300만 유로(약 173억원)를 투자받았다. 하이프하이프는 배드랜드 등을 개발했던 프로그마인드의 새로운 이름이다. 하이프하이프는 모바일 게임 리믹스라는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해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게임을 유저가 새롭게 구성해 다른 게임을 만들어내는 일종의 모바일 모드(mod)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이프하이프는 코드를 변경하는 등의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게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했으며 다양한 도구를 통해 기존 게임에는 없는 부분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스트리밍 기능을 강화하는 등 게임 외적인 요소들도 강화했다. 하이프하이프는 올 봄 필리핀에서 데모버전을 출시했으며 이미 13만 2000개 이상의 게임이 제작됐다. 현재 애플 앱스토어에서 하이프하이프는 별 5개 만점에 4.6점을 받고 있다. 슈퍼셀 관계자는 "하이프하이프의 대담하고 야심찬 비전이 게임을 만들고 플레이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것으로 보게돼 기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1S' 배송을 4개월 이상 늦췄다. 전기 픽업트럭 R1T에 이어 R1S도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R1S 런치 에디션을 사전 주문한 고객들에게 배송 지연을 알리는 메일을 보냈다. 당초 내달 생산에 들어가 내년 1월 인도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첫 번째 배송은 내년 5~6월로 미뤄졌다. 이는 그나마 가장 빠른 일정이다. 올해 3월 예약한 고객은 내년 6~7월에야 차량을 받게 됐다. 내년 7~9월 배송된다고 통보받은 고객도 있었다. 배송 일정이 줄줄이 지연되며 일부 고객들은 주문을 취소했다. 리비안 차주 커뮤니티인 '리비안 오너스 포럼'(RivianOwnersForum)에는 기다리는 데 지쳤다며 불만을 표출하는 글들이 올라왔다. 리비안은 R1S의 생산 일정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배송 연기를 고려할 때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 해를 넘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R1S와 R1T는 5만대 넘게 사전 예약이 이뤄졌다. 높은 호응을 얻고 있지만 생산 속도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리비안은 지난 9월 R1T를 출시한 후 하루 2대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그룹과 네이버가 투자한 인도네시아 핀테크 기업 핀액셀((FinAccel)이 내년 초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공식화했다. 인디나 안다마리 핀액셀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부사장은 24일(현지시간) 현지에서 열린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내년 초를 목표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한 미국 증권거래소 상장을 차질 없이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핀액셀은 인도네시아 최대 온라인 신용대출 서비스 '크레디보(Kredivo)'와 P2P(개인간) 대출 서비스 '크레디패즈(KrediFazz)'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미래에셋증권과 네이버가 공동 출자한 '미래에셋-네이버 아시아그로스펀드'를 통해 지난 2019년 이 회사에 투자한 바 있다. 핀액셀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VPC임팩트애퀴지션(VPC Impact Acquisition Holdings II)과 합병을 추진 중이다. 양사는 IPO를 통해 4억3000만 달러(약 510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합병기업의 가치는 25억 달러(약 2조9700억원)로 예상된다. <본보 2021년 10월 2일자 참고 : '미래에셋·네이버 투자' 핀액셀, 美증시 상장 앞두고 1500억
[더구루=윤진웅 기자] 법무법인 '율촌'이 대한민국 로펌 중 유일하게 아시아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30대 로펌에 이름을 올렸다. 24일 ALB와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 법률전문 매체 'ALB'(Asian Legal Business)는 최근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30대 로펌(Asia's Fastest Growing Firms 'FAST 30')을 선정했다. 국내 로펌 중에서는 유일하게 율촌이 선정됐다. 싱가포르와 인도, 홍콩,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유명 로펌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ABL은 "율촌 특유의 팀플레이 업무 방식과 적극적인 해외 진출 등을 높게 평가했다"고 전했다. 율촌은 지난 1997년 설립 이후 별도 인수합병 없이 지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로펌이다. △회사법 △금융 △공정거래 등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에 사무소를 운영하며 해외 로펌과의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글로벌 로펌으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 마련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조세 분야 소송에서 명성을 떨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율촌과 함께 △AEI Legal(싱가포르) △Antares L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 르노가 호주 '벌칸에너지(Vulcan Energy)'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추가 구매했다. 공급량도 앞선 계약의 두 배 수준으로 늘리는 등 원재료 확보에 사활을 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벌칸에너지는 르노와 배터리 등급 수산화리튬 공급을 위한 두 번째 계약을 맺었다고 지난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르노는 상업 생산이 시작되는 오는 2026년부터 6년 간 연간 2만6000~3만2000t의 리튬을 수급한다. 르노와 벌칸에너지는 지난 8월 연간 6000~1만7000t의 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3개월 만에 추가 거래를 단행하며 계약 기간도 1년 늘렸다. <본보 2021년 8월 3일 참고 르노, 호주 벌칸에너지서 리튬 수급> 벌칸 에너지는 독일 남서부 라인강에서 지열발전소로 이용한 리튬 추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깊은 암석층에 뜨거운 물을 넣어 리튬을 용해하는 저공해 방식을 활용해 주목을 받고 있다. 2024년 생산을 목표로 17억 유로(약 2조3210억원)를 투자했다. 내년 중순 초기 단계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르노 외에 LG에너지솔루션, 유미코아, 스텔란티스 등에도 공급한다. 리튬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3㎚(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에서 AMD나 퀄컴의 주문을 획득할 것으로 보이며 선두 지위를 노리는 가운데 '파운드리 1위' TSMC의 변함없는 자신감이 현지에서 주목받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대만 IT매체 마이드라이버스(MyDrivers) 등에 따르면 웨이저자(魏哲家) TSMC 총재는 지난달 3분기 실적발표회에서 "3나노 제품군은 (TSMC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장기적으로 쓰이는 공정이 될 것"이라며 "고성능 컴퓨팅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완벽한 플랫폼도 개발했다"고 밝혔다. 웨이저자 총재의 발언은 삼성전자가 3나노에서 퀄컴 또는 AMD를 첫 고객사로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나온 후 현지 언론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3나노 공정에서도 파운드리 업계 선두 지위를 지킬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해석된다. TSMC는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양산 타이틀'을 삼성에 빼앗겼다. TSMC는 7월부터 양산 예정인 인텔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에 3나노 공정을 최초로 적용하기로 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내년 상반기 3나노 반도체를 양산한다. 고객사들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TSMC의 파트너였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전자기업 소니가 반도체 칩 부족으로 일부 보급형 미러리스 카메라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소니는 a7 Ⅱ, a6100, a6400 등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소니가 해당 모델들의 생산을 중단한 것은 올해 내내 전 산업계를 어려움에 빠뜨린 반도체 부족 문제 때문이다. 이에 소니는 공급이 타이트한 모델을 선정 판매와 생산을 중단하게 된 것으로 추후 판매 재개 문제는 부품 공급현황 등을 관찰한 수 별도 안내를 진행하기로 했다. 문제는 반도체 칩셋 외에도 전원 공급 장치 등 기타 구성 요소 가운데서도 부족 징후를 보이는 부품들이 있어 전자 제품 기업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반도체 칩셋 부족 문제는 코로나19로 인한 공장의 폐쇄, 수요 급증 등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카메라는 물론 컴퓨터, 자동차 등 중요 사업 전반에 걸쳐 반도체가 부족해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소니 관계자는 "고객들께 불편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빠른 시일 내에 제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형 법무법인 4곳이 아시아 법률전문 매체 'ALB'(Asian Legal Business) 선정 아시아 50대 로펌에 이름을 올렸다. 주인공은 △김앤장(Kim&Chang) △광장(Lee&Ko) △세종(Shin&Kim) △태평양(BaeKim&Lee) 등이다. 24일 ALB와 업계에 따르면 ALB는 최근 아시아 50대 로펌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 로펌을 대상으로 △파트너 수 △소속 변호사 수 등을 종합해 1위부터 50위까지 순위를 매겼다. 국내 로펌 중에서는 △김앤장 △광장 △세종 △태평양이 '톱50'에 이름을 올렸다. 김앤장은 28위로 국내 로펌 가운데 순위가 가장 높았다. 이어 광장과 세종, 태평양은 각각 37위와 47위, 49위를 차지했다. 법조계 관계자는 "이들 법무법인은 국내 로펌을 대표하고 있다"며 "이번 선정 결과로 이들 로펌의 아시아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상위권은 중국 로펌이 휩쓸었다. 1위부터 27위까지 공백 없이 차지하는 등 총 38곳 중국 로펌이 순위권에 진입했다. 나머지는 인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구마모토현이 대만 TSMC의 신공장 건설을 지원할 전담 조직을 꾸렸다. 반도체 인재 육성과 교통망 구축을 약속하고 전방위적인 지원 의지를 내비치며 TSMC의 투자에 탄력이 붙게 됐다. 아사히신문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TSMC의 투자를 지원하는 구마모토현 내 추진 본부가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가졌다. 가바시마 이쿠오 구마모토현 지사가 해당 본부를 이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재 부족과 교통 인프라가 핵심 의제로 올랐다. 구마모토현은 작년 3월 현내에 고등학교 졸업생 가운데 다른 지역 기업에 취직한 비중이 38%로 전체 광역자치단체에서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 본부는 현내 기업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구마모토현 현립 기술단기대학교의 학과 재편과 새 커리큘럼 도입을 통해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고 TSMC의 수요에 대응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통 인프라와 관련해서는 고가도로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남북 간선도로가 적어 통근 시간에 혼잡이 잦은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가바시마 지사는 "모든 청이 하나가 돼 국가적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하자고"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TSMC의 구마모토현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
[더구루=홍성환 기자] 엔비디아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AI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미국 뉴저지주(州) 데이터센터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회사 뉴마크에 따르면 코어위브는 미국 뉴저지주 케닐워스 지역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NEST) 내 데이터센터 개발 부지를 3억2200만 달러(약 4500억원)에 매입했다. 코어위브는 이 부지에 12억 달러(약 1조6700억원)를 투자해 전체면적 약 2만6000㎡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는 미국 부동산 투자사 오닉스 에쿼티스와 머신 인베스트먼트 그룹이 머크 본사를 인수해 개발한 과학기술 단지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임대하는 사업을 한다. 이 회사는 2017년 암호화폐 채굴 회사로 출발 후 2019년 AI 학습·추론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전환했다. 코어위브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라는 점에서 아마존의 웹서비스 AM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하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IBM 등을 고객사로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