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선그로우가 이탈리아 시칠리아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참여한다. 현지 에너지 기업과 ESS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현지 거점을 적극 활용하며 유럽 시장에서 수주를 확대한다. 6일 선그로우에 따르면 EP 프로두치오네(EP Produzione)와 '파워타이탄 2.0(PowerTitan 2.0)'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파이타이탄 2.0은 이탈리아 시칠리아 트라파니에 지어질 100MW/220MWh 규모 ESS 사업에 쓰인다. 총 44개가 설치되며 효율성과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다. 파워타이탄 2.0은 수냉식 ESS로 이전 모델(2.7MWh)과 비교해 높은 용량(5MWh)을 제공한다. 최대 2시간 동안 화재를 견딜 수 있는 내화격벽을 갖췄고 가스 화재 진압 시스템을 탑재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화재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주파수 조정과 피크 부하 제어 등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고급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전 조립을 통해 현장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했다. 마시모 브라키(Massimo Bracchi) 선그로우 이탈리아 사업 담당자는 "파워타이탄 2.0은 전력망 신뢰성과 대규모 재생에너지 통합을 가능케 하는 최신 세대
[더구루=정예린 기자] 핀란드 '바르질라(Wärtsilä)'가 자사 독자 개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안전 제어 장치 'AIMS(Active Ignition Mitigation System)'의 대규모 폭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번 테스트를 통해 BESS 통합 폭발 제어 시스템의 실제 효과를 입증, 향후 시스템 안전성 향상과 업계 신뢰도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6일 바르질라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7월 미국에서 자사 컨테이너형 BESS인 퀀텀2(Quantum2)를 대상으로 3건의 전체 시스템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동안 AIMS 장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와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며 퀀텀2 시스템을 무손상 상태로 유지했다. 각 테스트는 배터리 셀 열 폭주 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가연성 가스를 케이스 내부 여러 위치에 2분 동안 방출하며 진행됐다. 바르질라는 테스트 과정에서 시각, 온도, 정·동압력, UV/IR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를 향후 안전성 연구와 에너지 저장 혁신에 활용할 계획이다. AIMS는 비정상적인 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연성 가스를 예방하고, 이를 안전하게 점화·제어하는 통합 시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테스볼트(Tesvolt)의 해양 부문 자회사 테스볼트 오션(Tesvolt Ocean)이 선박용 배터리 시스템에 대해 국제 인증기관의 승인을 획득했다. 친환경 선박 추진 시장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입증, 해양 전기화 사업 확대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6일 테스볼트에 따르면 테스볼트 오션은 최근 국제 인증기관 RINA로부터 내륙 및 해상 운송용 '캡틴 컴퍼스 코어(Kaptein Compass Core)' 배터리 시스템의 선박용 타입 승인을 받았다. 모든 필수 기능과 응력 테스트를 통과하며 안전성과 견고성을 입증했으며, RINA 승인을 통해 국제 해양 안전 기준을 충족함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캡틴 컴퍼스 코어'는 1kWh당 5.9kg로 가볍고, 4C 속도의 충·방전 성능을 제공한다. 제한된 선박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모듈형 설계를 적용해 빠른 충전과 고출력 성능으로 기존 선박용 배터리보다 효율성이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배터리 모듈은 어느 각도에서도 설치할 수 있으며, 공기 냉각만으로 운용 가능해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테스볼트 오션은 독일 루베크(Lübeck)에 본사를 둔 해양용 배터리 전문 기업이다. 테스볼트의 해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한화큐셀)이 이탈리아에서 브랜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유통사를 통해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이탈리아에 최적화된 상업·주거용 태양광 포트폴리오를 알렸다. 5일 이탈리아 태양광 설비 유통사인 에네르기아 이탈리아(Energia Italia)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에너지 웨비나'를 열고 한화큐셀의 상업·주거용 태양광 솔루션을 홍보했다. 태양광 모듈인 '큐트론(Q.TRON)'과 주거용 통합 에너지 솔루션이 '큐홈(Q.HOME)'을 비롯해 한화큐셀의 포트폴리오를 소개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2004년 설립된 에너르기아 이탈리아는 태양광 설비 공급에 집중한 회사다. 한화큐셀과 중국 JA솔라·트리나솔라·화웨이·TCL솔라 등 다양한 기업들의 제품을 취급하며 명성을 쌓았다. 한화큐셀은 에네르기아 이탈리아의 네트워크에 힘입어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고 이탈리아 시장을 공략한다. 이탈리아는 지난 2017년부터 석탄발전을 퇴출시키며 에너지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한 국가 중 하나다.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태양광 보급에도 적극적이다. 올해 1~7월 신규 태양광 시스템 13만2276개가 연결돼 발전용량 3354㎿가 추가됐다. 전력망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롱판테크놀로지(로팔테크·중국명 龙蟠科技) 자회사로부터 대규모 양극재를 조달한다.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을 구축한 CATL은 해외 공장의 생산 효율과 장기 수요 대응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미국 유명 경영대학원이 주최한 에너지 행사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 청사진을 그렸다. 지난달 북미에서 첫 대형 수주를 올려 ESS 시장에 본격 가세하면서 추가 수주를 위한 영업과 네트워킹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2일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USC) 마셜 경영대학원에 따르면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열린 '에너지 비즈니스 서밋'에서 '에너지 저장과 재생에너지'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 배터리 시장의 성장잠재력을 공유하고 SK온의 ESS 사업 로드맵을 소개했다. 이번 서밋은 미 상위 15대 경영대학원 중 하나인 USC 마샬 경영대학원이 주최했다. 에너지 정책과 신기술, 주요 현안에 대한 통찰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행사에서는 원전과 탄화수소, 인공지능(AI)을 비롯해 다양한 주제로 토론 자리가 마련됐다. 구글과 뉴스케일파워, 오라 미네랄 등 글로벌 기업 인사들이 참석했다 최 실장은 미국 에너지 서밋에서 SK온의 비전을 알리고 업계 인사들과 교류했다. ESS를 새 성장동력으로 키우는 SK온이 미국 내 입지 확대를 위해 물밑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 분위기다. SK온은 전기차
[더구루=정예린 기자] KCC가 인수한 미국 실리콘 제조업체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이하 모멘티브)’가 기업 인사를 책임지는 수장을 교체했다. 글로벌 인재 전략과 조직 문화 혁신을 통해 실리콘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KCC와의 시너지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일 모멘티브에 따르면 모멘티브는 최근 리카르도 프라브다(Ricardo Pravda)를 최고인사책임자(CHRO)로 선임했다. 신임 CHRO는 글로벌 HR 전략과 직원 참여, 인재 육성, 보상 전략, 변화 관리, 조직 설계, 승계 계획 등 핵심 HR 과제를 총괄한다. 회사 측은 프라브다 CHRO의 합류가 모멘티브의 조직 문화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HR 전략과 인재 육성, 보상 체계 개선 등 핵심 과제를 주도하며, 직원 참여를 높이고 고성과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프라브다 CHRO는 25년 이상의 글로벌 HR 경험을 가진 전문가다. 모멘티브에 합류하기 전 히크마 파마슈티컬스(Hikma Pharmaceuticals)에서 북미 HR을 총괄하며, 제약·소비재·
[더구루=정예린 기자] 고려아연의 호주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가 현지 대규모 태양광·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BESS)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설계·조달·시공(EPC) 업체 '일렉노르(Elecnor)'와 손을 잡았다. 초기 단계부터 설계·인허가·시공 계획 등을 체계적으로 검증, 프로젝트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고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일 아크에너지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북동부 뉴사우스웨일즈에서 추진 중인 '리치몬드 밸리 솔라 & BESS(Richmond Valley Solar & BESS)' 프로젝트 초기 공사를 위해 일렉노르 호주법인과 초기 계약자 참여(ECI, Early Contractor Involvement) 계약을 체결했다. 아크에너지는 ECI 단계에서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후속 EPC 계약 시 공사 계획과 비용, 일정 등을 최적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일렉노르는 △초기 설계 △부지 조사 △태양광 발전소 상세 엔지니어링 설계 △구조 인증 △관리 계획 수립 △인허가 지원 등 초기 공사와 기술 지원을 담당한다. 아크에너지는 프로젝트 개발 주체로서 전체 기획과 일정,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차전지 소재 전해액 생산기업 엔켐이 미국 테네시 공장 건설을 철회했다. 북미 전기차 시장의 성장성 둔화로 주요 고객의 수요 변화가 감지된 탓이다. 북미에서 투자 효율화를 꾀하고 배터리 고객사의 급변하는 기술에 대응하며 돌파구를 마련한다. 1일 폭스13과 멤피스비즈니스 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엔켐 미국법인은 테네시 전해액 공장 건설 계획을 취소했다. 지난 2023년 6월 투자 계획을 발표한 후 약 2년 만에 내린 결정이다. 엔켐은 브라운즈빌 'I-40 어드밴티지 산업단지'에 1억5250만 달러(약 2000억원)를 투자한다는 계획하에 전해액 공장 구축을 추진해왔다. 일자리 190개를 창출하며 지역 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본보 2023년 6월 27일 참고 [단독] 'IRA 수혜' 엔켐, 美 테네시에 '2000억' 투자...전해액 新공장 설립> 엔켐의 투자 철회는 북미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행보다. 전기차 케즘이 장기화되며 고객사의 투자 전략은 수정됐다. SK온과 포드의 합작사인 '블루오벌SK'는 연내로 예정된 테네시 공장의 상업가동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SK온은 지난 2월 "시장 상황
[더구루=홍성일 기자]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글로벌 소재 전문기업 코닝(Corning)과 손잡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핵심 난제 해결에 나섰다. 이번 협력으로 전고체 배터리의 대량 생산 시대가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의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이하 넥스트스타)가 배터리셀 공장에 대한 사용 승인을 획득했다. 모듈에 이어 셀 생산시설 가동을 목전에 뒀다. 1일 넥스트스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배터리셀 공장 건설을 완료해 사용 승인(Occupancy Permit)을 받았다고 밝혔다.연내 상업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넥스트스타를 이끄는 이훈성 LGESST법인장(상무)는 "이번 성과는 모든 참여자들의 공동 비전, 효과적인 파트너십, 그리고 놀라운 노고의 결과물"이라며 "파트너인 LG에너지솔루션과 스텔란티스, 건설 협력사인 알베리치-바튼 말로우(Alberici-Barton Malow,), 윈저시, 주정부와 연방정부, 그리고 프로젝트가 안전하고 일정에 맞게 완성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류 딜킨스(Drew Dilkens) 윈저 시장은 "윈저는 온타리오와 캐나다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로 넥스트스타는 이 전례 없는 성장의 핵심 요소"라며 "중대한 진전을 가능하게 한 모든 팀에 축하를 보낸다"고 전했다. 넥스트스타는 지난 2022년부터 약 423만 ft²(약 39만㎡) 규모 부지에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물산 상사부문(이하 삼성물산)이 호주에서 대규모 태양광·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입지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에 이어 호주를 차세대 전략 시장으로 점찍고,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글로벌 거점을 다변화하는 행보로 풀이된다. 30일 영국 에너지 전문매체 에너지스토리지(Energy-Storage)에 따르면 삼성물산의 호주 법인 삼성물산 리뉴어블 에너지 오스트레일리아(Samsung C&T Renewable Energy Australia)는 퀸즐랜드주에서 추진 중인 '던모어 태양광 및 ESS 프로젝트'를 호주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EPBC Act)에 따라 정부에 공식 제출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총 3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와 2시간 저장 기준 150MW/300MWh 용량의 배터리 저장 시스템(BESS)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트 대상지는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에서 서쪽으로 약 240km 떨어진 곳이다. 60만 장의 태양광 모듈이 단축형 추적식(Horizontal Single-Axis Tracking) 구조로 설치돼 발전 효율을 극대화한다. ESS 설비는 △인버터 △변
[더구루=김예지 기자] BMW가 전기차(EV) 전환에 발맞춰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와 순환경제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BMW 그룹 호주 법인이 현지 배터리 재활용 선도기업 에코뱃(EcoBatt)과 손잡고 EV 폐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했다. 특히 에코뱃의 시설은 배터리가 기기에 내장된 상태 그대로 파쇄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첨단 기술이 적용돼 주목받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첨단 공정 가격을 내년부터 최대 10% 올릴 것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과 미세 공정 병목이 맞물려 공급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는 가운데, 이번 인상이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업계 전반의 가격 구조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