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교촌치킨이 대만에서 확산일로다. 지난달 대만 2호점올 오픈한 데 이어 한달 만에 3호점을 낸다. 앞서 교촌은 올해 초 대만 시장 진출을 위해 현 외식기업 라카파 인터내셔널 그룹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8월 현지 1호점을 오픈한 바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 3호점이 오는 25일 대만 신콩미츠코시(Shin Kong Mitsukoshi) 백화점 지하 2층 푸드코트에 서 베일을 벗는다. 신콩미츠코시백화점이 위치한 신이 지역은 쇼핑몰·영화관 등 즐길 거리가 많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핵심 상권이다. 또한 인근에 타이베이101 랜드마크 전망대가 자리 잡고 있어 유동 인구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대만 3호점에서는 현지 식문화를 고려해 1인 메뉴를 선보인다. 1인용 자리는 12개에 달한다. 메뉴도 다양화한다. 앞서 1·2호점에서 큰 인기를 끈 '치맥'(교촌 수제맥주 '문베어브루잉'+치킨) 메뉴를 필두로 시그니처 치킨과 사이드 메뉴를 함께 맛볼 수 있는 세트메뉴도 강화해 현지인·관광객 입맛 공략에 나선다. 추후 그랩앤고(Grab&Go) 메뉴와 '교촌 시크릿 볶음면' 2종을 포함한 '치면'(치킨+면) 메뉴도 선보일 방
[더구루=이연춘 기자] 인크커피(INC COFFEE)가 오는 21일 1000평 규모의 복합문화공간인 '다산점'을 오픈한다. 국내 다섯 번 째 매장이다. 다산 현대프리미어캠퍼스몰에 입점하는 인크커피 다산점은 스페셜티 커피, 베이커리, 디시 메뉴 등을 즐길 수 있고 다양한 커피 관련 상품과 굿즈 등을 함께 경험하며 책을 읽을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높은 층고로 개방감을 맛볼 수 있으며, 벽면에 전시된 대형서가와 천장에 설치된 샹드리에, 물멍을 즐길 수 있는 수공간 등 곳곳에는 다양한 포토 스팟이 포진해 있다. 지하 1층에는 커피와 함께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에스프레소 바(Bar)를 마련해 하이엔드 기기로 만드는 에스프레소 메뉴와 디저트를 선보인다. 특히 인크커피 다산점은 가산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직접 로스팅한 양질의 커피를 선보이며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는 독특한 음료와 디저트를 선보인다. 또한 커피와 함께 즐기기 좋은 100여 종의 베이커리와 케이크를 직접 만들어 판매하며 대표 메뉴로는 인크커피 시그니처 론자카파 에스프레소와 오렌지 컬러를 활용한 크로와상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한 끼 식사로 손색이 없는 수플레 팬케익, 브런치 플레이트, 파스
[더구루=이연춘 기자]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올해 오픈한 교촌치킨 대만 1호점과 2호점이 대만 현지의 뜨거운 인기를 얻으며 대만 현지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치킨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다. 교촌은 지난 8월 마스터프랜차이즈(MF) 방식으로 대만 북부에 위치한 신베이시에 1호점을 오픈했다. 1호점에 이어 오픈 석 달 만에 대만 내 핵심 상권으로 꼽히는 타이베이101 타워에 2호점도 열었다. 대만 3호점도 연내 추가 오픈 할 계획이다. 18일 대만 빅데이터 분석기업 키포(keypo)에 따르면, 교촌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K-푸드에 대한 소비자의 검색량을 분석한 'K-푸드 인지도 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다. 키포는 교촌이 '치맥'과 '치면' 등 다양한 한국의 식문화를 알리며 K-푸드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만은 특히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곳으로 유명하다. 현재도 여전히 한류의 영향으로 치킨, 떡볶이, 김치 등 한국 음식이 현지인 사이에서 관심도가 높은 가운데, 한국식 치킨이 단연 인기 메뉴 1위로 자리잡고 있다. 교촌은 현지 특성을 반영해 교촌의 대표 메뉴는 물론, 현지 입맛을 고려한 세트메뉴 등 다양한 현지화 메뉴도 함께 선보
[더구루=김형수 기자] 토종 피자 브랜드 피자마루가 캐나다 앨버타주에 6호점을 출점하는 등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피자마루는 오는 22일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로얄비스타(Royal Vista)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캘거리는 지난해 기준 140만명가량의 인구를 보유한 캐나다 제4의 도시다. 피자마루는 로얄비스타점에서 △몬스터 페페로니 △마루 파이브 등 피자 메뉴와 △코리안 BBQ 오븐치킨 △스파이시 오븐치킨 등 치킨메뉴를 판매할 전망이다. 피자마루는 캐나다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출점하며 현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21년 11월 캐나다 외식전문 기업 와이브라더스푸드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한 피자마루는 작년 7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시내에 1호점을 열었다. 이후 토론토 노스 요크(North York)와 쉐퍼드(Sheppard),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롭슨(Robson)과 랭글리(Langley) 등에 매장을 조성하고 현지 점포를 5개로 늘렸다. 피자마루는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토대로 오는 2025년 캐나다 50호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상권 특성에 맞게 배달·포장 전문매장, 테이블을 갖춘 레스토랑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이 중국에 이어 커피숍 매장 아시아 2위를 기록, '커피 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커피 소비량이 세계 평균의 약 3배인 국내 커피 시장 규모가 그대로 확인된 셈이다. 15일 영국 시장조사업체 월드커피포털(World Coffee Portal)이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브랜드 커피숍 매장은 3만1130곳으로 집계됐다. 월드커피포털은 동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프랜차이즈형 커피숍 매장수 등을 조사·발표했다. 한국은 중국(4만9691곳)에 이어 동아시아 2위에 올랐다. 태국(8353곳)이 3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기준 5163만명 인구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은 인도네시아(2억7550만명), 일본(1억2512만명), 필리핀(1억1556만명), 베트남(9819만명), 태국(7170만명)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커피숍이 운영되고 있다. 한국인의 커피 사랑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연간 국내 1인당 커피 소비량은 353잔으로 세계 평균(132잔)과 비교할 때 2.7배에 달한다.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다 커피숍 보유국으로 등극했다. 중국 내 커피숍은 최근 1년간 58%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이번달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에 현지 4호점을 연다. 지난 3월 캐나다에 진출한 지 9개월 만이다. 캐나다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며 북미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오는 21일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비컨힐(Beacon Hill)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캘거리는 약 140만명(2022년 기준)에 달하는 인구를 보유한 캐나다 제4의 도시다. 지난 3월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현지 1호점을 연 파리바게뜨는 지난 9월 앨버타주 에드먼턴, 온타리오주 뉴마켓에 연달아 출점했다. <본보 2023년 10월 8일 참고 파리바게뜨, 캐나다 3호점 오픈...북미 영토 확장> 파리바게뜨는 비컨힐점에서 크루아상, 샌드위치, 케이크 등 베이커리 메뉴와 커피, 차(茶) 등 음료 메뉴를 판매할 계획이다. 매장 한쪽에 테이블과 의자를 비치해 고객들이 빵과 커피를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신규 매장 오픈을 기념한 이벤트도 준비했다. 비컨힐점 방문 고객 가운데 선착순 300명에게 5캐나다달러(약 4800원) 케이크 쿠폰, 포토부스 이용권 등을 증정하는 행사다. 파리바게뜨는
[더구루=이연춘 기자] bhc치킨이 대만에 이어 태국 진출을 본격화한다. bhc치킨은 지난 13일 서울 송파구 bhc그룹 본사에서 태국 외식전문 기업인 '미션그룹(Meation Group)'과 태국 시장 진출을 위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태국 지역에 bhc치킨 운영을 맡게 될 미션그룹은 태국 내 한식당을 비롯해 음료와 차 그리고 태국 요리 관련한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외식전문 기업이다. 현재 3개 브랜드 2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프랜차이즈를 태국에 소개하는 등 외식 프랜차이즈에 대한 경험과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bhc치킨은 이번 협약을 통해 내년 1분기 내 방콕 시내 주요 상권에 1호점 오픈을 시작으로 태국 진출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특히 성공적인 시장 안착과 함께 자국 내 프랜차이즈 사업을 전개해 태국 전역에 출점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bhc치킨은 또 다른 아시아 시장인 대만 진출을 위해 지난 11월에 대만 외식전문 기업과 마스터 프랜차이즈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 체결로 bhc치킨이 진출한 아시아 지역은 기존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포함해 대만, 태국 등 총 5개 지역으로 늘어나게 됐다. b
[더구루=이연춘 기자] 파리바게뜨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한 프랑스 축구 구단 파리 생제르맹((Paris Saint-Germain)의 경기장에서 한글 LED 광고를 진행하며 글로벌 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 강화에 본격 나섰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0일 파리 생제르맹 리그 홈 경기 시 '안녕! 파리바게뜨'라는 한글 인사 메시지를 담은 LED 광고를 시작했다. 해당 메시지는 경기를 직관하는 파리 생제르맹 팬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72개 미디어에 생중계됐다. 이번 한글 광고 운영은 파리 생제르맹 구단 측에 한글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소개한 것이 계기가 되어 더욱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0월 파리 생제르맹과의 계약 체결 행사에서 첫 만남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전하고자 한국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디자인에 '안녕'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선물용 과자인 '안녕샌드'를 전달했다. 또한 한국 팬들의 남다른 한글 사랑과 자부심에 대한 부분도 어필하며 한글 소통에 대한 의견을 전한 바 있다. 김연정 파리바게뜨 마케팅본부장 상무는 "파리바게뜨와 '파리 생제르맹'과의 공식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 확대 측면을 넘어 한글에 대한 관심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회들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비영리단체 도시미래센터(Center for an Urban Future·CUF)가 발표한 '뉴욕 프랜차이즈 브랜드' 에서 51위를 기록했다. 베이커리 부문에서는 정상을 차지했으며, 국내 브랜드 중 유일하게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프랜차이즈 사업 경쟁력을 인정받으면서 파리바게뜨의 미국 사업 성장세가 뚜렷하다는 평가다. ◇뉴욕 베이커리 브랜드 '넘버1'…전체 51위 14일 CUF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뉴욕 프랜차이즈 브랜드 순위에서 51위에 올랐다. 이는 베이커리 브랜드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다. CUF는 지난 10월 13일부터 지난달 29일까지 수집한 뉴욕 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별 매장 숫자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고 설명했다. CUF는 지난 1996년 설립됐다. 뉴욕의 경제 성장, 불평등 축소 등을 위한 연구, 정책 수립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퀸즈 14개 △맨하탄 13개 △브루클린 2개 △스테이튼 아일랜드 1개 등 뉴욕에서 총 30개 매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 비해 4개 증가했다. 지난 2020년 21개였던 뉴욕 소재 파리바게뜨 매장은 2021년 23개, 2022년 26개
[더구루=한아름 기자] 맥도날드가 제품군의 대대적인 개편에 나선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미국 고객만족도(ACSI) 최하위 등급을 받자 오명을 벗기 위해 특단의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글로벌에 원재료 변경 계획을 도입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가 빅맥을 포함한 클래식 치즈버거, 맥더블 등 50가지 메뉴 원자재를 싹 바꾼다. 원재료 품질을 강화해 소비자 만족도를 강화한다는 목표다. 가격은 그대로 유지한다. 먼저 브로오슈 번에 버터와 참깨를 더 많이 넣어 고소한 맛을 극대화한다. 햄버거 패티 질도 끌어올린다. 두툼한 식감에 풍부한 육즙을 즐길 수 있도록 개선된다. 조리법도 바뀐다. 양파는 그릴에 구워 불향을 낸다. 치즈는 상온에 일정 시간 둬 치즈가 더 잘 녹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스도 다양화해 소비자 기호에 맞춘다는 복안이다. 버거 품질 업그레이드는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솔트레이크 시티 등 미국 서부 매장을 중심으로 먼저 도입한 후 내년까지 글로벌에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맥도날드가 버거 품질 업그레이드에 나선 이유는 고객만족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맥도날드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쪽 수라바야에 진출하는 등 사업영토를 확장했다. 파리바게뜨가 오는 2030년 동남아시아 600호점 비전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시내에 자리한 대형 쇼핑센터 파쿠원몰(Pakuwon Mall)에 신규 매장을 오픈했다. 파리바게뜨 파쿠원몰점이 자리잡은 수라바야는 약 300만명(2019년 기준)에 달하는 인구를 보유한 인도네시아 '제2의 도시'로 꼽힌다. 해당 매장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파리바게뜨 현지 매장은 11곳으로 증가했다. 지난달 24일 메단에 10호점을 연 지 불과 2주 만이다. 지난 2021년 11월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1호점을 열고 현지에 진출한 파리바게뜨가 현지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보 2023년 11월 28일 참고 파리바게뜨 인도네시아 10호점 출점…진출 2년만> 파리바게뜨는 파쿠원몰점에서 △크루아상 △패스트리 △케이크 등 베이커리 메뉴와 △허브 로스트 치킨 △오리고기 콩피 갈릭 라이스 △소고기 스파이시 토마토 파스타 등 식사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매장 한쪽에 테이블과 의자를 설치하고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너시스BBQ그룹의 미국 사업 몸집 키우기에 나섰다. 내년 5개주를 신규 출점해 'K-푸드'를 대표하는 치킨 브랜드로 입지를 굳히겠다는 계획이다. 한국을 넘어 아시아, 미국을 넘어 전 세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BBQ는 'K-푸드'를 알리는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BBQ는 내년 상반기 △아칸소(Arkansas) △아이다호(Idaho) △네브래스카(Nebraska) △사우스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유타(Utah) 등 내 5개주의 출점을 예고했다. 현재 전체 50개주 중 절반이 넘는 26개주 진출에서 31개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BBQ의 공격행보는 '글로벌 브랜드'를 향한 윤홍근 회장의 강한 의지와 꾸준한 투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윤 회장은 올해 창사 28주년 기념사를 통해 "BBQ는 끈기와 도전정신으로 2030년까지 세계 최고의 프랜차이즈 그룹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윤 회장은 세계시장 공략에 있어 규모를 중요시하는 맥도날드나 KFC와 달리 스피드를 중시하는 '칭기즈칸식 경영방식'을 표방하고 있다. 변화와 혁신을 통해 몸집을 가볍게 함으로써 수요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