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무인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허술한 법망이 도마 위에 올랐다. 정책이 기술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규제 그레이존(회색지대)'이 발생, 산업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미 NBC 방송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현행법상 무인 자율주행차는 교통법 위반시 일부 사례만 처벌을 받는다. 실제 인간 운전자가 차에 탑승해 운전을 하는 경우에만 벌금 처분 등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가 무인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주행 위반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다. 하지만 주차 규정을 어겼을 시에는 교통 위반 딱지를 발급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미국 내 주요 자율주행 기술 '테스트베드' 지역으로 꼽힌다. 특히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구글과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 차량 개발 자회사인 웨이모와 크루즈 등 선도 기업들이 시범 주행 테스트를 실시하며 주목을 받았다. 대내외 평가와 달리 자율주행차에 대한 주정부의 규제가 명확하지 않아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정작 정책 준비는 뒤쳐져 ‘속 빈 강정’이라는 평가다. 캘리포니아주와 마찬가지로 자율주행차
[더구루=홍성환 기자] 파나마가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회색국가 명단에서 제외됨에 따라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6일 코트라 '파나마 자금세탁방지기구 회색국가 명단 제외와 그 의미는' 보고서에 따르면 FATF는 지난해 10월 파나마를 회색국가 명단에서 제외했다. FATF는 자금 세탁과 테러 자금 조달 방지 노력이 부족한 국가를 회색국가 혹은 자금세탁방지 국제기준 비이행 국가로 지정해 감시를 강화하고 국제 표준 준수를 촉구한다. 파나마는 국제 투명성 위한 실질적인 기준과 조치를 이행함으로써 자금 세탁 방지 및 테러 자금 조달 금지(AML/CTF/CPF) 예방 시스템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파나마는 앞서 지난 2019년 6월 회색국가 명단에 포함된 바 있다. 파나마가 자금세탁 방지에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파나마는 FATF 총회 때마다 계속해서 회색국가 목록에 남아 있었으며, 이로 인해 파나마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계속됐다. FATF가 중요하게 여기는 조치 가운데 하나는 강화된 고객확인 제도다. 이에 고위험 국가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국제송금 거래시 고객 확인 절차를 강화할 것을 요구한다. 파나마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이 러시아의 군사 행동에 대한 허위 정보를 유포한 혐의로 금지된 이후 러시아 국산 SNS들이 빠르게 성장했다. 이들 플랫폼 등은 늘어난 이용자층을 기반으로 빠르게 상업적 활용을 늘려가고 있다. 코트라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은 2일 '러시아에서는 Facebook보다는 Vkontakte'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 SNS 시장 변화에 대해서 소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SNS 플랫폼은 정상적인 이용이 어려워졌다. 그리고 이 빈틈을 파고 든 것이 브콘탁테(Vkontakte, 이하 VK)와 텔레그램과 같은 러시아산 SNS다. VK는 2006년 서비스를 시작한 러시아 대표 SNS로 러시아를 비롯한 구소련권 국가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VK는 2022년 기준 러시아에서만 6900만명이 넘는 이용자를 확보했으며 2027년까지 300만명의 추가 이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텔레그램도 빠르게 성장했다. 2023년 1월 기준 텔레그램 내 러시아 이용자는 4880만여명으로 인터넷 사용자의 약 40%가 사용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금지 조치 이후 1단 간 23%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해 12월 세계 유일 핵추진 쇄빙 컨테이너인 세브모르푸트(Sevmorput)호에 화재가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화재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핵추진 선박인 만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러시아 최북서단 무르만스크 항구에 정박하고 있던 세브모르푸트호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사톰과 세브모르푸트호를 운영하고 있는 FSUE아톰플로트 등을 해당 사실에 대해서 일절 언급을 하지 않고 있어 공식적으로 확인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화재는 갑판에 위치한 30㎡ 규모 공용공간에서 발생했으며 화재 발생 1시간30분여만에 진압이 완료됐다. 피해는 화재가 발생한 공간에 한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세브모르푸트호는 세계 유일의 원자력 추진 쇄빙 컨테이너 운반선으로 러시아가 건조한 핵추진 쇄빙 컨테이너선 4척 중 유일하게 활동하고 있는 선박이다. 세브모르푸트호는 1988년 가동을 시작했으며 수 년간 무르만스크 항구에 방치됐었다. 러시아 정부는 세브모르푸트호의 폐기 계획도 세웠지만 북극항로가 열리며 2013년 개조에 돌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지방 도시에서 워케이션(일과 휴가를 동시에 즐기는 새로운 근무형태) 바람이 불고 있다. 지방 정부들은 각종 워케이션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일 코트라에 따르면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재택근무를 도입한 일본 기업이 늘어나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워케이션 문화가 확산하고 있다. 이에 지방 정부들은 지역 경제 발전과 인구 유입을 목적으로 워케이션 산업 활성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역 내 숙박시설, 코워킹 스페이스, 지역문화 체험 이벤트 등을 아우르는 워케이션 지원책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 나가노현 다테시나쵸는 '다테시나 워크트립(Work Trip)'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다. 일정 기간 무료로 쓸 수 있는 코워킹 스페이스를 제공하고 컨시어지를 배치했다. 기업 인원수 및 예산 규모에 따라 숙박시설, 교류 이벤트 등을 제안하기도 한다. 지난해 총 293명이 워케이션으로 숙박하는 등 성과도 나오고 있다. 오이타현 벳푸시는 워케이션을 통한 지역 방문객에게 여러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 내 특정 숙박시설에 일주일 이상 머무는 경우 숙박비 일부를 지원한다. 일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코워킹 스페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정부가 일부 중국 청정에너지 제품에 대한 무역관세 인상을 논의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조 바이든 정부는 약 3000억 달러(약 390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소비자 비용 부담 경감과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한 관세 인하 여부에 대해 미국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정부가 중국 전기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 외에 중국산 태양광 제품과 전기차 배터리 팩에도 관세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전략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중국 소비재에 대해선 관세 인하를 고려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공식 논평을 통해 미국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왕 대변인은 “지난해 미국이 통과시킨 관세 감면 조치를 포함한 부당하고 차별적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었다”면서 “안보를 명분으로 한 미국 우선주의는 시장경제와 공평경쟁의 원칙에 위배되며 세계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정을 위협하는 노골적인 보호무역주의”라고 지적했다. 이어 “세계무역기구(WTO)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브라질 하원이 아마존 고속도로 재포장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법안을 가결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면서 개발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및 현지 언론에 따르면 브라질 하원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아마존 관통 고속도로 개발 규제 완화 법안을 승인했다. 해당 법안은 브라질 북서부 아마소나스주와 혼도니아주를 연결하는 BR-319 고속도로 포장에 아마존 보존 기금을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13억 달러 규모 아마존펀드 등을 고속도로 개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비용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해당 법안은 하원만 통과한 상태로 정식으로 법제화되기 위해서는 상원 표결과 대통령 서명이 필요하다. BR-319 고속도로는 과거 군부 정권 시절 건설했으나 이후 방치되면서 사실상 도로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다. 현재 우기에는 통행이 거의 불가능하며 건기에 극히 일부 구간만 운행할 수 있다. 하지만 곳곳에 파인 구덩이와 나무, 바위 등으로 통행이 매우 어렵다. 재포장 필요성은 예전에도 제기되었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논의를 지속하지 못했다. 한편, 환경보호단체와 과학계는 아마존을 관통하는 BR-319 고속도로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 정부가 우호국을 대상으로 수출 관세 혜택을 확대한다.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31일 코트라 및 현지 언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정부에 우호국 상품 수출 관세를 인하하거나 면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서방 제재로 러시아 연방 기업과 물류 경로 변경으로 인해 운송 비용이 증가하고 수출 공급품이 더 비싸진 지역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곡물·비료·원자재 수입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했다. 러시아는 최근 우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가 주도하는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회원국과 이란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유라시아에 위치한 국가 간 경제 연합으로 2015년에 출범한 EAEU는 러시아,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으로 구성돼 있다. 당사국들은 이번 FTA 체결로 관세 혜택 상품 범위를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협정 조건에 따르면 무역 품목의 87%에 대한 관세가 철폐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민영기업 3곳 가운데 1곳이 향후 경제 상황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투자를 최소한으로만 유지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31일 코트라 '내년도 중국 경제가 궁금하면 중 민영기업을 보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현재 중국 민영기업 수는 5만여개로 전체 기업의 92%를 차지한다. 지에미엔신문이 중국 민영기업 413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 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33.9%는 향후 경기 하방 압력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경제 상황이 개선할 것이라고 본 기업은 24.2%였다. 41.9%는 불확실성이 높아 판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단기간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39.2%는 필요한 부분에만 투자를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25.7%는 미정이라고 했다. 20.3%는 투자를 늘리지 않겠다고 했고, 투자 확대를 준비하겠다는 기업은 14.8%였다. 민영기업이 현 경제 상황에서 직면한 가장 어려운 문제점으로 66.1%가 시장 수요 부족이라고 답했다. 이어 △원가부담(49.4%) △정책환경(46.7%) △정치와 경제 관계(19.1%) △법치주의 보호(16%) 등 순이었다. 중국 정부의 여러가지 민영기업 지원 정책에도 불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상하이에 깐 최초의 초전도 송전선을 통해 2년 동안 4만9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했다. 고장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전하며 초전도 송전선 기술력을 입증했다. 31일 텅쉰왕(腾讯网) 등 중국 매체와 상하이전력(上海电力)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에 설치된 1.2㎞의 초전도 송전선이 1만7000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전했다. 상하이 경기장과 쉬자후이 상업지구 등에서 4만9000가구에 3억6000만kWh의 전력을 공급했다. 이 송전선은 중국 최초의 초전도 케이블이다. 상하이전력은 2021년 말 창춘 변전소와 차오시 변전소를 잇는 송전선을 깔았다. 당시 가장 길고 전송 용량이 큰 케이블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상하이전력은 초전도 송전선의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지난 8월에는 처음으로 최대 용량으로 가동했다. 2년 동안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초전도 케이블 시장을 선도한다. 초전도는 압력을 가하거나 온도를 낮추면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을 뜻한다. 송전선을 냉각해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면 전기 저항이 사라져 전력 손실을 피할 수 있다. 한 번에 송전 가능한 전력량도 키울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정부가 신에너지차 구매세 감면 기준을 강화했다. 중국정부의 기준 강화로 배터리 전기차의 성능이 빠르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트라 선전무역관은 27일 '중국, 신에너지차 구매세 감면 기준 높인다'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의 신에너지차 정책 변화 등을 소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공업정보화부, 재정부, 세무총국 등은 11일 '차량 구매세 감면 대상인 신에너지차 제품의 기술 요구 조정에 관한 공고(关于调整减免车辆购置税新能能源汽车产品技术要求的公告)(2023년 제32호)'를 발표하고 구매세 혜택을 받기 위한 기준을 발표했다. 중국정부는 2014년 9월부터 신에너지차 구매세감면정책을 시행해왔으며 2017년, 2021년, 2022년 세 차례 연장했으며 올해 6월에도 2027년까지 연장을 발표했다. 새로운 기준이 적용된 구매세 감면혜택은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중국에서 구매세 감면혜택을 보기위해서는 공고에서 명시한 1회 충전 시 주행거리, 배터리 시스템 에너지밀도, 연료전지시스템 출력 등의 기준에 부합해야한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200km를 넘어야한다. 기존보다 2배 상향된 기준이다. 에너지밀도는 95Wh/kg이상에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진들이 상온·상압 초전도체 화합물이라며 등장해 올해 전세계 과학계를 달궜던 'LK-99'가 초전도체 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화남이공대학, 중남대학교, 중국 전자과기대학교 출신 연구진 9명은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를 통해 '구리가 치환된 납-인회석 구조의 저자기장 마이크로파 흡수의 이상한 메모리 효과(Strange memory effect of low-field microwave absorption in copper-substituted lead apatite)'라는 논문을 업로드했다. 해당 논문은 지난 7월 공개돼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LK-99에 대한 연구결과를 담고있다. 논문의 공동저자인 화남이공대학 야오 야오(Yao Yao) 교수는 지난 20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LK-99 샘플에서 초전도 상태가 매우 명확하게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LK-99 샘플의 히스테리시스(물질이 거쳐 온 과거가 현재 상태에 영향을 주는 현상)를 관찰했고 샘플이 회전할 때 효과가 감소하는 등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