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이꽃들 기자] 일본 담배 기업 재팬토바코인터내셔널(Japan Tobacco International·이하 JTI)이 안방에서 자존심 회복을 노린다. 가열식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와 'EVO 프리미엄 스틱'을 내세워 일본에서 두자릿수 점유율을 달성하며 부활의 날개짓을 펴고 있다.
[더구루=오재우 기자] 젠슨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한국에 방문해 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에 26만 장이 넘는 GPU를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엔비디아는 피지컬 AI(Physical AI) 구현을 위해 한국을 선택했다고 보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 입장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패권 경쟁으로 중국 공급망을 잃어버린 상황에서 GPU 공급시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이하 CNES) 대표단이 LIG넥스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을 연이어 방문했다. 프랑스 주요 우주 기업들을 소개하고 협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주 강국인 프랑스와의 협력 온기가 민간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4일 프랑스 항공우주·방산 기업인 세드락 테크놀로지스(Cedrat Technologies)에 따르면 CNES 대표단은 지난달 27일 '제5차 한불우주포럼' 참석차 방한해 LIG넥스원과 KARI 사업장을 찾았다. 이번 방한은 주한프랑스대사관 비즈니스프랑스(옛 경제상무관실)의 지원 속에 이뤄졌다. 세드락 테크놀로지스를 비롯해 프랑스 항공우주 기업들이 대표단에 동행했다. 자사 핵심 기술과 사업 현황을 소개하며 양국 기업·기관 간 항공우주 사업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는 1960년대부터 국가 차원에서 항공우주 산업 증진에 힘썼다. 1961년 총리실 산하 국립우주연구센터를 신설하고 1964년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 발사장을 구축해 연구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이듬해 아스테릭스(Astérix)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세계에서 세 번째로 자국 인공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유럽 우주 발사체 개
[더구루=김예지 기자] 일본 오카야마현 대표단이 한국인 관광객 유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한항공에 오카야마-서울 노선 운항 확대를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현재 주 3회 운항 중인 이 노선을 주 7회 매일 운항(데일리 운항) 체제로 증편하는 것이 핵심이다. 4일 일본 산요신문(山陽新聞)에 따르면 이바라기 류타(伊原木隆太) 오카야마현 지사는 인바운드 확대를 목표로 지난 2일부터 2박3일간 진행된 한국 방문 일정 중 서울에 위치한 대한항공 본사를 방문해 최정호 대한항공 영업 총괄 부사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바라기 지사는 면담에서 동계 시즌에 맞춰 주 3회 왕복으로 감편된 오카야마-서울 노선의 증편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앞서 오카야마 노선은 하계 기간동안 주 4회 왕복으로 운영됐다. 지사 측은 주 7회 운항 체제로의 증편을 촉구했다. 이러한 증편 요청의 근거로는 한국에서 일고 있는 지방 도시 여행 트렌드가 제시됐다. 이바라기 지사는 한국 방문 직전 정례 회견에서 한국 내에서 '소도시 여행'이 붐을 이루고 있다고 언급하며 "오카야마에는 이 수요를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이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이바라기 지사는 이번 방한 기간 동안 증편 요청 외에도 한국 여행사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9 오프로드 콘셉트카를 앞세워 미국 최대 튜닝카 박람회에 참가한다. 현대차는 빈티지와 전기차를 결합해 내연기관차를 선호하는 오프로드 이용자들을 공략한다. 현대차는 4일(현지시간) 부터 나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세마(SEMA) 2025'에 유명 자동차 유튜브 채널 '빅 타임(BigTime)'과 컬래버레이션한 아이오닉 9 오프로드 콘셉트카를 선보인다. 아이오닉 9 빅타임 콘셉트는 제레미아 버튼(Jeremiah Burton)와 잭 조브(Zach Jobe)가 디자인했다. 콘셉트 디자인에 참여한 버튼은 "버드라고 부르는 1977년식 빈티지 캡오버를 모티브로 디자인했다"고 설명했다. 공개된 사진 속 아이오닉 9은 상부와 하부는 브라운색으로 중간은 베이지톤의 색상으로 칠해졌으며, 빅타임이라는 글씨가 디자인 요소로 포함됐다. 또한 오프로드 감성을 살리기 위해 상부 라이트바와 오프로드 타이어와 힐 등이 장착됐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9 빅타임 콘셉트를 세마 중앙 홀에 위치한 퓨처 테크 스튜디오(Future Tech Studio)에 전시할 예정이다. 제레미아 버튼은 "오프로드 테마 아이오닉 9에 우리만의 스타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비만치료 시장을 뒤흔든 GLP-1 계열 '세마글루타이드(오젬픽·위고비)'가 미국에서 오는 2032년 특허가 대거 종료된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리는 이 시장에 제네릭(복제약)의 쓰나미가 밀려들면서, 수십조 원 규모의 비만 치료 시장이 거대한 격변기를 맞이할 전망이다. 당뇨 치료제에서 출발해 비만, 심혈관·신장질환 등으로 적응증을 넓힌 대표 블록버스터 약물이 특허 장벽 해제 시점을 맞으며 시장 지형이 요동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CJ ENM이 대만 통신·방송 파트너들과 손잡고 중국 표준어 북경어(만다린) 콘텐츠 공동 제작·투자에 나선다. 30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전용 펀드를 조성해 아시아 스토리 기반 지식재산권(IP) 상업화를 본격 추진한다. 이번 전략적 언어권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 확장 속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전 세계 만다린 사용자 수는 11억명으로 영어 사용자(5억명)보다 훨씬 많다. 4일 CJ ENM에 따르면 CJ ENM 홍콩은 이날 대만 통신사 파이이스트 텔레콤(Far EasTone Telecom·FET)과 방송사 TVBS 미디어, 대만창의콘텐츠진흥원(TAICCA)과 함께 3000만 달러 규모 '한-대만 엔터테인먼트·문화 콘텐츠 펀드'를 조성했다. 펀드 만기는 5년으로, 한국과 대만 로컬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영화·드라마 등 모든 포맷을 지원한다. 인재 육성과 완성작 글로벌 유통도 포함된다. CJ ENM은 '사랑의 불시착', '기생충' 등 K-콘텐츠를 글로벌 히트시킨 노하우와 기획력을 투입하고, 대만 파트너들은 현지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풍부한 제작 인프라를 제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날 '대만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인공지능(AI) 음성 솔루션 기업 '세렌스(Cerence)'와의 특허 분쟁을 합의로 마무리했다. 2년 가까이 이어진 장기 소송은 종료됐지만 일정 수준의 금전적 보상 부담은 피할 수 없게 됐다. 4일 세렌스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에 따르면 양사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교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특허 침해 관련 모든 분쟁을 종결하기로 합의했다. 계약에는 삼성전자가 세렌스에 4950만 달러(약 712억원)를 일시불로 지급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세렌스는 2023년 10월과 2024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삼성전자, 삼성전자 미국법인을 상대로 텍사스 동부 연방지방법원에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첫 번째 소송에서는 차량용 인공지능(AI) 인터페이스 관련 음성인식·필기인식·모닝콜 특허 5건, 두 번째 소송에서는 추가 4건의 특허 침해를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2024년 7월 반소를 제기하며 세렌스의 '세렌스 어시스턴트(Cerence Assistant)'가 자사 보유 특허 4건(특허번호 10395657·10720162·11823682·9583103)을 침해했다고 맞섰다. 삼성전자는 손해배상과 3배 손해배
[더구루=진유진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텍 '카이진(Kaigene)'으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2종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권리를 확보했다. 신규 파이프라인 확대로 신약 개발 중심 체질 전환을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4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메릴랜드주 소재 바이오텍 카이진과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2종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카이진은 병인성 자가항체를 분해하는 'PDEGTM(Pathogenic Antibody Degrader)'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중 항체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특히 자가면역질환 분야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계약에 따라 셀트리온은 카이진 비임상 단계 파이프라인 'KG006'에 대해 중국·일본 제외 글로벌 개발·판매 권리를, 'KG002'에 대해서는 전 세계 독점 개발·생산·판매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 규모는 선급금 약 114억원, 개발 마일스톤 최대 약 1584억원, 판매 마일스톤 최대 약 8921억원(순매출 5조7000억원 달성 기준) 등 총 최대 약 1조620억원 수준이다. 상업화 성공 시 로열티는 순매출액 대비 5~10
[더구루=이연춘 기자] 카페 주문앱 '올때아아'가 직장인 할인 전용 혜택을 제공하면서 직장인 복지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픽플레이는 올때아아를 지난 6월부터 서울 강남, 성수, 수원 지역에 순차적으로 출시했다. 4일 픽플레이에 따르면 올때아아는 카페, 음식점 주문결제 앱으로 사용자가 미리 주문, 결제 후 픽업 혹은 매장 내 취식하는 방식의 스마트오더다. 사용자가 매장 도착 전 미리 주문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올때아아는 최근 출시한 서울 성수 지역에서는 직장인들의 복지 서비스로 호응을 얻고 있다. 성수동에 위치한 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을 적용하면서다. 현재 올때아아는 SM엔터테인먼트, 쏘카, 젝시믹스, 앳홈 등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에게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임직원들은 올때아아에 입점된 회사 반경 500미터 내 카페와 음식점 70여곳을 5~30% 할인가에 이용 가능하다. 픽플레이는 최근 직장인 할인 전용 서비스를 위한 관련 특허 등록도 완료했다. 이번에 등록된 특허(출원번호: 10-2025-0095197)의 공식 명칭은 ‘멤버십 혜택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다. 올때아아는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올때아아 앱에서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메모리 반도체 기업 '윈본드'가 DDR4 D램 공급 부족이 최소 2027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글로벌 제조사들이 DDR5와 고대역폭메모리(HBM)에 공정을 집중하면서 구형 D램의 생산이 줄고 있어 레거시 메모리 강자들이 실적 회복의 최대 수혜자로 떠오르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내년 1분기 중동에서 전기픽업 모델 '사이버트럭'의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테슬라는 중동에 이어 유럽과 아시아 시장에서 사이버트럭을 출시하려고 하고 있지만 규제에 발목이 잡혀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