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코퍼레이션이 베트남 딜러사 4곳과 전자제품 공동 마케팅 행사를 열었다. 현대([HYUNDAI) 브랜드를 단 에어프라이어와 진공청소기, 조명, 도어락 등 신제품 출시를 알리고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섰다.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가전 사업의 성장 기회를 모색해온 정몽혁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회장의 구상이 동남아에서도 본격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모습이다. 27일 더인베스터와 베트남익스프레스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코퍼레이션은 베트남 딜러사 4곳과 지난 21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현대 라이프'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현대 브랜드로 베트남에 새롭게 출시한 제품들을 홍보하는 자리다. 홍콩 소비재 기업 굿플러스굿(GoodPlusGood, 이하 GPLUSG Coporation)을 비롯해 현대코퍼레이션의 딜러사 4곳이 행사를 주최했다. 이들은 현대코퍼레이션과 현대 상표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베트남에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최근 에어프라이어와 공기청정기, 진공청소기 등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조명, 도어락을 출시했다. 향후 TV와 오디오, 에어컨, 모바일 등으로 제품군을 늘리고, 현지 가전 시장에서 점유율 10%를 확보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와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용 고효율 전력 분배 솔루션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다. AI 연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력 효율과 안정성을 높여 데이터센터 운영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텍사스인스트루먼트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엔비디아와 차세대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800V 고전압 직류(HVDC) 전력 분배 시스템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전력 관리·센싱 기술을 제공하고,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설계를 주도한다. 기존 데이터센터 전력 분배 시스템은 48V 아키텍처가 주류였으나,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 수요로 인해 물리적·경제적 한계에 직면했다. AI 성장에 따라 데이터센터 랙당 전력 수요는 현재 약 100kW에서 머지않아 1MW 이상으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1M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려면 약 200kg에 달하는 구리 케이블이 필요해 확장에 어려움이 따른다. 엔비디아는 800V HVDC 아키텍처를 도입해 전류와 구리 사용량, 열 손실을 줄이고 전력 공급 효율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이 아키텍
[더구루=홍성환 기자] 아일랜드 인프라 개발사업 규제기관인 계획위원회(An Bord Pleanála)는 SK에코플랜트가 참여하는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의 예비심사를 반려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계획위원회는 지난 19일(현지시간) SK에코플랜트와 협약을 맺은 현지 재생에너지 기업 럼클룬에너지의 자회사 레드어드미럴(Red Admiral)에게 "이 회사가 건설하려는 데이터센터가 'SID(Strategic Infrastructure Development)' 심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통보했다. SID는 지방 정부 및 주요 기관이 주요 인프라 개발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계획위원회에 개발 허가를 신청하는 제도다. 고속도로와 철도, 공항, 항만, 병원, 수송관 등이 포함된다. 계획위원회는 "개발 사업의 규모와 성격을 고려했을 때 이 사업은 위원회 SID 제도 적용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따라서 해당 지방 정부에 사업 승인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본보 2025년 1월 13일자 참고 : 'SK에코플랜트 참여' 아일랜드 데이터센터 개발 사업 본격 시동> 이 사업은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서쪽으로 약 80㎞ 떨어진
[더구루=김명은 기자] 동원산업 미국 자회사 스타키스트(StarKist)의 현지 관계사인 연어전문기업 실버베이 씨푸드(Silver Bay Seafoods·이하 실버베이)가 글로벌 영토 확장에 나선다. 캐나다 기업 쿡(Cooke) 자회사 아이시클 씨푸드(Icicle Seafoods·이하 아이시클) 지분을 사들인다. 지분 인수는 실버베이가 알래스카 연어 가공 분야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안정적인 수산물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실버베이에 따르면 알래스카 해산물 가공업체인 오비 씨푸드(OBI Seafoods)의 지분을 인수해 아이시클이 소유했던 지분을 매입한다. 다만 지분 규모, 투자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실버베이와 지난 2007년 OBI의 지분을 50% 인수한 브리스톨 베이 경제개발공사(Bristol Bay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 BBEDC) 간 파트너십을 포함하고 있다. 실버베이는 OBI 시푸드의 알래스카 피터스버그, 시워드, 라슨 베이 등 주요 지역에 위치한 가공 시설들을 관리하게 된다. 이는 실버베이가 알래스카 내 연어 가공 역량을 비약적으로 확대하고, 다양
[더구루=진유진 기자] 아르헨티나가 3년 내 우라늄 생산을 본격화하며 핵연료 자립과 수출 기반 구축에 나선다. 캐나다 자원개발 기업 '블루 스카이 우라늄(Blue Sky Uranium)'의 니콜라오스 카코스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이바나(Ivana) 우라늄 프로젝트'가 빠르면 3년 내 상업 생산에 돌입할 수 있다"며 "사전 타당성 조사 단계를 생략하고 1년 내 본 타당성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르헨티나 남부 리오네그로주에 있는 이바나 광산은 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알칼리 침출 방식으로 우라늄을 추출한다. 광산 수명은 11년으로, 연간 약 150만 파운드, 총 1700만 파운드의 우라늄 생산이 예상된다. 바나듐도 총 810만 파운드가 함께 생산될 예정이다. 재정적 기반도 마련됐다. 이바나 합작법인과 투자 계약을 체결한 스페인 자원개발 기업 '아바타레(Abatare Spain SLU)'가 타당성 조사 단계에 3500만 달러를 우선 투자하고, 전체 개발에 최대 1억6000만 달러를 투입한다. 이바나는 매장 깊이가 30m 이내로 얕아 노천채굴 방식이 적용돼 자본 비용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이번 투자로 아바타레는 프로젝트의 8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무역보험공사가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NN)와 업무 협의를 진행했다. 27일 무역보험공사에 따르면 장영진 사장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루마니아를 방문해 루마니아 원자력공사 관계자들과 만났다. 또 루마니아 개발은행, 루마니아 수출입은행과도 업무 협의를 이어갔다. 루마니아 원자력공사는 지난해 12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체르나보다 원전 1호기 설비개선사업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체르나보다 1호기의 추가 30년 계속운전을 위해 약 2조8000억원 규모의 설비개선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한다. 한수원은 캐나다 캔두에너지(Candu Energy), 이탈리아 안살도 뉴클리어(Ansaldo Nucleare)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하며 약 65개월 동안 설비개선사업을 수행한다.
[더구루=김명은 기자] 농심이 할랄(Halal) 인증 신라면으로 무슬림들의 입맛을 꽉 잡았다. 농심은 2011년부터 부산 공장의 일부 생산라인을 할랄 전용 라인으로 구축해 40여개국에 할랄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12%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라면 새우맛에 이어 너구리, 뚝배기라면, 김치찌개 등 농심 할랄 라면이 상위권에 오르며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27일 인도네시아 음식 리뷰 매체 니블(Nibble)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 새우맛이 '할랄 K-인스턴트라면' 1위를 꿰찼다. 니블은 할랄 인증을 획득한 한국 라면을 대상으로 실시한 △맛 △브랜드 인지도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신라면 새우맛은 농심이 할랄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한 제품이다. 신선한 해산물의 풍미와 매콤한 맛이 조화를 이뤄 매니아층이 두텁다는 평가를 받았다. 농심은 2021년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기관 리폼 무이(LPPOM MUI)로부터 신라면, 너구리 등에 대한 할랄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신라면 새우맛에 이어 너구리가 2위, 뚝배기라면 5위, 김치찌개 6위 등 농심 할랄 제품 라인업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농심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더구루=홍성일 기자] 파키스탄 정부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비트코인 채굴 작업장에 잉여 전력을 공급한다. 파키스탄 정부는 대규모 전력 공급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 아시아·유럽·중동을 잇는 디지털 브릿지(교량)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파키스탄 재무부는 AI데이터센터·비트코인 채굴장 등에 2000메가와트(MW) 전력을 할당한다고 발표했다. 파키스탄 재무부는 이번 계획를 통해 잉여 전력의 수익화 모델을 개발,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전력 공급 계획은 파키스탄 암호화폐 위원회(PCC) 주도로 진행된다. PCC는 올해 3월 출범한 재무부 산하 조직으로, 디지털 자산을 금융 시장에 통합하겠다는 목표로 정책을 내놓고 있다. PCC 의장은 재무부 장관이 맡고 있으며 파키스탄 국립은행 총재, 증권거래위원회(SECP) 위원장 등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파키스탄 정부는 이번 전력 공급 계획 발표로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와 잉여 전력 문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 파키스탄 재무부는 "PCC 출범 이후 전세계 비트코인 채굴자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기업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취임 후 처음으로 베트남을 방문한 김영섭 KT 대표가 베트남 국영통신 기업 비엣텔 그룹(이하 비엣텔)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취임 후 경영 효율화에 집중해온 김 대표가 인공지능 전환(AX)을 앞세워 글로벌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KT는 27일 비엣텔과 AX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식은 하노이 비엣텔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김 대표와 따오 득 탕(Tao Duc Thang) 비엣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이 참석했다. KT와 비엣텔은 협약에 따라 △AX 컨설팅 △AI 사업 개발 △소비자 및 중소기업용 솔루션 출시 △AI 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인프라 △AX 역량 및 글로벌 개발 센터 △시장 공동 진출 등 6개 핵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KT는 실질적인 사업 협력은 1300억원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KT는 향후 비엣텔이 AI 전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AX 컨설팅을 제공하고, 중장기 AX 전략과 실행 로드맵을 공동 개발한다. AI 사업 분야에서는 KT의 AI 기술을 활용해 국가 AI 모델과 베트남 특화 AI 에이전트, 보이스피싱 방지 솔루션 등을 제작한다. 특히 베트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정부가 현대자동차의 인도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계획을 승인했다. 약 1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센터는 주행 테스트 전용 트랙과 최첨단 테스트카 제조 시설 등을 갖출 예정이다. 인도를 글로벌 최대 수출 기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운 현대차는 신규 R&D 센터를 통해 인도에서의 기술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L)은 인도 텔랑가나(Telangana) 주 정부 산업진흥소위원회(Industrial Promotion Sub-Committee)로부터 '현대 글로벌 이노베이션 R&D 센터(Hyundai Global Inno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건설 승인을 받았다. 총 852억8000만 루피(약 1조4000억원)가 투입되는 이 시설은 자히라바드(Zaheerabad) 국가 투자 제조구역(NIMZ) 내 675에이커(약 273만㎡) 부지에 들어서는 '메가 테스트 센터'다. 주행 테스트 전용 트랙과 최첨단 테스트카 제조 시설 등을 갖
[더구루=길소연 기자] 벨기에 해운사 CMB.테크(CMB.TECH)의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유조선) 발주 선회 기류가 감지된다. 중국 조선소와 유조선 계약설이 나돌지만 선사가 직접 부인하며 수주처 변경 가능성이 엿보인다. 27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CMB.테크(CMB.TECH)는 최근 중국선박공업집단(CSSC) 계열사인 칭다오베이하이조선(靑島北海)과 최대 5척의 유조선 신조 계약설을 부인했다. 알렉산더 세이버리스 CMB.테크 사장은 "중국 칭다오 베이하이와 5척의 유조선을 계약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CMB.테크의 중국 발주설은 외신 보도로 나왔다. 싱가포르 글로벌 조선해양 뉴스매체인 스플래시247(Splash 247)는 CMB.테크가 칭다오 베이하이와 초대형 유조선(VLCC) 1척과 수에즈막스 4척(확정 2척. 옵션 2척)을 발주했다고 전했다. 선가는 VLCC는 척당 1억 3500만 달러(약 1850억원)로 추정하고 있으며, 수에즈막스는 척당 9600만 달러(약 1315억원)로 추정된다. 하지만 선사인 CMB.테크가 이를 적극 부인하면서 건조사 노선 변경이 제기됐다. CMB.테크는 유조선 신조선 건조사로 H
[더구루=홍성환 기자] 카타르 투자청(QIA)이 중국 최대 자산운용사 화샤기금(ChinaAMC)에 지분 투자한다. 두 나라 간 경제 동맹이 강화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 투자청이 화샤기금 지분 10%를 인수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지분 투자가 완료되면 카타르 투자청은 중신증권(62%), 맥켄지인베스트먼트(28%)에 이어 3대 주주에 오르게 된다. 화샤기금은 1998년 설립된 중국 최대 자산운용사다. 순자산가치는 1조9000억 위안(약 360조원)에 이른다. 카타르 투자청은 운용자산 5260억 달러(약 720조원) 규모 세계 9위 국부펀드다. 카타르를 비롯해 많은 중동 국가는 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격화함에 따라 중동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동은 전략적·지리적으로 유럽·아프리카 진출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데다 인구 성장, 정부 주도 산업 다각화 정책 등으로 글로벌 기업의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스(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한국 배터리 제조사와 손잡았다. 한국 시설에서 앰프리우스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을 접목해 배터리를 생산한다. 외부 파트너십을 활용해 비용 절감과 생산능력 확장의 이점을 모두 취하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를 상용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앰프리우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국 배터리 회사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제조 협약(Contract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 제조사의 공장에서 SiCore® 배터리셀을 생산한다. 초기 드론용 배터리로 활용하고 향후 항공우주와 방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경험이 있는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글로벌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앰프리우스는 작년 6월 여러 건의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0MWh 이상으로 늘렸다고 밝혔었다. 현재까지 1.8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추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에 제조 거점을 보유, 대륙별 생산체계를 구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 최대 종합 화학 기업인 독일 '바스프(BASF)'가 캐나다 퀘벡주에 계획했던 이차전지 소재 공장 투자를 철회했다. [유료기사코드] 다니엘라 레첸버거 바스프 대변인은 28일(현지시간) "비용 절감 계획과 지속적인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퀘백주 공장 투자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시장과 고객이 현지 생산 능력을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북미 투자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바스프는 지난 2022년 퀘벡주 베캉쿠르에 배터리 소재 공장을 세우기 위해 부지를 확보하고 올해 가동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공장은 배터리 핵심 부품인 음극 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지역 내 전기차 생태계와 연계된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프로젝트는 지지부진해졌다. 바스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배터리 부문 지출을 점진적으로 축소했고, 이 프로젝트의 자동차 파트너사 확보에도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피에르 피츠기번 퀘벡주 경제부 장관은 지난 2023년 "오랫동안 바스프로부터 진전된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건설 현장에도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프로젝트가 사실상 멈춰 있는 상태"라고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