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에서 생산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일렉시오(ELEXIO)’를 내년 호주 시장에 출시한다. 중국 현지 모델을 해외에 직접 수출하는 첫 사례로, 현대차그룹이 추진 중인 중국사업 구조 재편과 글로벌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이 가시화되고 있다. ◇베이징현대, 수출 1호 전기차 호주 '낙점' 5일 현대차에 따르면 회사는 내년 초 호주에서 일렉시오를 정식 판매할 예정이다. 가격은 5만5000~6만5000호주달러(약 5160만~6100만원)로 책정될 전망으로, 중형 전기 SUV 시장의 핵심 경쟁 구간에 직접 맞붙게 된다. 일렉시오는 현대차와 베이징자동차(BAIC)의 합작법인 ‘베이징현대(BHMC)’ 주도로 약 5년간 연구개발을 거쳐 완성된 전략형 전기차다. ‘중국에서, 중국을 위해, 그리고 세계로(From China, For China, For the World)’라는 현대차그룹의 신(新) 생산·수출 전략을 대표하는 1호 모델이다. 현대차는 호주 시장 진출을 앞두고 지난 9월 현지 연방정부의 자동차 형식승인(RVS) 절차를 마쳤다. 이는 법적·기술적 기준을 모두 충족해 현지 판매를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는 의미다. 단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중공업이 노르웨이 선사인 '노르딕 아메리칸 탱커스(이하 NAT)'로부터 척당 1200억원 상당인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2척을 사실상 따냈다. 내년 초 최종 계약을 맺고 2028년 하반기 인도할 전망이다. 유조선 수주 잔량이 늘며 도크 풀가동 체제가 이어지고 있다. 5일 업계에 다르면 NAT는 지난 3일 주주 서한에서 한국 조선소와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2척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척당 8600만 달러(약 1200억원)로 내년 초 최종 계약이 전망된다. 인도는 2028년 하반기로 예정돼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NAT는 1995년 설립 초기부터 삼성중공업과 인연을 맺었다. 그해 조달한 재원을 활용해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3척을 삼성중공업에 발주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약 20척의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을 보유했는데, 대부분 삼성중공업에서 건조했다. 올해 유조선 시장은 원유 수출 증대와 노후선 교체 수요가 발주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비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 모임인 OPEC+ 소속 8개국은 지난 4월부터 증산에 나섰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9월 하루 평균 원유
[더구루=이꽃들 기자] 한미약품이 베트남 고혈압 치료제 시장에 첫 발을 내딛는다. 대표 복합제 제품군을 현지 제약사에 독점 공급하며 동남아 주요 시장 진입 기반을 확보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30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국제 제약·바이오 박람회 'CPHI 월드와이드 2025'에서 베트남 제약기업 비엣팝(Viet-Phap)과 고혈압 복합제 독점 공급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한미약품은 고혈압 복합제 완제품을 공급하고, 비엣팝은 베트남에서 허가, 유통 및 판매를 담당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베트남 시장 내 한미약품 제품 확대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베트남 고혈압 시장은 약 1500만명의 환자군을 기반으로 연간 약 4000만달러(약 580억원) 규모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엣팝은 2002년 설립된 하노이 기반 민간 제약사로, 희귀의약품 및 오리지널 의약품 유통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응우옌 치 중 비엣팝 대표는 "고혈압 치료제 외에도 다양한 미충족 의료수요 분야에 제품을 도입해 협력을 이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는 "베트남에서 한미약품 복합제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현지 환자들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목표 주가를 150만원으로 높였다. 견조한 실적 개선이 지속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5일 투자전문매체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JP모건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목표 주가를 13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비중확대'를 유지했다. 앞서 JP모건은 올해 5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목표 주가를 9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린 이후 계속 전망치를 높이고 있다. JP모건은 "자회사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의 실적 부진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예상치에 부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상 방산 실적은 국내 양산 판매와 해외 수출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예상치를 웃돌았다"며 "폴란드 K9·천무 납품 부진에도 부품·탄약 매출 증가에 힙입어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JP모건은 "회사는 2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을 기록했지만 2분기와 비교해 수출 마진이 38%에 달했다"며 "핵심 수출 부문인 지상 방산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40%로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9월 출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4분기 K9 22대, 천무 30대를 판매할 것으로 예
[더구루=진유진 기자] CJ포디플렉스(CJ 4DPLEX)가 가수 지드래곤의 콘서트 영화 '지드래곤 인 시네마 위버맨쉬'(G-Dragon In Cinema [Übermensch]) 배급 지역을 전 세계 70여 개국으로 확대했다. OTT 경쟁 속에서 K-팝 공연 콘텐츠가 오히려 극장 프리미엄 체험 수요를 견인하며 수익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CJ포디플렉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추가 계약을 통해 '지드래곤 인 시네마 위버맨쉬] 배급 범위를 유럽·중동·중남미 등 약 70개국으로 넓혔다. 지난달 29일 첫 개봉 이후 후속 판매가 이어지고 있으며, 지역별 상영은 이달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번 신규 배급 파트너에는 △베트남 모킹버드 픽처스(Mockingbird Pictures) △튀르키예 CGV 마스(CGV Mars) △중앙아메리카·파라과이 롤라(Rola) △카리브해·베네수엘라 빅 필름스(Vic Films) △콜롬비아 산타 바바라 필름스(Santa Barbara Films) 등이 포함됐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CGR 이벤트(CGR Events) △독일 시네플렉스(Cineplex)·필름팔라스트(Filmpalast)·UCI △그리스 빌리지 시네마(Villa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서부발전이 태안화력발전 10호기에 대한 석탄·암모니아 혼소(2종류 이상의 연료를 연소) 입찰사업을 추진한다. 5일 서부발전에 따르면, 이사회는 최근 회의를 열고 ‘태안 10호기 석탄·암모니아 혼소 CHPS(청정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입찰 추진안’을 원안 접수했다. 이번 사업은 서부발전이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추진하는 핵심 프로젝트 중 하나다. 태안화력 9호기와 10호기 등 기존 대용량 석탄 발전 설비에 암모니아 혼소 기술(열량 기준 20%)을 적용, 석탄 사용량을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사업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무탄소 연료인 암모니아를 활용하는 발전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한 차원이기도 하다. 다만 암모니아 혼소 전환에 대한 비용 문제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해 서부발전 자료를 보면, 태안화력 9호기와 10호기의 암모니아 혼소 설비 비용은 5825억원에 달하며 연료비도 매년 3272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기아가 중국 시장에서 8개월 연속 '월 2만대'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10월 말까지 누적 판매량은 20만대를 넘었다. 이 추세대로라면 연말 판매고는 25만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EV5 등 기아 중국 내 공장에서 생산된 차량 수출 확대를 통해 반전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10월 중국 시장에서 2만2858대를 판매했다. 지난 3월 이후 8개월 연속 월간 판매 2만대를 웃돌고 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21만282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생산은 20만6970대로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다. 엔진 수출도 10만1759대로 10% 가량 증가했다. 기아는 지난 2016년 중국 내 판매 65만대 판매를 정점으로, 지난 2022년 9만4000대로 급락, 시장점유율 0.5% 미만으로 추락한 바 있다. 이후 4년만인 지난해 '20만대'를 회복했다. 현재 판매 추세를 이어갈 경우 올해 '25만대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수출 부문이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옌청 공장은 중국 내수와 글로벌 수출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이집트 석유부 장관과 만나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집트는 원유 생산량 확대를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설 예정으로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5일 이집트 석유부에 따르면 김동섭 사장과 카림 바다위 석유부 장관은 4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에너지 산업 전시회 '아디펙 2025'에서 간담회를 진행했다. 양사는 이집트 사우스 옥토버, 노스 자이트 베이, 사우스 와디 다라 등 현재 석유공사가 참여 중인 이집트 내 광구의 생산량 증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광구는 석유공사의 영국 자회사인 다나 페트롤리엄이 이집트 국영석유회사(EGPC)와 협력해 개발했다. 바디위 장관은 또 "새 탐사 지역 진출을 추진해 달라"며 "조만간 새 개발 사업의 입찰을 진행할 것"이라고 요청했다. 이집트는 수년간 지속된 원유 생산량 감소를 극복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설 방침이다. 오는 2026년까지 이집트 주요 생산 지역에 101개의 유정이 우선 개발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자금 조달 방안은 명시되지 않았으나, 글로벌 석유 기업과 새로운 탐사 계약을 체결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다올투자증권의 태국 법인이 현지 정부의 가계부채 정리 조치로 인해 태국 금융권의 부실채권(NPL)이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3일(현지시간) 태국 경제매체 카오훈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다올증권 태국 법인은 "정부의 최근 가계대출 해결 조치가 은행 시스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번 정책으로 NPL이 20~30%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올증권은 "이번 조치가 무담보 부채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신용위험이 높은 채권군의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에크니티 니티탄프라파스 재무부 장관은 최근 "자산운용사를 통한 부실채권 매입을 활용해 소매 금융권의 부채를 해소하는 프로젝트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약 350만 명의 채무자, 총 480만 개 계좌를 대상으로 1인당 최대 10만 바트(약 440만원) 규모의 부채 상환을 도울 예정이다. 전체 규모는 약 1200억 바트(약 5조3200억원)에 달한다. 다올투자증권(당시 KTB투자증권)은 지난 2008년 현지 증권사 파이스트 시큐리티스를 인수하며 태국에 진출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카자흐스탄 에너지부와 카자흐스탄 남동부의 수력발전 개발을 논의했다. 지난 9월 디지털 물 관리 기술 협력에 이어 파트너십 범위를 넓히고 있다. 5일 카자흐스탄 국영 통신사 카즈인폼(Kazinform)에 따르면 순가트 예심하노프 에너지부 차관과 잔도스 누르마간베토프 카자흐 에너지협회 사무총장이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 두 사람은 수자원공사 대전 본사를 방문해 기술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수자원 관리 정책과 현대적 수력·발전 기술, 중형 수력발전소 프로젝트 개발 및 자금 조달 방안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이 자리에서 수자원공사와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카자흐스탄 남동부 지역의 계단식 수력 발전 공동 개발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카자흐스탄은 남동부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높게 보고, 수력 발전소 건설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정부 관계자의 이번 방한으로 한국과의 물 분야 파트너십도 한층 강화된 모습이다.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 9월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현지 국영 물관리 기업 ‘카즈보드코즈’와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당시 업무협약에는 수자원공사의 '디지털 트윈 기반 물관리 기술'이 포함됐다. 이 기술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터테인먼트 기업 하이브(HYBE)가 인도서 소셜미디어 채널을 오픈했다. 하이브는 디지털 분야를 시작으로 오디션, 콘텐츠 제작 등으로 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브 인도법인(하이브 인디아)은 공식 인스타그램과 엑스(X, 옛 트위터) 채널을 오픈했다. 하이브 인디아는 지난 9월 설립됐으며,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하이브 인디아는 재팬, 아메리카, 라틴 아메리카, 차이나에 이은 하이브의 다섯 번째 해외 본부다. 하이브는 인도법인 설립에 대해 각 지역의 문화와 특성에 맞는 사업을 전개해 현지 시장을 선도한다는 '멀티 홈, 멀티 장르(Multi-home, Multi-genre)' 전략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이브 인디아는 채널이 첫 게시물로 '인도의 목소리가 세계의 서사가 될 때까지(WHERE VOICES OF INDIA BECOME GLOBAL STORIES)'라고 적힌 이미지를 업로드했다. 해당 멘트는 하이브 인디아의 설립 미션이다. 하이브 인디아는 소셜미디어 채널 오픈을 시작으로 인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이브 인디아는 현지 오디션을 통해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현지에 최적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가 군함 건조를 위해 조선소 투자 유치를 추진한다. 호주 오스탈의 조선소가 있는 서호주 헨더슨에 대규모 투자 확보에 나서면서 한화와 HD현대를 주요 파트너 후보로 올렸다. 미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이후 지정학적 안전성과 인프라를 앞세워 동맹국의 '조선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의 AI 검색엔진이 미국 모바일 메신저 스냅챗(Snapchat)에 통합된다. 퍼플렉시티는 이번 통합으로 늘어나는 신규 이용자를 통해 추가 데이터를 확보, AI 모델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