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25 시리즈'의 중남미 사전 판매량이 대폭 증가하며 심상찮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능이 주목받으며 갤럭시가 명실상부 'AI폰'으로 자리잡은 모습이다. 8일 삼성전자 라틴아메리카법인(SELA)에 따르면 삼성전자 갤럭시S25 시리즈의 중남미 지역 사전 예약 판매량이 전작인 갤럭시S24 시리즈와 비교해 31% 증가했다. 브라질, 멕시코, 에콰도르, 파라과이, 우르과이 등이 포함된다. 판매량 증대를 견인한 주요 요인으로는 갤럭시S25 시리즈의 AI 기능이 꼽힌다. 브라질과 멕시코는 갤럭시 AI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세계 10대 국가에 속한다. 작년 초 출시한 갤럭시S24에서 '갤럭시 AI'를 처음 선보인 후 중남미에서만 11억5700만 회 이상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사용량은 지난 5개월 동안 250% 증가했다. 중남미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I 기능으로는 △이미지 편집·생성 △텍스트 편집·교정 △인터넷 검색 등이다. 또 AI 기반 실시간 음성 통화 번역도 주요 언어인 포르투갈어부터 스페인어, 영어까지 지원돼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갤럭시S25 시리즈는 전작 대비 AI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풍력발전 기업 ‘유니슨'과 합작사를 설립한 중국 '밍양 스마트 에너지(이하 밍양)'의 터빈이 부서지는 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값싼 중국산 설비의 신뢰성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핵심 발전 시설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철저한 점검과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하이난 링가오의 밍양 대형 풍력 터빈 테스트센터에서 20MW급 터빈(모델명 MySE18.X-20MW)의 블레이드 2개가 지난해 12월 파손됐다. 해당 모델은 같은해 8월 설치된 프로토타입으로, 불과 4개월여 만에 손상된 것이다. 밍양은 사고 발생 약 일주일 후 공식 성명을 통해 "극한 환경을 가정한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한 건으로, 제품의 신뢰성과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의 일환"이라며 "풍력 터빈이 테스트 중에 극심하고 비정상적인 조건에 직면하면서 블레이드가 설계 하중 한계 값을 초과해 손상되고 파손되었다는 예비 결론이 도출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풍력발전 산업의 핵심 기자재인 터빈 블레이드가 극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안전성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밍양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텔이 외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의존도를 줄이려던 기존 계획 철회하고 대만 TSMC와의 협력을 강화한다. 메모리 사업부의 생산 역량 다변화를 추진하는 한편 파운드리 사업부에는 보다 강한 경쟁 압박을 가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는 모습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인공지능(AI) 기반 무인 비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쉴드 AI'에 베팅했다.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무인항공기(UAV) 사업 관련 투자를 잇따라 단행하며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을 닦고 있다. 쉴드 AI는 6일(현지시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미국 방위산업체 'L3해리스(L3Harris)'가 주도한 2억4000만 달러(약 3480억원) 규모 F-1 펀딩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미국혁신기술펀드(USIT) 등 기존 투자자도 참여한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쉴드 AI는 1년 전과 비교해 약 2배 증가한 53억 달러(약 7조70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쉴드 AI는 확보한 자금을 자사 소프트웨어 'HME(Hivemind Enterprise)'를 고도화하고 배포를 가속화하는 데 투입할 계획이다. HME는 자율항공기와 드론 등에 적용되는 AI 기반 무인 비행 소프트웨어다. 위성항법체계(GPS)와 통신이 차단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들고 이를 OEM, 정부, 기업 등에 공급한다는 목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쉴드 AI의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리며 무인항공기 시장 진출에 한 발 더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포드가 내년 중국 CATL의 기술력으로 배터리를 생산할 미시간 공장을 가동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주민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역 정부 지원 아래 건설을 강행하고 있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을 넘어 전기차 업계의 새로운 선례로 남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미국 파트너사들과 손잡고 헬스케어판 'CES'라 불리는 'HIMSS'에서 의료용 모니터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세계 최대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 공략에 '가속페달'을 밟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헬스케어 솔루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6일 LG전자에 따르면 미국법인 비즈니스솔루션그룹은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아 컨벤션 앤 엑스포 센터에서 열린 'HIMSS 2025'에서 의료·진단·모니터링용 모니터를 전시했다. 직접 참여하는 대신 주요 파트너사의 전시 부스를 활용해 종합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안했다. LG전자는 △레노보 △코니카 미놀타 △액세시엄 그룹 △어고트론 △젠테그라 △IGEL △rfIDEAS 등 7개 파트너사와 협력했다. 이들이 마련한 부스에 LG전자의 주요 스마트 모니터 라인업을 전시하고, 파트너사의 제품, 클라우드 기술 등과 연계해 생산성과 보안성을 높이고 관리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 LG전자가 전시한 제품은 △24인치 올인원 씬 클라이언트(모델명 24CR67iK6P) △32인치 의료용 모니터(모델명 32HQ713D) △27인치 진단 모니터(모델명 27HJ713D-B) △32인치
[더구루=정예린 기자] 율호가 투자한 미국 '아쿠아메탈스(Aqua Metals)'가 공급한 재활용 니켈이 양극활물질(CAM)로 재탄생했다. 폐배터리 재활용부터 양극활물질 생산까지 전 과정을 현지화, '메이드 인 USA'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축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국내 최초로 전구체 프리 양극재를 양산한다. 선제적인 양산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LG화학은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이같이 밝혔다. LG화학의 LPF양극재는 전구체를 따로 만들지 않고 맞춤 설계된 메탈에서 바로 소성해 양극재를 만드는 방식이며 저온 출력 등 성능 개선 효과와 새로운 전구체를 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인다. 이러한 장점으로 전구체 생산 능력을 확장하기 위한 투자비가 필요하지 않고 전구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탄소 배출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G화학은 올해 상반기 LPF양극재 양산을 시작으로 향후 신제품에 LPF기술의 확대 적용을 통해 고객에게 성능·비용·친환경 측면의 차별화된 고객 맞춤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LG화학은 'Sustainable Future, Powered by LG Chem'의 주제로 양극재의 기존 주력 제품인 하이 니켈(High Ni) 제품 외에도 보급형 전기차의 가성비를 향상시키는 다양한 제품군과 기술 솔루션을 선보인다. 주로 니켈 함량 96% 이상인 울트라 하이 니켈 제품군과 함께 △고전압 미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의 막이 올랐다. 국내외 기업, 정부 기관 등이 총출동해 배터리 산업 동향을 살피고 사업 기회를 모색했다. 5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했다.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 등이 주관한다. 올해는 국내 배터리 4사를 비롯해 미국, 일본, 칠레, 브라질 등 13개국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688개 기업들과 연구소, 정부 기관 등이 참여해 배터리 제품과 기술 성과를 공유했다. 해외 참가업체는 전년 대비 25% 늘어난 172개사가 부스를 꾸렸다. 참관객은 약 8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배터리 3사, 혁신 기술로 전기차·ESS·로봇 등 미래 시장 선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은 이번 전시회에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 전기차는 물론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을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처음으로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를 공개했다.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는 주행거리, 충전속도, 안전성 등 배터리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모든 요소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도 불구하고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현지 사업 확장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기업 맞춤형 디지털·보안 솔루션을 앞세워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을 공략,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한다. 5일 삼성전자 멕시코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멕시코와 브라질에서 차세대 디지털 사이니지 통합 콘텐츠 플랫폼 'VXT'를 출시한다. 이를 통해 중남미 지역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B2B 고객 대상 맞춤형 기술 지원과 서비스 역량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VXT는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관리 소프트웨어로, 기업들이 사이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삼성 VXT를 활용하면 매장 내 제품 홍보, 할인 이벤트, 광고 영상, 환영 메시지 등 다양한 콘텐츠를 더욱 쉽고 간편하게 제작·관리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맞춤형 디지털 솔루션을 통해 현지 B2B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B2B 고객 전용 온라인 포털과 링크드인(LinkedIn) 페이지 등을 운영해 소통을 강화하고 고객 편의성을 제고한다. 삼성 솔루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도 지속 제공한다. 기업이 삼성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SDI가 차세대 배터리 제품과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글로벌 배터리 기업으로서 역량을 뽐냈다. 삼성SDI는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배터리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는 우리의 일상, 인셀리전트 라이프(InCelligent Life)'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삼성SDI는 총 680여개 참가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의 전시 공간을 확보해 부스를 꾸렸다. 배터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가치와 이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력에 따라 6개 존으로 부스를 구성해 △전기차 배터리 및 소재 △로봇∙IT∙Micro-Mobility △고출력 전동공구 △에너지저장장치(ESS) △자율주행차 △ESG 등을 전시했다. 삼성SDI는 이번 전시회에서 다양한 각형 배터리 라인업과 소재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특히 '열 전파 차단(No Thermal Propagation, No TP)' 기술과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밀도를 구현한 전고체 배터리(ASB)로 각형 배터리의 차별화된 안전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5'를 수상한 '50A급 초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5'가 막을 올렸다. 국내외 기업, 정부 기관 등이 총출동해 배터리 산업 동향을 공유하고 사업 기회를 모색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5일 올해 13번째를 맞이하는 '인터배터리 2025'를 개막했다고 발표했다. 이날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전시회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688개 기업들이 참여해 배터리 제품과 기술 성과를 공유한다. 이번 행사에는 우리 배터리 3사를 포함해 미국, 일본, 칠레, 브라질 등 13개국의 정부‧연구소·기업들이 참여한다. 동 행사를 통해 최신 배터리 기술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전세계 관련 업계와 언론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다. 인터배터리 기간 중 '배터리 컨퍼런스', 배터리 기업 채용설명회, 미국 투자설명회, 배터리 광물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개최된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대상으로 '인터배터리 어워즈'도 수상했다. △46시리즈 원통형 셀 및 팩 솔루션을 선보인 LG에너지솔루션 △높은 에너지밀도와 급속충전이 가능한 LFP+ 기술을 공개한 삼성SDI △고강도와 고연신 특성을 가진 음극 집전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