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피자 브랜드 치즈앤도우 현지 9호점을 오픈했다. 인도네시아 각 도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상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치즈앤도우 매장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롯데마트는 지난 2022년 인도네시아에 치즈앤도우를 론칭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올해 상반기 자카르타 서부에 자리한 롯데마트 따만 수리야점(Lotte Mart Taman Surya)점에 치즈앤도우 신규 매장을 조성했다. 롯데마트 따만 수리야점은 자카르타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 인근에 조성된 번화가에 자리하고 있다. 롯데마트 따만 수리야점 내 신규 매장 오픈에 따라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에서 운영하는 치즈앤도우 매장은 9곳으로 늘어났다. 롯데마트는 △자카르타 △수라바야 △세르퐁 등에 치즈앤도우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1월 자카르타 남부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간다리아시티몰(Gandaria City Mall) 내 롯데마트 간다리아점에 8호점을 오픈했다.<본보 2024년 1월 19일 참고 롯데마트, 인도네시아 치즈앤도우 8호점 출점…매장 확대 속도> 롯데마트는 치즈앤도우 9호점에서 오리지널 피자, 치즈피자, K-불고기피자, 스파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면세점이 스코틀랜드 주류업체 맥켈란(Macallan)과 손잡고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위스키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롯데면세점은 글로벌 주류 기업들과의 협력을 토대로 창이공항 내 주류 마케팅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17일 창이공항그룹(CAG)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맥켈란과 협력해 다음달 10일까지 창이공항 제1터미널에서 위스키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롯데면세점은 해당 팝업스토어에서 맥켈란의 위스키 '더 하모니 콜렉션 그린 메도우'(The Harmony Collection Green Meadow·이하 맥켈란 하모니)를 중점 홍보하고 있다. 맥켈란 하모니는 맥켈란이 스코틀랜드 출신 자매인 패션 디자이너 스텔라 매카트니(Stella McCartney), 사진작가 매리 매카트니(Mary McCartney)와 협력해 개발했다. 맥켈란 하모니는 모든 스코틀랜드 사람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비옥한 스코틀랜드의 대지를 기념한다는 의미를 담아 기획한 위스키다. 패키지 상자 디자인에 매리 매카트니가 촬영한 사진 작품을 활용했다. 팝업스토어 한쪽에 매카트니 자매가 스코틀랜에서 지낸 어린 시절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맥켈란 하모니는 셰리 오크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스마트 공장 도입 바람이 거세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까다로운 의약품 품질 관리 기준을 설정하자 존슨앤드존슨(J&J), 화이자, 일라이 릴리 등의 현지 제약업체가 신속한 대응에 나서며 관련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코트라에 따르면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 제조 부문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실시간 데이터 관리 솔루션, 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성 제고, 품질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제조 공정 전 단계를 디지털 공간에 복제해 사전 제조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최적의 공정 모델을 도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FDA가 우수 의약품 품질 관리 기준인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을 설정하면서 스마트공장 건설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미국 내에서 유통되는 의약품의 경우 제조·포장·라벨링·보관 등 생산 과정 전반에 걸친 cGMP 기준 준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트라는 미국 제약·바이오 업계 내 스마트 공장 구축 트렌드를 선도하는 업체로 J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유명 셰프가 농심 신라면을 집밥메뉴로 추천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200만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한 셀럽이 SNS를 통해 신라면을 소개해 K푸드에 대한 일본 내 인식치 한층 높아진 분위기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스시 셰프 히로유키 타케오카(Hiroyuki Takeoka)는 지난 2일 본인이 운영하는 인스타그램 계정 '스시_셰프.히로'(Sushi_chef.hiro)에 신라면이 등장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했다. 해당 동영상에는 히로유키 타케오카 셰프가 신라면을 활용한 '새우와 게가 들어간 매운 라면'(Shrimp Crab Spicy Ramen) 레시피를 소개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히로유키 타케오카 셰프는 게와 새우 껍질, 새우 대가리 등으로 만든 육수에 신라면을 끓여낸 뒤 새우, 게, 계란, 파 등의 토핑을 올려 라면을 완성한다. 해당 영상은 히로유키 타케오카 셰프가 라면 그릇을 깨끗이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해당 콘텐츠는 게시 열흘 만에 7만3000개가 넘는 '좋아요'를 받았다. 800개에 달하는 댓글도 줄줄이 달렸다. "농심 새우탕면의 최종 진화 버전이다", "갑각류 육수에 라면 끓이면 정말 극한의 맛일 것 같다" 등의 의견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에이블씨엔씨 뷰티 브랜드 어퓨가 일본에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Madecassoside Tetrasome CICA) 라인을 론칭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기존 마테카소사이드 라인의 기능성을 업그레이드한 신규 라인을 내세운 마케팅을 펼치며 마데카소사이드 흥행을 잇는다는 전략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어퓨는 다음달 24일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 라인 화장품 3종을 일본에 출시한다. 미샤 재팬 공식 온라인스토어와 일본 전역에 자리한 버라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 드럭스토어 등을 통해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 라인은 어퓨가 마데카소사이드를 리뉴얼해 지난해 7월 국내에 선보였다. 해당 라인은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 크림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 앰플 △마데카소사이드 테트라좀 시카 토너 등 3종으로 구성됐다. 이들 제품에 함유된 테트라좀 입자의 크기는 기존 리포좀 대비 60배 더 작아졌다. 2~5nm 크기의 입자가 시카 등 유효 성분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설명이다. 시카 성분은 피부 진정과 손상 회복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고순도 마데카소사이드, 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일본 의류 브랜드와 협력해 현지 사회 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을 펼치며 젊은 층 공략에 나섰다. 농심은 라면 종주국 일본 시장 내 입지 강화, K-라면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일본 수트 브랜드 '수트 셀렉트'(Suit Select)와 손잡고 '신(新) 사회인 응원 캠페인'을 시작했다. 농심은 새 정장을 차려입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이들을 겨냥해 이번 콜라보 캠페인을 기획했다. 수트 셀렉트 매장을 방문해 상품을 구입한 사회초년생 소비자 선착순 2만명에게 '신라면 김치(1개)'를 사은품으로 증정한다. 농심이 준비한 신라면 김치 물량이 소진되는 대로 종료된다. 수트 셀렉트는 도쿄, 이바라키, 나가노, 시즈오카, 기후, 오사카, 교토, 후쿠오카, 오키나와, 홋카이도 등 일본 전역에서 180개가량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선택, 착용, 즐거움을 슬로건을 내걸고 사업을 펼치고 있다. SNS 이벤트도 마련했다. 오는 24일까지 신라면과 수트 셀렉트 공식 인스타그램 또는 X(옛 트위터) 계정을 팔로우하고 이번 캠페인 관련 게시물을 리트윗하거나 '좋아요'를 표시하면 이벤트에 참가할 수 있다. 농심은 참가자 가운
[더구루=김형수 기자] 안타 스포츠(ANTA Sports)가 미국프로농구(NBA) 댈러스 매버릭스(Dallas Mavericks) 소속 농구선수 카이리 어빙(Kyrie Irving) 콜라보 슈즈를 론칭하고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카이리 어빙을 내세운 마케팅을 펼치며 고객몰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휠라홀딩스는 지난 2009년 안타 스포츠와 합작법인(Joint Venture) 풀 프로스펙트(Full Prospect)를 설립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안타 스포츠는 카이리 어빙과 손잡고 개발한 농구화 '안타 카이 1'(ANTA Kai 1)을 미국에 론칭했다. 안타스포츠 온라인 쇼핑몰과 스니커폴리틱스(Sneakerpolitics), 엑스트라버터(Extrabutter), 나이스킥스(Nicekicks) 등 현지 스니커즈 전문 매장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안타 스포츠가 지난해 7월 카이리 어빙과의 계약을 체결한 지 8개월 만에 콜라보 신발을 선보인 것이다. 카이리 어빙은 안타 스포츠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Chief Creative Officer) 역할을 맡아 로고, 제품 다자인 등을 담당하고 있다.<본보 2023년 7월 18일 참고 '美 시
[더구루=김형수 기자] 귀뚜라미가 러시아 유통망 확장을 통한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러시아를 거점으로 삼아 글로벌 보일러 시장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의지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귀뚜라미는 러시아 배관·냉난방 설비 전문업체 '산테크마켓'(СанТехМаркет) 매장에 입점한다. 산테크마켓은 지난 2000년 설립됐다. 러시아 중서부에 있는 도시 키로프(Киров)를 중심으로 11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자체 온라인 쇼핑몰도 운영하고 있다.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며 현지 시장 장악력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지난 1996년 러시아에 진출한 귀뚜라미는 로컬 판매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토대로 현지 유통망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0년 11월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 러시아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시장 환경을 반영한 고강도 현지화 전략도 펼치고 있다. 불안정한 전압, 낮은 가스 압력 등 열악한 조건 속에서도 성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 귀뚜라미는 러시아 최대 냉난방 전시회에 참가해 해외시장 지배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지난달 6일부터 나흘 동안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러시아 최대 냉난방 전시회 '아쿠아썸
[더구루=김형수 기자] 신동빈 롯데 회장이 통 큰 결정을 내렸다. 코로나19 앤데믹 이후 일본 롯데 사업이 활기를 띠고 임금 인상을 토대로 한 경기 부양 정책에 동조하기 위해 파격적인 임금 인상을 약속했다. 일본 롯데는 지난 14일 열린 '2024년 춘계노사협상'에서 관리직을 포함한 전 직원 임금을 평균 6.6% 인상안을 노동조합측에 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임금 인상률(3.5%) 대비 2배에 가까운 수치이며, 최근 20년 내 가장 높다. 일본 롯데는 노조의 요구안을 수용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일본 롯데 임직원 임금은 평균 1만9077엔(약 17만원) 상향될 전망이다. 개별 임직원의 임금 인상폭은 해당 임직원의 등급 등을 토대로 정해진다. 코로나19 판데믹이 끝나고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일본 롯데 주력 제품 판매가 호조를 보임에 따라 임금 인상 폭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과자와 아이스크림은 일본 롯데 핵심 사업이다. 지난 2022년 기준 일본 롯데 전체 매출 2820억엔(약 2조5190억원) 가운데 과자는 75.0%(2116억엔·약 1조8900억원) , 아이스크림은 23.7%(667억엔·약 5960억원) 등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가 오는 28일 KT&G 주주총회를 앞두고 행동주의 펀드 플래쉬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이하 FCP)의 손을 들어줬다. ISS가 방경만 대표이사 선임에 반대하며 KT&G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 FCP와 뜻을 같이했다. 15일 ISS는 KT&G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된 '대표이사 사장 방경만 선임의 건', '사외이사 임민규 선임의 건' 등에 대해 반대표를 던질 것을 권고했다. 이들 후보는 KT&G가 추천했다. 또 ISS는 '사외이사 손동환 선임의 건'에 대해 찬성해줄 것을 권고했다. 손 후보는 FCP와 함께 KT&G 현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 기업은행이 추천한 후보다. 이상현 FCP 대표는 지난 5일 손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KT&G 사외이사 후보에서 자진사퇴했다. 이 대표는 당시 "중요한 것은 주주를 위한 CCTV 역할을 할 수 있는 진정한 사외이사가 KT&G 이사회에 들어가는 것"이라면서 "표 분산을 막고, 이번 기회에 주주의 식견을 갖는 독립적인 사외이사가 반드시 뽑히도록 전력 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LG생활건강이 미국 자회사 에이본(AVON)과 손잡고 글로벌 재해민 지원에 팔을 걷었다. 국제 재난구호단체 GEM(Global Empowerment Mission)과의 협력을 토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과 에이본은 GEM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해당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240만달러(약 31억6000만원) 규모의 구호품을 GEM에 전달했다. 구호품은 △샴푸 △비누 △바디로션 △스킨케어 제품 등으로 구성됐다. 해당 구호품은 GEM이 긴급 대응 활동을 펼치고 있는 현장에서 쓰일 전망이다. 지난 2010년 발생한 하이티 지진을 계기로 설립된 GEM은 자연 재난, 전쟁 등으로 피해를 입은 개인 및 지역사회 등을 대상으로 한 구호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난 14년 동안 57개국에서 발생한 355건의 재난 현장에 출동해 구호 활동을 펼쳤다. 현재는 미국 텍사스주 산불 피해자 구호,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지원 등에 주력하고 있다. 마이클 카포니(Michael Capponi) GEM 창립자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최대의 지원을 제공하려 힘쓰고 있으나 시간과 자원은 언제나 부족하다"면서
[더구루=김형수 기자] 더파운더즈의 스킨케어 브랜드 아누아(Anua)가 일본 인플루언서와 손잡고 개발한 제품이 현지에서 품절 대란을 일으키며 대박을 터뜨렸다. 지난해 일본에 진출한 아누아의 현지 사업이 본격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아누아 일본 파트너사 그루브(Grove)에 따르면 아누아가 지난달 16일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을 통해 론칭한 '비타민 15 포어 클리어 클렌징 밤'(Vitamin 15 Pore Clear Cleansing Balm·이하 비타민 15)은 판매 개시 불과 23분 만에 완판됐다. 이튿날 추가 판매 물량은 10분 만에 모두 팔려나갔다. 아누아가 준비한 물량 5000개가 이틀 만에 동이 났다. 비타민 15는 이같은 흥행에 힘입어 일본 출시 다음날인 지난달 17일 큐텐 랭킹 종합카테고리 3위에 올랐다. 이에 아누아는 한정 판매 제품이었던 비타민 15를 지난 1일 상시 판매제품으로 전환하고 판매 확대에 나섰다. 일본 뷰티 인플루언서 타케타로우(たけたろう)와 손잡고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를 겨냥한 제품으로 비타민 15를 기획한 것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아누아는 '짙은 메이크업도 손쉽게 클렌징할 수 있을 것', '눈에 들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