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전략 광물 공급국 도약 목표…국가 성장 견인

희토류 공급망 재편 기회 활용
광물 산업 체계적·지속적 개발 추진

 

[더구루=김나윤 기자] 라오스 정부가 광물 산업을 국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라오스를 동남아시아 지역의 전략적 광물 공급국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라오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라오스 광물 산업과 채석업의 총 생산 가치는 약 4억3200만 달러(약 6300억원)로 전년 대비 31.8% 증가했고 국내총생산(GDP)의 2.84%를 차지했다.

 

라오스 통계청은 "지난해 광물 생산량이 약 3900만 톤에 달했다"고 밝혔다. 주요 채굴 품목은 갈탄, 무역탄, 석회석, 철, 칼륨염 등이고 특히 보크사이트 생산량은 전년 대비 7.7배 증가했다. 이는 반도체, 2차전지, 알루미늄 산업의 핵심 원료로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코트라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이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라오스가 새로운 광물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라오스는 아연, 납, 구리, 철광석, 석탄 등 다양한 광물이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 자원 부국으로 구리, 아연, 납이 전체 광물 매장량의 약 47%를 차지한다. 보석, 백금, 베릴륨 등 희귀 금속도 풍부하다. 므앙프앙–남라, 사나캄, 방비엥–카시, 루앙프라방 주 등은 주요 광물 탐사·개발 프로젝트의 중심지로 꼽힌다.

 

코트라는 "한국 기업들이 공공협력사업을 통해 라오스 정부 기관·공기업과 함께 인력 교육, 기술 이전, 공동 연구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

K방산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