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리뷰] 메타보라게임즈, 라인 기반 미니 디앱 '퍼즐앤가디언즈' 출시(10월5주차)

 

◇메타보라게임즈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전개하는 메타보라게임즈가 라인 넥스트가 운영하는 디앱 포털을 통해 웹3 게임 '퍼즐앤가디언즈(Puzzle & Guardians)'의 글로벌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

 

퍼즐앤가디언즈는 3매치 퍼즐을 통해 이용자 간 대전을 펼치는 캐주얼과 역할수행게임(RPG)가 결합된 하이브리드형 웹3 게임이다. 발리게임즈가 개발하고 메타보라게임즈와 함께 디앱 포털(Dapp Portal)에 온보딩한다. 이용자는 다양한 가디언즈를 수집 및 성장시켜 이용자 간 1대1 대전과 던전 플레이를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게임 미션과 이벤트 리그에 참여하여 BORA 토큰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퍼즐앤가디언즈는 라인 메신저 기반 디앱 포털에서 별도 설치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BORA 토큰을 활용한 인앱 상품 구매도 지원한다.

 

메타보라게임즈는 신규 브랜드 '보라 딥스(BORA DEEPS)'의 첫 번째 기능인 '퀘스트(Quest)'를 출시, 퍼즐앤가디언즈에 최초 적용했다. 보라 딥스는 게임 이용자와 보라 프로젝트 간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새로운 인프라 서비스로, 인게임 미션과 BORA 기반 웹3 보상 구조를 결합해 이용자 참여도를 높임으로써 BORA 게임 생태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퍼즐앤가디언즈에는 BORA를 통한 인게임 아이템 결제를 공식 지원한다. 여기에 보라 딥스의 퀘스트 보상 구조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게임 전반에 BORA 토큰 유틸리티를 확대,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간다.

 

아울러 BORA 생태계 프로덕트 주요 라인업에 가스비 대납(Gas Abstraction) 구조를 확대 적용함으로써 이용자가 KAIA 토큰 없이도 카이아 체인에서 BORA를 활용할 수 있는 결제 환경을 제공한다.

 

메타보라게임즈는 향후 후속 미니 디앱 게임 출시 및 보라 딥스의 신규 기능 추가를 통해 BORA 토큰 유틸리티를 양적으로 확대하고 질적으로 고도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스낵스

 

웹3 기반 반려동물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스낵스(SNAX)가 생태계 확장의 핵심 축이 될 인공지능(AI) 에이전트 '푸디(POODi)'를 공개했다.

 

푸디는 스낵스 플랫폼의 4가지 핵심 축인 웹3 게이밍, 커뮤니티, AI 에이전트, 커머스를 아우르는 가장 중요한 인터페이스가 될 전망이다. 스낵스는 푸디가 "단순한 AI 에이전트를 넘어, 커뮤니티, 커머스 연동, 나아가 동물병원 및 수의사 연결까지 통합하는 웹3 기반 반려동물 포털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푸디의 핵심 기능은 △맞춤형 정보 제공 △실시간 연결 서비스 △커머스 연동 △커뮤니티 등이다. 맞춤형 정보 제공 기능은 수백만 건의 수의학 및 반려동물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반려동물 건강 정보, 훈련 팁, 양육 조언 등을 제공한다. 실시간 연결 서비스는 수의사와의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지원해,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낵스는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동물병원 및 반려동물 미용 업체 실시간 예약 서비스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커머스 연동은 푸디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한 사료 및 용품을 제휴 커머스 플랫폼에서 즉시 구매할 수 있다 기능이며, 커뮤니티에서는 견종(묘종)과 주요 질환 등의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반려인들 간 정보 교류의 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스낵스 플랫폼은 웹3 게임과 푸디를 통해  정보 획득, 액션, 리워드, 소비로 이어지는 네이티브 토큰 $SNAX의 선순환 구조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솔라나를 메인넷으로 하는 $SNAX는 현재 국내외 메이저 파트너쉽과 투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스낵스 관계자는 "푸디 공개는 스낵스가 단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넘어 실생활에 깊숙이 통합된 웹3 슈퍼 앱으로 진화하는 결정적인 단계다"라며 "최근 KBW, 상하이 블록체인위크 등에 참여하며 파트너십 확장과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위메이드

 

위메이드가 대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레전드 오브 이미르(Legend of YMIR)' 글로벌 버전을 전 세계 170개국(한국, 중국 제외)에 출시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은 신들의 몰락 이후, 혼돈에 빠진 세계에서 운명과 질서를 되찾기 위해 싸우는 전사들의 대서사시를 그린 MMORPG다. 각 서버의 대표 이용자가 한 무대에서 맞붙는 대규모 서버 대전, 이용자가 직접 운영해 서버와 커뮤니티를 성장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서버 모델 '파트너스 서버(Partners Server)' 등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과 PC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있다. 세계 최강 서버를 가리는 글로벌 토너먼트 '이미르 컵(YMIR CUP)'도 개최한다.

 

또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은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핵심 재화 'gWEMIX(지위믹스)'를 중심으로 쉽고 직관적인 토크노믹스를 구축했다. gWEMIX는 인게임 콘텐츠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위믹스 코인과 1대1 교환이 가능하다. 특히, 경쟁과 보상의 재미를 한 번에 느낄 수 있도록 서버대전에서 승리한 클랜에게는 인터서버 내 모든 서버에서 발행된 gWEMIX의 일정량을 세금으로 분배한다.

 

위메이드는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 출시를 기념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에서 에어드롭 이벤트를 실시한다. 위믹스 플레이 회원 모두에게 게임 아이템 대체불가토큰(NFT)를 지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영웅의 자격' 이벤트도 진행된다. 이용자는 '사가 단서 발견', '뷰 포인트 발견' 등 여러 미션을 완료하면 '영웅 발키리 선택 상자'와 '영웅 디시르 카드'를 받을 수 있다.

 

◇심버스

 

국내 블록체인 플랫폼 심버스는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커뮤니티와 기술 생태계 확장을 위해 '심버스 노드 파워(SymVerse Node Power, 이하 SNP)'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인도네시아 반둥의 사보이 호만 호텔(Savoy Homann Hotel Bandung)에서 열렸으며, 심버스 블록체인 재단(SymVerse Foundation)이 주최했다.

 

심버스 창시자이자 대표인 최수혁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심버스는 블록체인의 본질인 '신뢰의 분산(Decentralized Trust)'을 실생활에 구현하는 디지털 정체성 혁명(Digital Identity Revolution)을 이끌고 있다"며 "심버스코인(SYMM)과 SNP는 개인과 기업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진정한 분산 경제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도네시아 블록체인 커뮤니티인 크립토이스 반둥(Cryptois Bandung)과 아시아 타이거 함발랑(Asia Tiger Hambalang) 등 현지 주요 단체가 함께하며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특히 젊은 세대와 중소기업(SME)을 중심으로, 디지털 신원(ID) 시스템, 웹3 기반 경제 모델,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금융 혁신 등 폭넓은 주제가 논의됐다.

 

심버스 인도네시아 관계자는 "젊은 세대의 기술 적응력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심버스의 기술은 그들의 성장과 창업 기회를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빠른 기술 변화 속에서, 심버스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의 신뢰 기반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버스는 이번 보고르 세미나, 반둥 세미나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커뮤니티 세미나와 기술 워크숍을 지속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은 심버스가 자체 개발한 세계 유일의 분산 ID(Decentralized ID)와 양자 저항성(Quantum Resistance)을 갖춘 블록체인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첫 사례로 평가된다.

 

최수혁 심버스 대표는 "심버스의 기술은 단순한 블록체인을 넘어, 신뢰·정체성·경제활동이 결합된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를 만드는 기반"이라며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을 시작으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해 ‘사람 중심의 블록체인 혁신’을 세계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