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 세번째 출석한 김영섭 KT 대표가 전 고객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 정부 조사 결과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KT는 국감에 앞서 추가 보상 계획을 발표했다.
김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했다. 지난 14일 정무위원회, 21일 과방위 국감에 이어 세번째 출석이다. 이에 김 대표가 어떤 수습책을 들고 나올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김 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이훈기 의원의 요청에 따라 증인석에 섰다. 이 의원은 지금까지 번호이동한 이용자가 몇 명이냐고 물었고, 김 대표는 "출장 관계로 정확한 숫자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출장 전에는 3000명 정도로 보고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의원은 "시민단체 등에서 KT에 귀책사유가 있는만큼 전 고객 위약금 면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다"며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김 대표는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 정부의 수사결과와 피해내용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1일 진행된 과방위 국감에서의 입장에서 변한 것이 없는 내용이다.
이 의원은 SK텔레콤의 대처와 KT의 대처를 비교하며 다시 한 번 질의했다. 이 의원은 "SK텔레콤은 공식적인 피해자가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위약금 면제 결정을 내렸다. KT는 공식적인 피해자가 확인됐는데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이냐" 묻자 김 대표는 "결정할 때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김 대표는 추가로 위약금 면제가 결정되면 사고 이후 번호를 이동한 고객들에게도 소급적용할 것이냐는 질문에 "전 고객 위약금 면제 결정이 나오면 결정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KT는 소액결제와 정보유출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 한해 5개월간 100GB 상당의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고,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할인 또는 단말기 교체 대금 할인을 제공하겠다며 추가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