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젠, 큐레카 7월 'ADLM 2025'서 베일 벗는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글로벌 분자진단 기업 씨젠의 PCR(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의 전(全)과정을 자동화한 진단시스템 ‘큐레카(CURECA)’가 오는 7월 베일을 벗는다. 출시 전 공개된 영상에 이미 글로벌 진단시장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씨젠은 전 세계 PCR 진단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씨젠은 7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진단검사의학회(ADLM) 2025’에서 큐레카의 실물 장비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주요 글로벌 고객사들과의 협업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유럽 임상미생물감염학회(ESCMID)에서 영상을 공개한 큐레카가 현지 좋은 반응을 얻었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를 비롯해 캐나다 등 북미지역에서 온 참가자, 업체 관계자 등 2300여명이 씨젠 부스를 방문해 큐레카 영상을 시청했다.

 

큐레카는 모든 PCR 검체를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씨젠의 차세대 진단시스템이다. 검체 자동 전(前)처리 장치(CPS)와 핵산 추출부터 유전자 증폭, 결과 분석을 수행하는 검사 장비(CEFA) 등 2개 파트로 구성된다.


분자진단 전처리 과정은 △대변 △소변 △혈액 △객담 등 다양한 검체와 여러 규격의 용기를 분류 처리해야 하는 만큼 검사실 내 많은 전문 인력이 시간을 들여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씨젠은 세계 최초로 모든 PCR 검체의 전처리 자동화를 시도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CPS는 검체 분류 이후 원심분리와 열처리 과정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CPS를 전체 시스템인 큐레카에서 별도로 분리하면 분자진단 외 △진단혈액 △생화학 △면역 등 타 진단 분야의 전처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무인으로 작동하는 큐레카는 검사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휴먼 에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모듈형 장비로 설계돼 각 검사실 니즈에 따라 맞춤형 세팅도 가능하다.

 

씨젠은 “아직까지 모든 종류의 검체를 자동으로 전처리하는 장비가 없다 보니 분자진단의 실질적인 자동화가 이뤄지지 못했다”며 “씨젠의 독보적인 신드로믹 정량 PCR 진단시약과 더불어 큐레카가 향후 글로벌 분자진단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며 진단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뀔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