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과 캐나다의 쇄빙선 협력에 균열 조짐이 보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원회가 캐나다 조선업에 우려를 나타내면서다. 향후 한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지 주목된다.
10일 도널드 트럼프 인수위에 따르면 로버트 윌키 국방부 인수팀장은 최근 존 물레나르 미국 하원의 중국 공산당 전략경쟁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캐나다는 더 이상 해양 3강이 아니며 그들의 조선업은 무너졌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미국에서는 10개의 조선소가 가동 중일 것”이라며 “당연히 수리를 위해 일본에 조선소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의 조선소에서 해군 함정을 수리하고 건조하는 것이 중국 위협의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버트 윌키 국방부 인수팀장은 트럼프 정부 1기에서 보훈장관을 지낸 인물로 이번 2기 인수위에 합류해 국방부 인수팀을 이끌고 있다. 윌키 인수팀장의 이번 발언은 그동안 캐나다와 쇄빙선 협력을 추진해 온 바이든 행정부의 행보와 다소 차이가 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올해 7월 캐나다, 핀란드와 쇄빙선 협력 노력(ICE) 협정을 맺고 쇄빙선 건조에 협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극지 쇄빙선 생산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동맹국들이 미국, 핀란드 또는 캐나다 조선소에서 생산한 쇄빙선을 구매하도록 촉진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는 극지방을 두고 맞서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에 대응하는 차원이며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다만 트럼프 인수위 핵심 관계자가 현 정부 기조와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서 한국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미 한국 조선업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높은 상황이다. 카를로스 델 토로 미국 해군성 장관은 올초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잇달아 방문해 한국의 함정 건조 역량을 살펴보기도 했다.
쇄빙선 사업 실적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 국영 조선소인 즈베즈다는 지난 2019년 11월 삼성중공업에 5척의 쇄빙 LNG선을 발주했으며,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도 야말 프로젝트에서 LNG선 16척 건조를 위한 선표예약계약(slot reservation agreement)을 맺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