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 원전 대진표 확정…한전 등 '5파전'

美 뉴스케일·레그넘, 중국 CNNC, 프랑스 EDF, 러시아 로사톰과 경쟁
12월 결정 예정…한전 대형·한수원 소형 원전 RFI 제출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이 가나 신규 원전 사업 후보로 낙점됐다.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와 경쟁할 예정이다. 이르면 연내 사업자가 확정된다. 


23일 비즈니스인사이더 아프리카 등 외신에 따르면 가나 에너지부에서 원자력·대체에너지를 담당하는 로버트 소그바지(Robert Sogbadji)는 "한전과 그 자회사 한수원이 러시아 로사톰과 원전 사업을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업체 뉴스케일파워와 레그넘 테크놀로지, 프랑스 EDF, 중국 핵공업집단(CNNC) 등도 후보에 오르며 5파전을 예고했다. 

 

가나는 1960년대 원전 도입을 추진했다. 당시 초대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는 원전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나 쿠데타로 사회적 혼란이 커지며 무산됐다. 2000년대 들어 경제 성장에 따라 전력난에 시달리고 에너지 전환이 화두로 떠오르며 원전 도입을 다시 검토하기 시작했다. 

 

가나는 지난해 서부 은수반(Nsuban)과 중구 오보탄(Obotan)을 원전 후보지로 선정해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했다. 6개국에 원전 기술과 사업 관련 포괄적인 질의를 내포하는 정보제공요청서(RFI)를 발송했다. 한국에서는 한전으로부터 대형 원전, 한수원으로부터 소형 원전에 대한 답변서를 받았다. 총 16곳을 검토해 최종 후보를 좁혔다. 


가나 정부는 사업 계획을 구체화하고 이르면 12월에 최종 사업자를 선택할 예정이다. 소그바지는 "내각이 최종 선택을 승인할 것"이라며 "공급사는 하나이거나 두 개일 수 있으며 재정 모델과 기술적인 세부 사항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설명했다. 

 

가나는 궁극적으로 2034년까지 1000㎿급 원전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력 수급 우려를 덜고 온실가스 감축 이슈에도 대응한다. 

 

최종 사업자 선정까지 약 반년이 남으며 5개국은 본격 수주전에 돌입할 전망이다. 한전과 한수원은 가나에서 수주를 따내 아프리카 시장으로 보폭을 넓힌다. 아프리카는 원전 불모지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는 단 한 개의 원전만 운영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 세워진 쿠벅 원전 2기(1800㎿)가 유일하다. 우간다와 르완다, 남아공, 케냐 등 주요 아프리카 국가들이 이제야 원전 건설을 모색하고 있어 현지 시장의 성장성은 높다.

 

한전은 남아공에서 1250㎿급 대형 원전 2기 건설 참여를 모색하며 정부에 신규 원전 사업 동향을 보고했다. 지난달에는 주한케냐대사관을 찾아 에미 킵소이 대사와 회동하고 원전 협력을 논의했었다. 한수원도 원전 수출을 이끄는 임승열 사업개발처장이 킵소이 대사와 만나 신규 사업 계획을 검토한 바 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