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마트홈 API 개방…LG전자, 핵심 파트너사 자리 선점

구글홈 API 외부 개발자에 공개…생태계 확장
LG TV 구글홈 '허브'로 활용…씽큐앱으로 장치 제어
구글-LG 스마트홈 동맹 확대…크롬캐스트도 내장

[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이 자체 스마트홈 플랫폼 '구글홈'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응용 프로그램 개발환경)'를 개방해 생태계를 확장한다. LG전자는 선제적으로 구글과 손잡고 홈IoT(사물인터넷) 경쟁력을 강화한다. 

 

22일 구글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개막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 2024'에서 구글홈 API를 전면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모든 개발자들은 구글홈 API를 사용해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홈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앱을 만들 수 있다. 

 

LG전자는 초기 핵심 파트너사 자리를 선점했다. LG전자의 독자 플랫폼 웹OS(webOS)가 탑재된 스마트 TV는 구글홈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고객은 LG전자 스마트 TV와 LG 씽큐(ThinQ)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 구글홈 API를 기반으로 구축된 조명, 온습도 센서, 스피커, 가전제품 등 다양한 스마트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혹은 씽큐앱으로 구글홈과 연결된 스마트 전구를 쉽게 껐다 키거나 밝기 등을 조정한다. 이 기능은 올 가을부터 이용 가능하다. 

 

LG전자와 구글 간 파트너십은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IT 박람회 ‘CES 2024’에서 예고된 바 있다. 양사는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두고 열린 'LG 월드 프리미어' 행사에서 새로운 협력을 발표했다. 올해 출시하는 일반 소비자용 TV와 호텔 등에 대규모로 들어가는 LG전자 TV에 구글의 크롬캐스트를 내장키로 했다. 

 

에릭 케이 구글 부사장이 이날 행사에서 직접 무대에 올라 양사 간 스마트홈 협력 방안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2024년형 LG전자 TV에는 크롬캐스트가 내장돼 집에서 가장 뛰어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며 "LG TV는 구글 홈 허브로 작동해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몇 번의 탭만으로도 쉽게 모든 매터(Matter) 기기를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API는 특정 플랫폼이나 시스템의 정보를 다른 플랫폼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출력 방식을 표준화한 인터페이스(교환체계)를 의미한다. API를 개방해 개발자들이 운영체제(OS)와 제조사에 상관없이 약 6억 대의 스마트홈 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게 구글의 설명이다. 

 

백선필 LG전자 HE상품기획담당(상무)는 "LG 웹OS TV에 구글의 홈 런타임을 탑재, 고객이 LG TV에서 다양한 IoT 장치에 액세스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홈 IoT 시장에서 LG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김건우 LG전자 플랫폼사업센터 상무는 "LG 씽큐 앱이 구글홈 API를 통해 고객에게 더 나은 스마트 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파트너십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LG전자는 자체적으로 스마트홈 API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CES에서 진행한 '스마트홈 브리핑'에서 스마트홈 플랫폼 사업 확대 로드맵을 발표하며 'LG 씽큐 API'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LG 씽큐 API를 공개해 외부 개발자들이 앱 형태로 스마트홈 플랫폼 생태계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수익화한다는 계획이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